• 제목/요약/키워드: Character factor

검색결과 536건 처리시간 0.024초

부산광역시에서 철도차량 배출원에 의한 오염물질 배출량 산정 (Estimation of emission rate for railroad rolling stock sources in Busan Metropolitan City)

  • 이화운;김유근;김희만;박종길;장난심;이희령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0권6호
    • /
    • pp.407-415
    • /
    • 2001
  • A case of air pollution study of estimation of emission rate for source to railroad rolling stock and emissive character about is unusual. Recent emission rate of railroad rolling stock was estimated with emission factor of EPA in three region(Seoul, Incheon, and Gyeonggido). But this EPA factor could be incorrect because Korea and America have a different railroad environment in the variety of fuel and character of railroad rolling stock In this study, emission rate of each line, car and region(district) with omission factor of Korean case(National Railroad Administration, 1997) was estimated. In Busan Metropolitan City, railroad rolling stocks were divided accoding to, each line, car and service. Particularly, the Idle fuel rate omitted in the preceding study was included in calculation fuel rate. Total emission rate of Busan Metropolitan City was 887.41 t/year Each emission rates of Kyeongbu line, Donghaenambu line, Gaya line, Uam line, Bujeon line, and idle was 489.15t, 196.46t, 33.94t, 12.66t, 6.47t, and 48.75t, respectively.

  • PDF

의복유형과 헤어스타일이 남성의 인상형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Clothing Type and Hair Style on Men’s Impression Formation)

  • 임남영;강승희
    • 복식문화연구
    • /
    • 제11권3호
    • /
    • pp.340-351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clothing type and hair style on men’s impression formation. The experimental design was 4×2×2×2 (clothing type×hair style×perceiver’s age×perceiver’s role) factorial design with between-subjects design. The stimuli of color photographs of male in his 20's model and semantic differential scale were used. The data were obtained from questionnaires completed by 881 men and women in the metropolitan area of Seoul. The SPSS package was used for data analysis which includes factor analysis, t-test, and Cronbach’s a to measure the reliability. This study showed the following results. Four factors were derived to account for the dimensions of impression formation. These were dignity, activity, individual character, and social intercourse. Men evaluated individual character factor higher than women did. Dignity factor was evaluated higher by students, while social intercourse factor was evaluated higher by office workers. The clothing type of shirts/pants was evaluated to be more active and more sociable than of jacket/pants. Men wanted to exhibit natty image and women did elegant image through clothes.

  • PDF

간호사의 태움 측정도구 개발 (Development of the Tae-Wom Scale in Nurses)

  • 최수빈;양남영
    • 가정간호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271-283
    • /
    • 2020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 scale measuring the Tae-Wom in nurses. Methods: The initial items were based on an extensive literature review and in-depth interviews with seven nurses with varied careers. Thirty-five items were derived from a pilot survey. Data were collected from 196 hospital nurses, and analyzed to identify items of the scale as well as to verify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scale. Results: The results of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showed that six factors contained 26 items and 65.2% of the total explained variance. These six factors comprised negative behavior exhibited by the Tae-Wom recipient, personal character of the Tae-Wom giver, personal character of nursing unit managers, work attitude of the Tae-Wom giver, overwhelming workload, and unskilled relationships. Furthermore, convergent and discriminant validity testing verified these items. The internal consistency reliability was acceptable (Cronbach's α= .93), and Cronbach's α for each factor ranged from .62 to .90. Conclusion: The developed Tae-Wom scale will serve as a tool for verifying the Tae-Wom state in nursing organizations. Therefore, this scale is expected to mitigate the negative effects of the Tae-Wom.

