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ain Structure

검색결과 1,301건 처리시간 0.054초

환경과 공급체인 구조와의 관계에 관한 연구 (A Study about the Relation of Product Environment and Supply Chain Structure)

  • 문성암;곽신영;박성훈
    • 한국유통학회지:유통연구
    • /
    • 제7권1호
    • /
    • pp.41-59
    • /
    • 2002
  • 본 연구는 제품의 영업환경에 따라 공급체인구조가 어떻게 달라지는가에 대하여 실증적으로 분석한 것으로서 환경과 공급체인구조에 있어 기존의 논의대상인 기업(business)수준이 아닌 제품 단위에서 공급체인구조에 대한 분석이 이루어 졌다. 이는 기업내 각각의 제품에 따라 제품특성별로 공급체인관리가 이루어져야 하는 중요성을 인식할 때 통합적 공급체인관리에 있어 제품단위의 분석은 필수적이라 할 수 있다. 이에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제품환경을 특성에 따라 분류해 공급체인 구조와의 관계를 연구하였다. 여기서 공급체인 구조변수는 기존 문헌연구를 통해 도출하였다. 본 실증 연구를 위하여 제품별 공급체인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통계방법은 주로 분산분석(ANOVA)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제품 영업환경과 공급체인구조간의 관련성을 분석한 결과, 제품의 영업환경에 따라 공급체인구조가 달라짐을 보였다. 제품영업환경의 두집단, 즉 불확실한 제품환경집단과 안정된 제품환경집단에 따라 공급체인 구조변수(공급체인 참여자수, 공급체인리드타임, 관리적 독립성, 공급체인의 대응점)의 관계에 있어서는 공급체인 참여자수를 제외한 모든 구조변수에서 모두 유의미한 관계를 나타내었다. 공급체인의 구조변수에서 공급체인의 길이를 나타내는 변수로는 공급체인의 참여자수와 공급체인 리드타임이며, 공급체인에 대한 모니터링이나 트러스트 측면을 나타내는 변수로는 관리적 독립성과 공급체인의 대응점이다. 분석결과 환경이 불확실한 제품의 경우 공급체인의 길이측면에서는 안정된 제품보다 짧게 나타나고 있고 공급체인에 대한 모니터링이나 트러스트 측면에서는 환경이 불확실한 제품이 안정된 제품보다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영업환경이 불확실한 제품의 경우 공급체인 구조를 디자인함에 있어서 시장(market)보다는 위계 (hierarchy)위주의 관리에 주안점을 두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으며, 반면 영업환경이 안정된 제품의 경우에는 시장 (market)위주의 관리 방식에 초점을 두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물류비용을 고려한 공급사슬 유연성 구조에 관한 연구 (Impact of Logistics Costs on Supply-Chain Flexibility Structure)

  • 남진모;박건수
    • 한국경영과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21-35
    • /
    • 2014
  • As productions and deliveries of multiple products to multiple marketplaces have been increasingly popular, supply chain flexibility, which refers to an ability to deal with demand and capacity uncertainty, becomes an important issue in supply chain management. However, logistics costs have been largely neglected in the literature on supply chain flexibility structure. In this paper, we propose mathematical models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the logistics costs on the optimal flexibility structure. We also conduct a simulation study and observe that logistics costs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 decision on supply chain flexibility structure. Such conclusion is also supported by the case study of a global car manufacturer, Honda Motors.

공급사슬구조에 따른 SCM 활동과 경영성과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CM Activity and Business Performance varied with the Supply Chain Structure)

  • 장형욱;이상식;박병권
    • 한국정보시스템학회지:정보시스템연구
    • /
    • 제15권2호
    • /
    • pp.173-193
    • /
    • 2006
  • This study first conceptualizes and investigates five dimensions of SCM activities, such as organizational capacity, revitalization support collaboration, appraisal and responsibility, and information system activities. Second, this study develops three dimensions of a supply chain structure, and proposes a balanced scorecard (BSC) model in order to measure business performance. And then, this study establishes too research hypotheses as follows: H1. The SCM activities varies with the supply chain structure. H2. The management performance varies with the supply chain structure. In the questionnaire survey for empirical analysis, this study carefully selected 809 of companies in Korea. We conducted a survey by mail and collected 127 data. Out of 127 data we actually used 103 responses for statistical analysis. After conducting statistical analysis, we could find the results as followed: 1) The supply chain structure was classified into three networks through a clustering procedure, such as supply network, conversion network, and distribution network, and these networks were used to testify hypotheses. As a result the effect of SCM activities varies according to three networks and especially, the companies in distribution network were more active than those in supply and conversion networks doing SCM activities. 2) We may conclude that business performance varies with three networks, and distribution network achieves better performance than supply and conversion networks do.

