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aracter Strength

검색결과 199건 처리시간 0.026초

Perceived Employment Instability Effect on Psychological Well-being and Job Satisfaction: Resilience and Character Strength as Mediator

  • Yang, Hoe-Chang;Sun, Il-Suck;Park, Soo-Hong
    • Asian Journal of Business Environment
    • /
    • 제5권4호
    • /
    • pp.29-35
    • /
    • 2015
  • Purpose - This study intended to identify how resilience and character strength among employees are influenced by employment instability and the negative impact it could have on job satisfac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This study hypothesizes that employment instability will have a negative effect on resilience and character strength, but resilience and character strength will have a positive effect on job satisfac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 total of 150 valid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and utilized for analysis. Results - Employment instability was found to have a negative impact not only on job satisfac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but also on employee resilience and character strength. Conclusion - The results suggest that along with the necessity for a strategic approach at the corporate level, enterprises should also acknowledge employee failures and support them in job situations. They should create a positive work environment and a structure of empowerment, interesting jobs, and a positive organizational culture to build various systems and the ability to enhance self-esteem and stamina in order to reinforce character strength.

한국사회에서 성인의 성격강점이 충만한 삶에 미치는 영향: 봉사행동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influences of character strength on full life of adults in Korea: Mediating effects of volunteering)

  • 김은호;박준성;정태연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23권4호
    • /
    • pp.587-604
    • /
    • 2017
  • 본 연구는 한국사회에서 성인의 성격강점이 충만한 삶에 미치는 효과에 있어서 세대 간 차이를 확인하고, 성격강점에 기인하는 봉사행동이 이 과정에서 미치는 매개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의 성인남녀 1,405명을 대상으로 성격강점, 봉사행동, 충만한 삶에 대해 세대 간의 차이를 검증하였다. 그리고 성격강점이 충만한 삶에 이르는 효과의 세대별 모형을 설정하고 구조방정식을 통해 각 모형을 검증하였다. 그 결과, 첫째, 신뢰, 충만한 삶, 삶의 의미를 제외한 다른 변인에서는 세대 간 통계적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성인초기에서는 성격강점이 충만한 삶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셋째, 중년기 이후 세대에서는 성격강점이 충만한 삶에 봉사행동이 완전매개 하였지만 성인초기에서는 성격강점이 충만한 삶에 봉사행동이 부분매개 하였다. 이를 통해 중년기 이후에서는 성인초기와 달리 성격강점 그 자체만으로 충만한 삶에 영향을 미치기보다는 봉사행동이라는 구체적 행동이 수반되는 것이 충만한 삶을 영위하는데 중요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우리사회에서 성인들의 성격강점이 충만한 삶에 미치는 영향과 봉사행동의 매개효과에 대한 필요성을 논의하였다.

한국인 강점 척도를 기반으로 한 업무 유형에 따른 대표 강점 발현의 차이 (Difference of Expressed Character Strengths, the Type of Work : Classification as Per the Korean Strength Scale)

  • 김지은;권예지;나해란;이지은;노재흥;채정호
    • 대한불안의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13-20
    • /
    • 2016
  •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differences of expressed character strengths graded as per the Korean Strength Scale, based on the type of work. Methods : A total of 2,444 conglomerate workers were classified into two groups: 1,356 office workers and 1,088 production workers. The subjects were examined through a web or mobile application based on the Korean Strength Scale. The Korean Strength Scale consists of a total of four top entries and 25 sub-items with appropriate validity. Results : The difference in the average score of sum of character strengths between the two groups was not significant. In the office worker group, character strengths such as love of learning, creativity, perspective, curiosity, facilitation, judgment and faith had significantly high scores. On the other hands, modesty, hope, gratitude, sincerity, magnanimity and self-regulation were high in the production worker group. The results remained unchanged in additional analysis of covariants as sex, age and education level, except for self-regulation and faith. Conclusion : Our results suggest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character strengths between the two types of work; however, the average of sum of character strength score remains unchanged. These results may help to understand differences between work environments and thus help to establish a positive foundation.