MOBA 게임 뉴시즌 Update를 위한 게임 만족 및 밸런스 연구 (A Study on Game Satisfaction and Game Balance of MOBA Game in New Season Update)

  • 이정;조동민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24권8호
    • /
    • pp.1161-1170
    • /
    • 2021
  • The MOBA game is updated every year with a new season, the new season update brings fun to the game users and also makes them feel unfamiliar with the new gameplay. In order to let game users better adapt to the new season, this study will extract the new season balance evaluation factors. Firstly, we used one-on-one review to collect the unbalanced factors that game users had encountered at the beginning of the new season of the MOBA game, and secondly, we organized the collected review data into a questionnaire and conducted a survey. The first step of the experiment was to filter out the lower factors through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extract the balance evaluation factors of the MOBA game new season. The second step of the experiment was to examin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factors through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s well as to confirm the appropriateness and explanatory value of the factors. The analysis resulted in "Game character experience", "Game view's expression", "Game level", and "Composition of the game setting" are the four factors. Finally, through correlation analysis, the most relevant factor for game satisfaction is the "Game character experience", and each factor is correlated with each other.

상호작용을 고려한 게임 캐릭터 성격 모델 연구 (A Study on Game Character Personality Model Considering the Interaction)

  • 남기덕;길태숙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20권2호
    • /
    • pp.27-34
    • /
    • 2020
  • 게임 캐릭터는 성격을 통해서 게임 디자이너와 플레이어 사이를 연결해주고 상호작용하는 통로가 되므로 상호작용을 고려한 게임 캐릭터 성격 디자인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캐릭터의 성격은 게임 디자이너의 의도에 따라 '디자인요소'와 '성격요인'을 통해 형성된다. 이후 플레이어의 '성격요인'과 상호작용하여 최종적인 캐릭터의 성격이 만들어진다. 게임 캐릭터의 성격을 표현하는 '디자인요소'는 선행 연구를 통해 행동 4개, 말 4개, 외양 6개로 14항목을, '성격요인'은 전문가 인터뷰를 통해 행동 12개, 말, 27개, 외양 1개로 40항목을 추출했다. 이를 통해 상호작용을 고려한 게임 캐릭터 성격 모델을 제시했다.

공연전문 애니메이션 캐릭터 테마파크의 미래 (Future of Performing Arts Specialized Animation Characters Theme Park)

  • 조준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9호
    • /
    • pp.146-155
    • /
    • 2012
  • 지속적인 성장세인 국내 키즈산업의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매김한 애니메이션 캐릭터 테마파크의 현황과 미래의 지향점을 조명해보면서, '키자니아(KidZania)', '푸이 뒤 포우(Puy du Fou)', '디즈니 씨(DisneySea)', '산리오 퓨로랜드(Sanrio Puroland)'와 같은 외국 테마파크의 공연성의 극대화 사례를 통해, 국내의 공연전문 애니메이션 캐릭터 테마파크의 가능성을 제시해보려 한다. 도심형 테마파크로 건립되고 있는 애니메이션 캐릭터 테마파크는 관람객들의 재방문율이 상당히 중요하다. 캐릭터를 활용한 수준 높은 공연이 파크의 관람객과의 긴밀한 인터랙션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관람객의 테마파크에 대한 친밀도가 높아지면 재방문율이 높아질 것이며, 또한 다른 애니메이션 캐릭터 테마파크와의 차별성을 부각시켜줄 것이다.

브랜드인지도 제고를 위한 TV광고의 캐릭터 사용패턴 및 효과분석 (A study of the pattern and the effect analysis of the characters on TV ads for the brand awareness)

  • 조규창
    • 디자인학연구
    • /
    • 제17권4호
    • /
    • pp.259-268
    • /
    • 2004
  • 요즘은 브랜드전쟁의 시대라고 한다. 정보와 기술발달에 의한 21세기 시장환경 하에서 기업간 경쟁요소와 소비자의 선택기준이 변화함에 따라 브랜드자산은 기업의 가치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로 등장하게 되었다. 소비자의 머릿속에 브랜드의 변별력을 제고하는 방법으로써 TV광고를 통한 브랜드광고에서의 캐릭터 사용은 일반적이고 유용한 방법으로 오래전부터 활용되어 왔다. 마케팅차원에서 브랜드의 인지도를 높이는 수단으로서 캐릭터의 역할과 가능성을 좀더 상세히 알아보고 미국 광고대행사인 FCB사의 그리드 모델을 통해 TV광고에서의 카테고리별 캐릭터 사용패턴과 관여도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해 보았다. 또한 캐릭터 사용소재별 분석, 그리고 표현양식에 따른 분석을 통해 최근의 카테고리별 캐릭터 사용태도와 기법 등을 조사하였다.