  • PDF

중소기업에서의 공급사슬 위험관리를 위한 패러다임 전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aradigm Shift of Supply Chain Risk Management for SMEs)

  • 윤승옥;이창호
    •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71-77
    • /
    • 2012
  • It is very important the collaboration and risk management of supply chain between the parent company and its partners in the supply chain risk management(SCRM). It was known that the SCRM approach is very different between a large enterprise and a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 This paper deals with the suggestion about SCRM structure for a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 This SCRM structure consist of risk identification, risk assessment, and risk mitigation. We expect that this SCRM structure promote the collaboration between a parent company and its partners to alleviate the supply chain risk.

공급 사슬 참여 기업간 기존 거래 관계와 IT 기반 협업 활동이 공급 사슬 성과에 미치는 영향: 흡수 역량을 중심으로 (The Impact of Existing Relationship and IT-based collaboration activities on the Performance of Supply chain: Focused on Absorptive Capacity)

  • 이원준;박기우;강윤정
    • 지식경영연구
    • /
    • 제19권4호
    • /
    • pp.77-98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examine the existing relations structure and IT use for collaboration activities on supply chain and their impacts on the performance of supply chain. This study made a design of the research model that was further constructed by integrating the relationship structure, IT exploration, IT exploitation, supply chain collaboration, absorptive capacity, and knowledge creation, efficiency and efficient. The survey data were collected from 378 companies, where firms are facing increased global competitive pressure and heavily utilize SCM to retain their competitive advantages. The authors validated a measurement model with structural equation modelling and tested eight hypotheses. As a result, the absorptive capacity was closely related to trust, IT exploitation and IT exploration, but supply chain collaboration. Examining the effect of supply chain collaboration with two types of absorptive capacity, the authors found positive effect on potential absorptive capacity, but a non-significant effect on realized absorptive capacity. This finding suggests that the improving performance of supply chain not only is related to the relations structure and IT use on supply chain, but also is closely related to the absorptive capacity.

쌀의 아밀로펙틴 분자구조와 밥의 텍스쳐 (Relationship between Molecular Structure of Rice Amylopectin and Texture of Cooked Rice)

  • 강길진;김관;김성곤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105-111
    • /
    • 1995
  • 밥의 식미가 다른 일반계와 통일계 쌀을 대상으로 아밀로펙틴과 그 베타-한계덱스트린의 분자구조적 특성을 조사하고 밥의 텍스쳐와의 관련성을 검토하였다. 쌀 전분의 아밀로펙틴 분자구조는, 아밀로펙틴과 베타-한계 덱스트린의 사슬분포로 보아, $\overline{DP}$ 12.4의 A 사슬, $\overline{DP}$ 20.6의 짧은 B 사슬, $\overline{DP}$ 26.3의 중간 B 사슬, $\overline{DP}$ 45의 긴 B 사슬과 $\overline{DP}$ 55 이상의 초장쇄로 이루어진 polymodal이었다. 아밀로펙틴의 초장쇄는 긴 직쇄를 가진 사슬로서 아밀로펙틴의 평균 사슬길이, 고유점도, 베타-아밀라아제 분해한도와 정의 상관을 보이나 요오드 복합체의 최대흡수파장과는 부의 상관을 보였다. 아밀로펙틴과 베타-한계 덱스트린의 분자구조적 성질은 일반계와 통일계 쌀 시료간 차이를 보였다. 아밀로펙틴의 A 사슬에 대한 B 사슬의 비율은 일반계가 통일계 보다 약간 높았으나 초장쇄의 분포 비율은 일반계가 통일계 보다 더 낮았다. 아밀로펙틴의 분자구조와 밥의 텍스쳐와의 관계에서, 고유점도, 베타-아밀라아제 분해한도와 사슬길이 그러고 초장쇄는 밥의 경도와 정의 상관을, 부착성과는 부의 상관을 보였다. 따라서 밥의 식감은 아밀로펙틴의 긴 사슬이 적고 짧은 사슬이 많이 분포할 수록, 밥의 경도가 낮고 부착성이 높았다. 이러한 결과는 아밀로펙틴의 분자구조가 밥의 텍스쳐와 밀접한 관계가 없음을 나타내고 있다.

  • PDF

공모된 체인 절단 공격으로부터 QCRT를 이용한 이동 에이전트의 보호 기법 (A Security Scheme of Mobile Agent using QCRT from Colluded Truncation Attacks)

  • 정창렬;김광오;송진국;이성근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5권2호
    • /
    • pp.382-388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프로로밍 에이전트의 데이터의 안전한 수행을 위해 악의적인 요인들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절단공격으로부터 안전한 실행을 보장한다. 또한 기존의 체인관계보다 확장성을 개선한 쿼리 트리체인 관계(QCRT:query chain relationship tree)구조를 형성함으로써 악의적인 요소를 효과적으로 검출 할 수 있다. 또한 체인 관계 구조를 에이전트의 여정에 따라 형성되는 구조로 체크함으로써 에이전트의 체인관계를 확장하였다. 단면적인 체인관계의 확장으로 기존의 취약한 요소들을 보완하여 이동 에이전트의 절단공격으로부터 실행 보장을 하였다.