  • PDF

북한이탈주민의 남한사회적응에 미치는 영향요인 : 성격강점과 심리적 안녕감을 중심으로 (Factors Affecting Adaptation of North Korean Refugees to South Korean Society: Character Strength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 김은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3호
    • /
    • pp.361-369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북한이탈주민을 대상으로 하여 남한에서의 적응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성격강점을 확인하여 북한 이탈주민의 적응을 돕는데 있다. 117명의 북한 이탈주민을 대상으로 하여, 심리적 안녕감과 성격강점간의 관계를 알아보고, 남한에서의 정착기간에 영향을 미치는 성격강점의 하위 요소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2.0과 PROCESS Macro의 Model 1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성격강점의 하위요인인 지혜, 인간애, 용기, 정의, 절제, 영성 간에는 상관이 있었으며, 성격강점의 하위요인을 독립변인으로 하여 심리적 안녕감과의 관계를 알아본 바, 주효과가 나타났다. 즉 성격강점의 하위요인의 수준이 높을수록 심리적 안녕감의 수준이 증가하였다. 그리고 성격강점의 하위요소중 용기가 심리적 안녕감과의 관계에서 정착기간의 조절효과가 나타났다. 아울러 논문의 한계를 논의하였다.

사상체질에 따른 성격강점 차이연구 (A Study of Different Character Strengths in the Sasang Constitution)

  • 박현철;유경;김락형
    •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39-47
    • /
    • 2017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asang Constitution character strength of university students. Methods: One hundred fifty students of Woosuk University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ir majors were Korean medicine, nursing science, and pharmacy. Their Sasang Constitutional types were determined using the results of a Two Step Questionnaire for Sasang Constitution Diagnosis (TS-QSCD). The subjects were also tested by a Characteristic Strength Test (CST). The Character Strength test scores were compared to the different Sasang Constitutions using analysis of variances (ANOVA). Also, the five Signature Strengths presented to the subjects were measured as a percentage within Sasang Constitution Groups, and compared to the different Sasang Constitutions. Results and Conclusions: 1. In CST score: Soyangin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aeeumin in creativity, curiosity, love, social intelligence, vitality, leadership, appreciation of beauty and excellence, and humor. Also, Soyangin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Soeumin in wisdom, kindness, bravery, and authenticity. 2. In CST score: Taeeumin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Soyangin in modesty. Taeeumin and Soeumin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Soyangin in prudence. 3. In the five signature strength analysis: Extrovert character strengths such as curiosity, vitality, social intelligence, bravery, and leadership, were higher in Soyangin. On the other hand, Introvert character strengths such as modesty, prudence, and self-regulation, were higher in Taeeumin and Soeumin. 4. In the five signature strength analysis: The signature strengths of Soyangin and Soeumin indicated a biased distribution. The signature strengths of Taeeumin indicated an even distribution.

캐릭터 스테이터스에 따른 플레이어 캐릭터 외형 변화 연구 -MMORPG를 중심으로- (A Research on the Physique Reformation of the Player Character Depending on the Character Status in MMORPG)

  • 길태숙;백형목;장준호;이대웅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9권6호
    • /
    • pp.21-30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MMORPG에서의 플레이어 캐릭터 스테이터스의 변화를 캐릭터 그래픽에 시각적으로 드러낼 것을 제안하였다. 힘, 체력, 의지, 지능, 민첩 등의 기본적인 캐릭터 스테이터스 중 캐릭터 그래픽에 영향을 끼칠 수 있는 요소인 힘과 민첩을 활용하면 캐릭터 스테이터스 변화의 시각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 민첩의 수치를 캐릭터의 각 뼈대의 길이에 관여하게 하고, 힘의 수치는 주로 캐릭터의 각 뼈대의 두께에 영향을 주도록 함으로써 캐릭터 스테이터스의 변화를 플레이어가 처음에 생성한 캐릭터 그래픽에 나타내는 것이다. 이와 같은 캐릭터 스테이터스의 수치변화에 대한 시각적 표현은 플레이어 캐릭터 아이덴티티를 드러낼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플레이어의 캐릭터 육성 방향과 캐릭터의 경험의 시각적 표현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다양한 엔터테인먼트로의 응용이 가능하다.

