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amaecyparis obtusa

검색결과 198건 처리시간 0.031초

Investigation of Sound Absorption Ability of Hinoki Cypress (Chamaecyparis obtusa) Cubes

  • JANG, Eun-Suk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0권5호
    • /
    • pp.365-374
    • /
    • 2022
  • Today, commercialized Hinoki cypress cubes are used for fragrance, humidification, and pillows in Korea. In this study, the sound absorption ability of Hinoki cypress (Chamaecyparis obtusa) cubes was examined. The three groups of Hinoki cypress cubes were prepared depending on their dimension (L: 9 × 9 × 9, M: 7 × 7 × 7, S: 4 × 4 × 4 mm). Their sound absorption coefficient was examined after filling 6, 8, 10, and 12 cm height in impedance tubes, respectively. Overall, the sound absorption ability depending on dimension was superior in the M group compared to the L and S groups. Also, as the filling height increased, the sound absorption capacity increased. In sum, noise reduction coefficients (NRC) of all Hinoki cypress cubes were 0.41-0.59. Thus, this research found that Hinoki cypress cubes have a sound-absorbing function.

편백인공림(人工林)의 식생구조(植生構造)에 관(關)한 연구(硏究) (The Structure of Vegetation in Chamaecyparis obtusa Plantations)

  • 구관효;이강영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0권4호
    • /
    • pp.393-407
    • /
    • 1991
  • 우리나라 남부지역(南部地域)에서 조림(造林)되고 있는 편백에 대(對)한 효과적(效率的)인 조림(造林), 무육(撫育) 및 갱신방법(更新方法)을 적용(適用)하기위한 기초적(基礎的)인 자료(資料)를 얻고자 상층(上層)편백과 중(中), 하층(下層)편백의 밀도(密度), 출현종조성(出現種組成), 그리고 식생구조(植生構造)를 분석(分析)한 결과(結果)을 용약(要杓)하면 다음과 같다. 1. 편백임내(林內)에서 중요도비율(重要度比率)이 높은 수종(樹種)은 사스레피나무, 개옻나무, 편백, 비목, 서어나무, 때죽나무, 가막살나무, 초피나무, 청미레덩굴 등(等)이었으며, 편백치수(稚樹)의 중요도비율(重要度比率)은 하층(下層)에서는 높은 값을 나타내었지만 중층(中層)에서는 그 값이 점차 감소(減少)하였다. 2. 상층(上層)편백의 기저면적(基底面積)과 중(中), 하층(下層)의 편백천연치수(天然雉樹)의 밀도간(密度間)에는 부(負)의 상관(相關)이 인정(認定)되어 상층(上層)편백의 피도(被度)가 하층(下層) 편백의 밀도(密度)에 유의적(有意的)인 영향(影響)을 주었다. 3. Raunkiaer의 빈도분포(頻度分布)는 하층(下層)보다 중층식생(中層植生)에서 A급(級)과 B급(級)의 비율(比率)이 높았다. 4. Morisita 지수(指數)에 의(依)하면 편백, 개옻나무, 비목, 청미레덩굴, 작살나무, 생강나무는 하층(下層)에서 임의분포(任意分布) 하지만 중층(中層)에서는 집중분포(集中分布)하였으며, 사스레피나무, 가막살나무는 중(中), 하층(下層) 모두에서 임의분포(任意分布)하고 있었고 서어나무, 초피나무, 소태나무는 집중분포(集中分布)하고 있었다. 5. 출현종수(出現種數)와 종다양도지수(種多樣度指數)는 동부지역(東部地域) 조사구(調査區)보다 서부지역(西部地域) 조사구(調査區)에서 증가(增加)되였다. 6. 종다양도(種多樣度) 지수(指數)는 중층(中層)보다 하층(下層)이 높은 값을 나타내어 하층(下層)이 중층식생(中層植生)보다 출현종간(出現種間) 개체수(個體數)가 균일(均一)하게 구성(構成)되어 있었다. 7. 유사도(類似度) 지수(指數)를 사용(使用)한 cluster 분석(分析)에서 내륙지역(內陸地域) 조사구(調査區)와 해안지역(海岸地域) 조사구(調査區)로 구분(區分)되었다. 8. 상이도(相異度) 지수(指數)를 이용(利用)한 ordination 분석(分析)에서 중층(中層)과 하층식생(下層植生)으로 분리(分離)되었고, 중층(中層)보다는 하층식생(下層植生)이 더 진행(進行)된 천이상태(遷移狀態)를 보였다. 9. 편백임분내(林分內)에서 사스레피나무는 쇠물푸레나무, 졸참나무, 노각나무, 팥배나무, 대패집나무, 천선과나무, 마삭줄 등(等)과 정(正)의 상관(相關)을 나타내었고, 초피나무, 서어나무, 담쟁이덩굴과는 부(負)의 상관(相關) 보였다. 10. 편백림(林)의 생산성추정(生産性推定)에서 SC와 VP값은 상층(上層)편백이 94.51%, 99.63% 이었으며, 중층식생(中層植生)은 5.49%, 0.37%를 나타내었는데 그 중(中)에서 사스레피나무, 비목, 개옻나무, 서어나무, 때죽나무 순(順)으로 물질생산성(物質生産性)이 높게 나타났다.