  • PDF

보건계열 대학생의 인성과 대인관계가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융합 연구 (The Convergence Study effected of Adjustment to College life in Character, interpersonal relationship of health-related college)

  • 전미진;노은경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4호
    • /
    • pp.433-442
    • /
    • 2018
  • 본 연구는 G시에 소재한 보건계열 대학생 220명을 대상으로 인성, 대인관계가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조사하였다. 조사는 2017년 8월 1일부터 12월 30일까지 설문조사가 시행되었으며, 연구결과 대학생의 인성수준은 평균 3.49점(1-5점), 대인관계는 평균 3.40점(1-5점), 대학생활 적응은 평균 3.33점(1-5점)으로 중간수준이었다. 인성, 대인관계, 대학생활 적응간의 관계는 대학생활 적응과 인성(r=.62, p<.001), 대학생활 적응과 대인관계(r=.80, p<.001), 전공만족과 대학생활 적응(r=-r=-.32, p<.001)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중정도수준을 보였다. 보건계열 대학생의 대인관계가 좋을수록, 인성의 행동영역 수준이 높을수록, 대학생활 적응을 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65%(F=102.97). 보건계열 대학생의 대학생활 적응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대학 교육과정 내의 인성교육을 향상시킬 수 있는 표본화된 프로그램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수학수업에서 인성 함양을 위한 중학교 교수·학습 자료 개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for character education in middle school)

  • 신준국;부덕훈;서보억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29권2호
    • /
    • pp.255-279
    • /
    • 2015
  • 수학과 교육과정에서는 인성 교육을 강조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수학교실에서 인성교육을 실현하기 위한 기초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인성교육의 개념 고찰을 바탕으로 수학수업에서 고려해야할 인성 요인 3가지(이타성 요인, 합리성 요인, 과정지향성 요인)를 추출하였다. 수학교과에서 인성 교육을 위한 수업모형으로 존중적 수행 모형, 독립 수행 모형, 상호주도 모형, 자기주도 모형, 협력중심 모형, 자기이해 모형, 이야기 공감 모형 일곱 가지를 제안하였고, 수업모형에 기초한 교수 학습 자료를 개발한 후 현장 적용을 통해 그 효과성을 검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교사 설문, 학생 설문, 현장적용에 대한 사전 사후 검사를 통해 수학교과에서도 인성함양을 위한 수학교수학습 실현이 가능하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북한이탈주민의 남한사회적응에 미치는 영향요인 : 성격강점과 심리적 안녕감을 중심으로 (Factors Affecting Adaptation of North Korean Refugees to South Korean Society: Character Strength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 김은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3호
    • /
    • pp.361-369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북한이탈주민을 대상으로 하여 남한에서의 적응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성격강점을 확인하여 북한 이탈주민의 적응을 돕는데 있다. 117명의 북한 이탈주민을 대상으로 하여, 심리적 안녕감과 성격강점간의 관계를 알아보고, 남한에서의 정착기간에 영향을 미치는 성격강점의 하위 요소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2.0과 PROCESS Macro의 Model 1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성격강점의 하위요인인 지혜, 인간애, 용기, 정의, 절제, 영성 간에는 상관이 있었으며, 성격강점의 하위요인을 독립변인으로 하여 심리적 안녕감과의 관계를 알아본 바, 주효과가 나타났다. 즉 성격강점의 하위요인의 수준이 높을수록 심리적 안녕감의 수준이 증가하였다. 그리고 성격강점의 하위요소중 용기가 심리적 안녕감과의 관계에서 정착기간의 조절효과가 나타났다. 아울러 논문의 한계를 논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