  • PDF

멀티미디어콘텐츠 전공 대학생의 성격강점과 진로관여행동이 진로적응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The Effect of Character Strength, Occupational Engagement on Career Adaptability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Multimedia Content)

  • 이정희;김치용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9권5호
    • /
    • pp.861-870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멀티미디어콘텐츠 전공을 선택한 대학생의 성격강점과 진로적응성의 관계에서 진로관여행동의 매개효과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부산지역 일 대학의 멀티미디어콘텐츠 관련 전공학과에 재학 중인 대학생을 대상으로 성격강점 척도, 진로관여행동 척도, 진로적응성 척도를 설문조사하였고, 총 446명의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남자 대학생의 진로적응성이 여자 대학생에 비해 높았다. 둘째, 멀티미디어콘텐츠 전공 대학생의 성격강점은 진로적응성에 영향을 미쳤다. 셋째, 멀티미디어콘텐츠전공 대학생들의 성격강점과 진로적응성의 관계에서 진로관여행동은 부분매개효과를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는 여대생의 진로적응을 높이기 위한 구체적인 지원이 필요하고, 성격강점의 개발과 함께 진로관여행동을 늘리는 것이 진로적응성을 높이는데 중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간호대학생의 성격강점이 지각된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Nursing Students' Character Strength on Perceived Stress)

  • 유미옥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2호
    • /
    • pp.168-176
    • /
    • 2017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성격강점이 지각된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자료 수집은 A지역의 간호학과 학생 174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대상자의 성격강점은 $3.46{\pm}.34$점(5점 척도) 이었고, 지각된 스트레스는 $2.84{\pm}.42$점(5점 척도)이었으며, 성격강점 중 가장 점수가 높은 하위영역은 인간애로 $3.65{\pm}.49$점이었다. 간호대학생의 지각된 스트레스는 성격강점과 부적 상관 관계(r=-.50, p<.001)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고, 지각된 스트레스는 성격강점의 하위영역 모두에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또한 간호 대학생의 지각된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일반적 특성의 매우 어려운 가정형편(${\beta}=.146$, p=.026)과 성격 강점의 하위요인 중 용기(${\beta}=-.250$, p=.006)와 초월성(${\beta}=-.275$, p=.013)으로 나타났으며, 세 요인은 지각된 스트레스를 39.5%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간호학과의 교수진이나 상담 직원들은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 간호학과 학업을 힘들어 하는 학생들에게 성격강점을 확인시켜주고 스트레스를 경감시킬 수 있는 중재 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대학생들의 삶의 만족여부에 영향을 주는 성격적 강점 요인 (Analysis on the primary of character strength that affects the life satisfaction of university students)

  • 백옥경;김청자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1호
    • /
    • pp.228-236
    • /
    • 2014
  • 본 연구는 대학생의 삶의 만족여부에 따른 성격적 강점의 차이와 삶의 만족여부에 영향을 주는 성격적 강점 요인을 알아보고자 하는데 있다. 삶의 만족여부에 따른 성격적 강점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24개의 성격적 강점 중 친절과 자기통제력, 희망 낙관성, 유머 강점 요인만이 불만족 집단에서 높게 나타났고, 나머지 성격적 강점은 만족 집단이 모두 높게 나타났다. 삶의 만족여부에 영향을 주는 성격적 강점요인을 살펴본 결과 성격적 강점의 하위 요인중 사랑, 공정성, 감상력, 영성이 삶의 만족여부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성격적 강점요인 중 사랑과 유머 점수가 높을수록 삶에 만족할 확률이 더 높아지며, 영성, 감상력, 공정성은 점수가 낮을수록 삶에 만족할 확률이 높아진다. 또한 삶의 만족여부에 영향을 주는 강점요인은 사랑, 유머, 영성, 감상력, 공정성 순으로 분석되었다.

성인학습자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행복한 삶에 미치는 영향: 성격강점과 감사의 매개효과 (The Effects of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on Happy Life in Adult Students: The Mediating Effect of Personality Strength and Gratitude)

  • 김은미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2호
    • /
    • pp.93-100
    • /
    • 2020
  • 본 연구는 성인의 행복한 삶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성격강점, 감사가 어떤 관련이 있는 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조사대상자는 대학교와 대학원에 재학 중인 89명의 성인학습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분석을 위해 SPSS 23.0과 PROCESS Macro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설정한 변인들인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성격강점, 감사, 행복한 삶 간에는 유의미한 상관이 나타났다. 또한 독립변인인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종속변인인 행복한 삶에 영향을 미치는 직접효과는 유의미 하지 않았다. 한편 매개변인인 성격강점과 감사는 유의미하여, 간접효과와 총효과는 유의한 결과가 나타났다.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행복한 삶을 직접적으로 예측하지 못하지만 성격강점과 감사를 매개한다면 행복한 삶을 예측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