  • PDF

편백재의 흰개미 살충활성에 관한 연구 (Termiticidal Activities of Chamaecyparis obtusa Endl. Heartwood)

  • 최인규;강하영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3권1호
    • /
    • pp.67-71
    • /
    • 2000
  • 주요 목재해충인 흰개미에 대하여 천연산 편백이 가지는 살충활성의 크기를 정량적으로 취급하고, 수종간 및 서로 다른 함침재료 간에 발생되는 활성의 차이를 termiticidal activity value(TAV, 살충활성치)로 정의하여 해석했다. 그 결과, 흰개미에 대한 TAV는 편백>육박나무>대만편백>후피향나무의 순이었으며, 특히 편백의 활성은 다른 3 수종보다 $5{\sim}9$배 강력했다. 또 편백의 median survival dosage(MSD, 반수치사량)는 108.8 mg이었다. 편백에 의한 목분시험과 여과지 함침시험 어느 경우에도 흰개미 살충활성은 첨가 시료중량의 대수치와 그 median survival time(MST, 반수치사일수)의 대수치와의 사이에 반비례 관계가 성립했다. 또한 목분과 여과지에 대한 함침재료간 활성차는 메탄올추출물에서 작은 반면 중성부에서 3.21배로 매우 컸다. 그러나 중성부의 살충력은 원목분의 $17{\sim}53%$로서 실험 조작과정에서 $47{\sim}83%$의 활성손실이 확인되었다.

  • PDF

편백 목부 정유의 항염증 효과 평가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Essential Oil Extracted from Chamaecyparis obtusa (Sieb. et Zucc.) Wood)

  • 양지윤;안창환;정의배;최원실;김재우;박미진
    • 생약학회지
    • /
    • 제48권1호
    • /
    • pp.18-24
    • /
    • 2017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anti-inflammatory effect of essential oil extracted from the wood of Chamaecyparis obtusa Sieb. et Zucc. Endl. (Cupressaceae). The essential oil was extracted from the wood of C. obtusa by hydrodistillation method, and conducted the analysis on the chemical composition of the extracted C. obtusa wood oil through GC-MS. The major constituents of the oil were found to be: ${\alpha}-pinene$ (11.4%), cadinene (5.4%), ${\delta}-cadiene$ (9.0%), ${\tau}-muurolol$ (22.2%), ${\alpha}-cadinol$ (20.8%) etc. We attempted to identify the anti-inflammatory activities of the oil when it is injected in the lipopolysaccharide (LPS)-stimulated RBL-2H3 cells, along with its effects on the secretion of interleukin-4 (IL-4), interleukin-13 (IL-13), ${\beta}-hexosaminidase$. According to the cell viability analysis conducted by MTT assay, the oil in $10^{-7}{\sim}10^{-5}%$concentration showed no effect on the cell viability. After RBL-2H3 cells treated by LPS stimulation were exposed to $10^{-7}%$ concentration of C. obtusa wood oil, the expression levels of IL-4, IL-13 within the cell were observed to remarkably decrease. Also, it was attenuated the release of ${\beta}-hexosaminidase$ from mast cells to a significantly meaningful level. These results suggest that C. obtusa wood oil exerts the anti-inflammatory effect, by regulating the expression of inflammatory cytokines, which is a valuable feature to be highly utilized as the functional materials in the future.

편백 정유의 마우스에 대한 급성경구독성 (Acute Oral Toxicity Test of Chamaecyparis obtusa Essential Oil on ICR Mice)

  • 임창우;손송이;이후장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214-219
    • /
    • 2018
  • 본 연구는 세균과 진균에 대한 항균작용, 살충작용, 항아토피 활성, 항염증 효과, 혈압강하 및 스트레스 완화 효과 등이 있는 것으로 알려진 편백 정유를 이용하여, 마우스에서의 급성경구독성시험을 수행하였다. 편백 정유를 마우스에 0, 125, 250, 500, 1,000, 2,000 mg/kg body weight의 농도로 각각 1회 경구투여한 결과, 마우스 암 수 모두 2,000 mg/kg에서 모두 생존하였으며, 모든 투여군의 체중 및 모든 혈액학적 혈액생화학적 지표값들이 대조군과 비교하여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편백 정유의 마우스에서의 $LD_{50}$은 2,000 mg/kg body weight 이상으로 확인되었다.