Preparation and Properties of New Metal-chain Compounds with Commensurate Peierls Structure

  • Lee, Kuk-Haeng;Kim, Ja-Hong;Mizuno, Masagi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8권3호
    • /
    • pp.137-140
    • /
    • 1987
  • New platinum chain compounds, $[M(en)_2]_{0.80}[Pt(ox)_2]{\cdot}2H_2O$ where M = Cu or Pt, en = ethylenediamine and ox = oxalate, have been prepared and found to have a commensurate Peierls structure as evidenced by the five-fold Pt chain periodicity and unusually low electrical conductivity $(1.5{\times}10^{-5}{\sim}5.7{\times}10^{-3}S/cm)$. Including two other compounds with the Peierls structure, their characteristic features were deduced and explained from the point of view of the band theory.

Solution Structure of an Active Mini-Proinsulin, M2PI: Inter-chain Flexibility is Crucial for Insulin Activity

  • Cho, Yoon-Sang;Chang, Seung-Gu;Choi, Ki-Doo;Shin, Hang-Cheol;Ahn, Byung-Yoon;Kim, Key-Sun
    • BMB Reports
    • /
    • 제33권2호
    • /
    • pp.120-125
    • /
    • 2000
  • M2PI is an active single chain mini-proinsulin with a 9-residue linker containing the turn-forming sequence 'YPGDV' between the B- and A-chains, but which retains about 50% of native insulin receptor binding activity. The refolding efficiency of M2PI is higher than proinsulin by 20-40% at alkaline pH, and native insulin is generated by the enzymatic conversion of M2PI. The solution structure of M2PI was determined by NMR spectroscopy. The global structure of M2PI is similar to that of native insulin, but the flexible linker between the B- and A-chains perturbed the N-terminal A-chain and C-terminal B-chain. The helix in the N-terminal A-chain is partly perturbed and the ${\beta}$-turn in the B-chain is disrupted in M2PI. However, the linker between the two chains was completely disordered indicating that the designed turn was not formed under the experimental conditions (20% acetic acid). Considering the fact that an insulin analogue, directly cross-linked between the C-terminus of the B-chain and the N-terminus of the A-chain, has negligible binding activity, a flexible linker between the two chains is sufficient to keep binding activity of M2PI, but the perturbed secondary structures are detrimental to receptor binding.

  • PDF

가상현실 미디어 체험이 가치사슬구조형성에 미치는 영향 연구 VR-AR 수단-목적 사슬이론 적용 중심으로 (A Research on Value Chain Structure on Experience of VR and AR Focused on Means-End Chain Theory on VR and AR)

  • 권상희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19권1호
    • /
    • pp.49-66
    • /
    • 2018
  • 본 연구는 VR-AR 체험(Experiential Uses) 행위과정에 나타난 가치단계 요인을 분석(속성, 기능적 혜택, 심리적 혜택, 사용가치), 이용자의 체험 과정에 나타난 욕구와 이용행위 간의 '가치단계도(HVM : Hierarchical Value Map)'에 관한 모형을 구성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수단-목적 사슬 이론(means-end chain theory)'를 적용, 개인적 VR-AR 경험에 나타난 가치사슬을 측정하였다. 본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1차로 AR-VR 콘텐츠 적합도 측정과 2차로 APT래더링을 활용한 구조화 된 설문지를 통하여 135명의 자료를 분석하여 VR-AR 관련 미디어 이용 선택의 '속성'- '기능적 혜택'- '심리적 혜택'- '이용 가치'에 이르는 수단-목적 가치사슬 구조를 파악한 후 가치단계도(HVM)로 VR-AR체험 가치 관계를 실증할 수 있었다. 연구결과, VR 이용자들은 새로운 가상현실 시청각 요소를 통해 현실이탈, 체험의 생생함, 유행선도를 통하여 새로운 성취감, 재미와 즐거움을 통하여 사회생활을 원활히 하고자 하였다. AR이 가지는 생생함과 주변 상호작용을 통하여 자아실현, 타인과 상호작용에 가치를 두고 있으며,'주변인'의 영향이 크게 작용하였고 이들과의 상호작용이 중요한 선택 목적이었다. 이용자들의 VR-AR 선택의 중요 가치는 타인과 상호작용 증진이며 성취감, 행복과 우호적인 가치 속성도 중요하게 고려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