전라도 지역 소나무와 편백에 대한 수고생장모델 및 지위지수곡선 개발 (Developing Dominant Tree Height Growth Curve and Site Index Curves for Pinus densiflora and Chamaecyparis obtusa Grown in Jeolla-do)

  • 박희정;이상현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8권3호
    • /
    • pp.364-371
    • /
    • 2019
  • 본 연구는 전라도 지역의 주요 수종인 소나무와 편백의 흉고직경에 따른 우세목의 수고생장모델과 지위지수곡선을 개발하여 합리적인 경영과 지속가능한 산림경영체계의 기초자료를 제공할 목적으로 실시하였다. 데이터는 맞춤형 조림지도 제작을 위한 전라도 지역에 생육하고 있는 소나무 3,055본(611개 표본점), 편백 3,345본(669개 표본점)에 대한 표고, 경사도, 방위, 토양형, 우세목의 수고와 흉고직경, 수령 등을 측정하여 수집하였다. 전라도 지역 소나무와 편백에 대한 흉고직경에 따른 우세목의 수고생장모델은 Petterson식, Michailow식, Log식을 이용하였으며, 연령에 따른 우세목의 수고생장모델은 Chapman-Richards식, Schumacher식, Gompertz식을 이용하여 개발하였다. 흉고직경에 따른 우세목의 수고생장모델은 소나무와 편백 모두 잔차평균제곱의 값이 가장 낮은 Pettersosn식을 선정하였다. 연령에 따른 우세목의 수고생장모델은 국가수준에서 사용하고 있는 Chapman-Richards식을 선정하였다. 지위지수의 추정을 위하여 기준임령(Base age)은 30년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 소나무는 지위지수 6~18, 편백은 지위지수 6~22로 국가수준에서 사용하고 있는 지위지수곡선에 비해 매우 다양하게 지위를 추정할 수 있어, 현실임분의 합리적인 경영을 위한 자료제공에 적합한 것으로 판단된다.

Vegetation Type Effects on Nutrient Status and Stoichiometry of the Forest Floor in Southern Korea

  • Choonsig Kim;Nam Jin Noh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40권1호
    • /
    • pp.9-14
    • /
    • 2024
  • Quantitative evaluation of nutrient status and stoichiometry on the forest floor is a good indicator of litter quality in various vegetation typ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vegetation type on the nutrient concentration and stoichiometry of forest floors at a regional scale. Forest floor samples were collected from four vegetation types of evergreen coniferous forests including Cryptomeria japonica, Chamaecyparis obtusa, evergreen broadleaf, and bamboo spp. forests in southern Korea. The dry weight of the forest floor was higher in the C. japonica and C. obtusa forests than in the evergreen broadleaf and bamboo forests. The mean carbon (C) concentrations of the forest floor were highest in the broadleaf forest, followed by the bamboo forest, C. japonica and C. obtusa forests. Mean nitrogen (N) and phosphorous (P) concentrations in the the coniferous forests were lower than those in the broadleaf and bamboo forests. The mean C:N ratio was the highest in C. obtusa forest (118±25), followed by C. japonica (66±6), evergreen broadleaf (41±1), and bamboo (30±1) forests. However, C:P and N:P ratios were lower in the coniferous forests than in the broadleaf forest indicating that the stoichiometry of the forest floor varies across vegetation types. The C, N, and P stocks on the forest floor were higher in the C. obtusa forest than in the broadleaf or bamboo forests. These results highlight that vegetation type-dependent stoichiometric ratio is an useful indicator for understanding interspecific difference in quality and quantity of the forest floor.

소나무 및 편백나무 수용성 정유를 이용한 Trichoderma spp.의 생장억제 활성 (Antifungal Activity against Trichoderma spp. of Water Soluble Essential Oil extracted from Pinus densiflora and Chamaecyparis obtusa)

  • 여희동;정지영;남정빈;김지운;김희규;최명석;;;양재경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7권6호
    • /
    • pp.585-599
    • /
    • 2009
  • 본 연구는 수목으로부터 분리된 수용성 정유를 이용하여 버섯에 병해를 일으키는 푸른곰팡이병의 원인 미생물인 Trichoderma에 대한 항균활성을 확인하고자 시도되었다. 소나무(Pinus densiflora)와 편백나무(Chamaecyparis obtusa) 잎으로부터 GAP (Gas assisted process)을 이용하여 수용성 정유를 획득하였다. 버섯의 푸른 곰팡이병을 발생시키는 Trichoderma spp. 곰팡이 5종은 $25^{\circ}C$에서 균사생장이 가장 높았으며, pH 5.0의 배지조건에서 가장 양호한 균사 생장을 나타내었다. 소나무와 편백나무 잎의 수용성 정유는 3.9% 및 3.7%의 수율을 나타내었다. 소나무와 편백나무 잎 정유의 화학적 조성은 동일 화합물이 많았으며, 동일 화합물로는 $\alpha$-Terpineol acetate, Terpinen-4-ol 및 $\alpha$-Terpineol이 확인되었다. 소나무 잎의 수용성 정유는 5000 ppm 농도에서 Trichoderma harzianum에 대하여 가장 높은 항균활성을 나타냈으며, 편백나무 잎의 수용성 정유 또한 5000 ppm 농도에서 Trichoderma atroviride에 대하여 가장 높은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편백나무 추출액의 항균 및 항산화 활성 (Antibacterial and Antioxidant Activity of Chamaecyparis obtusa Extracts)

  • 김보경;강정현;오근혜;황지영;장석위;김미향
    • 생명과학회지
    • /
    • 제29권7호
    • /
    • pp.785-791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편백나무(Chamaecyparis obtusa) 추출액의 항산화 활성 및 항균활성을 검토하였다. 편백나무 추출액의 항산화 활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DPPH radical 소거능, ABTS radical 소거능 및 SOD 유사 활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편백나무 추출액의 DPPH radical 및 ABTS radical 소거 활성은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였으며, $50{\mu}l/ml$ 농도에서 78% 및 62%의 최대 활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편백나무 추출액은 높은 SOD 유사 활성을 보였으며, $50{\mu}l/ml$ 농도에서 92.85 %의 최대 활성을 나타내었다. 한편, 편백나무 추출액의 항균 활성을 측정하기 위해 Paper disc agar diffusion 법을 이용하여 식중독 및 질병을 일으키는 6종의 균주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편백나무 추출액은 B. cereus, E. coli, L. monocytogenes, S. aureus, S. typhi, V. parahaemolyticus에 대한 항균 활성이 나타났고, 이중 B. cereus에 대하여 가장 강한 항 박테리아 활성을 보였다. 이상과 같이 항균 활성이 나타난 6종의 균주에서 편백나무 추출액의 MIC 및 MBC는 $30{\sim}40{\mu}l/ml$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편백나무 추출액을 이용하여 식중독과 같은 병원균의 성장을 억제하는 항균 소재로 개발한다면 산업적 가치가 높을 것으로 생각된다.

편백(Chamaecyparis obtusa) 정유의 항균, 항염, 항산화 효과 (Biological Activities of Essential Oil from Chamaecyparis obtusa)

  • 안정엽;이성숙;강하영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503-507
    • /
    • 2004
  • 천연물은 지역 및 그 이용 특성에 따라 약용 및 식용으로 다양한 쓰임새가 있으며 그 연구 대상으로는 초본, 목본 등의 식물류와 담자균류, 미생물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그리고 최근 연구가 활성화된 해양생물과 광물에까지 다양하게 소재를 탐색 할 수 있다 그 결과물의 활용은 의약품, 식품 및 화장품의 소재로써 넓게 쓰일 수 있다. 본 연구는 천연물의 활용이 날로 증가되는 현상과 더불어 이미 알려진 수목의 물질 소재에 대해 다양한 생리활성 검색을 실시하여 그 적용을 검토하여 보고하고자 한다. 선택된 수목 수종은 우리나라 자생 침엽수 중 가장 계절적 수량적 확보가 용이하다고 보고된 편백 정유를 이용하여 항세균, 항산화 그리고 항염 작용에 대한 활성 정도를 검토하였다. 항세균 활성 검정에는 그람음성균 2종과 그람양성균 2종에 대하여 실험하였으며 disc paper법, 탁도법, $IC_{50}$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MIC) 등을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 항세균 효과는 그람음성균보다 그람양성균에 대해 보다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랫드를 이용한 in vitro 항염 실험을 실시한 결과에서는 실험 대조균의 $75\%$를 상회하는 수준으로 검토되었으며 hyaluronidase 저해 정도를 이용한 in vitro 실험에서는 $55\%$의 저해 정도를 나타내었다. 항산화 정도는 methanol based DPPH법에 의해 $0.78\%\;(IC_{50})$를 나타내었으며 butylated hydroxy toulene (BHT)를 표준 물질로 사용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