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aga

검색결과 40건 처리시간 0.034초

Introduction to Distribution and Ecology of Sterile Conks of Inonotus obliquus

  • Lee, Min-Woong;Hur, Hyeon;Chang, Kwang-Choon;Lee, Tae-Soo;Ka, Kang-Hyeon;Jankovsky, L.
    • Mycobiology
    • /
    • 제36권4호
    • /
    • pp.199-202
    • /
    • 2008
  • Inonotus obliquus is a fungus that causes white heart rot on several broad-leaved species. This fungus forms typical charcoal-black, sterile conks (chaga) or cinder conks on infected stems of the birche (Betula spp). The dark brown pulp of the sterile conk is formed by a pure mycelial mass of fungus. Chaga are a folk remedy in Russia, reflecting the circumboreal distribution of I. obliquus in boreal forest ecosystems on Betula spp. and in meridional mountain forests on beech (Fagus spp.) in Russia, Scandinavia, Central Europe, and Eastern Europe. Distribution at lower latitudes in Western and Southern Europe, Northern America, Asia, Japan, and Korea is rare. Infected trees grow for many years without several symptoms of decline. The infection can penetrate through stem injuries with exterior sterile conks developing later. In the Czech Republic, cinder conk is found on birches inhabiting peat bogs and in mountain areas with a colder and more humid climate, although it is widespread in other broad leaved species over the Czech Republic. The most common hosts are B. pendula, B. pubescens, B. carpatica, and F. sylvatica. Less frequent hosts include Acer campestre, Acer pseudoplatanus, Alnus glutinosa, Alnus incana, Fraxinus excelsior, Quercus cerris, Q. petraea, Q. robur, Q. delachampii, and Ulmus sp.

차가버섯 추출물에 의한 신경교모세포종 U-87 MG 세포의 증식 억제 효과 (Inhibition Effect of Cell Proliferation and Apoptosis by Inonotus obliquus in Human Glioblastoma U-87 MG Cells)

  • 신정아;박주현;김선희;송관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2권7호
    • /
    • pp.1022-1028
    • /
    • 2013
  • 러시아에서 여러 민간요법으로 사용되어지고 있는 차가버섯은 대장암, 위암 등에서 항암효능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뇌종양에 대한 연구는 현재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차가버섯의 항암 효능에 대한 기전 연구도 미미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신경교모세포종 U-87 MG 세포주에 대한 성장억제 효과를 확인하고자 세포생존율 변화와 형태학적 변화, 세포주기에 미치는 영향과 세포사멸 관련 단백질 및 세포주기 조절 단백질의 발현 변화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차가버섯 추출물을 처리한 U-87 MG 세포 생존율이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Bcl-2, Bax와 p-p53 단백질 수준차이는 없었고 caspase-3 활성에 영향을 미쳐 죽음 수용체 경로에 의한 세포사멸이 이루어졌다. 또한 세포주기를 관찰한 결과 $G_0/G_1$ 세포주기에서 성장 억제를 확인하였으며, 이는 cyclin D1, CDK2 단백질 발현량의 감소와 RB 단백질의 인산화 억제 때문이라는 결론에 도달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차가버섯을 뇌종양의 치료 및 보조제로서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식용 버섯류에서의 인공 방사능 농도 조사 (Monitoring of Artificial Radionuclides in Edible Mushrooms in Korea)

  • 조한길;김지은;이성남;문수경;박용배;윤미혜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3권6호
    • /
    • pp.488-494
    • /
    • 2018
  • 경기도내 유통되는 식용 버섯류의 방사능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버섯 종류별, 원산지별 샘플을 수거하여 방사능 오염도를 분석하였다. 버섯류 10종(표고버섯, 느타리버섯, 새송이버섯, 양송이버섯, 팽이버섯, 상황버섯, 차가 버섯, 목이버섯, 영지버섯, 송이버섯) 총 284건을 수거하여 방사능 검사를 수행하였다. 인공방사성물질인 131I, 134Cs 와 137Cs의 방사능 농도는 감마선 측정 장비로 분석하였다. 모든 버섯 샘플에서 131I과 134Cs은 MDA 값 이상에서 검출되지 않았다. 그러나 국내산 204건 중 총 6건(표고버섯 3건, 영지버섯 1건, 송이버섯 2건)에서 137Cs이 0.21~2.58 Bq/kg 검출되었고, 수입산 80건 중 총 38건(차가버섯 22건, 상황버섯 14건, 표고버섯 1건, 송이버섯 1건)에서 137Cs이 0.21~53.79 Bq//kg 검출되었다. 그리고 차가버섯을 이용한 가공품 10건에서는 건조 차가버섯에 비해 평균 2배 이상의 137Cs가 검출되었고, 최고 123.79 Bq/kg이 확인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식품안전 확보를 위해 일부 수입 버섯류와 가공품에 대한 방사능검사 강화와 함께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하다 하겠다.

Immunomodulatory Activity of the Water Extract from Medicinal Mushroom Inonotus obliquus

  • Kim, Yeon-Ran
    • Mycobiology
    • /
    • 제33권3호
    • /
    • pp.158-162
    • /
    • 2005
  • The immunomodulatory effect of aqueous extract of Inonotus obliquus, called as Chaga, was tested on bone marrow cells from chemically immunosuppressed mice. The Chaga water extract was daily administered for 24 days to mice that had been treated with cyclophosphamide (400 mg/kg body weight), immunosuppressive alkylating agent. The number of colony-forming unit (CFU)-granulocytes/macrophages (GM) and erythroid burst-forming unit (BFU-E), increased almost to the levels seen in non-treated control as early as 8 days after treatment. Oral administration of the extract highly increased serum levels of IL-6. Also, the level of $TNF-{\alpha}$ was elevated by the chemical treatment in control mice, whereas was maintained at the background level in the extract-treated mice, indicating that the extract might effectively suppress $TNF-{\alpha}$ related pathologic conditions. These results strongly suggest the great potential of the aqueous extract from Inonotus obliquus as immune enhancer during chemotherapy.

Streptozotocin 유발 당뇨쥐에서 발효 차가버섯의 항당뇨 및 항산화 효과 (Hypoglycemic and Antioxidative Effects of Fermented Chaga Mushroom (Inonotus obliquus) o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 차재영;전방실;이치형;유기수;문재철;조영수
    • 생명과학회지
    • /
    • 제15권5호
    • /
    • pp.809-818
    • /
    • 2005
  • 차가버섯 (Inonotus obliquus) 분말을 Bacillus sp.로 발효시켜 streptozotocin (STZ)-유발 당뇨쥐에 $ 5\%(w/w)$ 수준으로 첨가한 반합성 식이를 3주간 투여하여 혈당치 및 과산화지질 농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차가버섯 및 발효 차가버섯의 다당체는 각각 $42.9\%$$39.1\%$였으며, 폴리페놀 화합물 함량은 각각 $0.80\%$$0.91\%$였다. 식이 및 음료 섭취량, 혈청 중의 glucose, insulin, triglyceride, blood urea nitrogen농도는 당뇨 대조군과 차가버섯 투여군 보다는 발효 차가버섯 투여군에서 현저히 감소하였다. 혈청 중의 간 기능 임상치료 효소인 AST 및 ALT 활성도 발효 차가버섯 투여군에서 역시 감소하였다. 그러나 혈청 total cholesterol 및 creatinine 농도는 각 실험군간에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한편, 간 조직의 homogenate, microsomal 및 mitochondria 분획의 과산지질 농도는 당뇨쥐에 발효 차가버섯 투여로 현저히 감소하였다. 간 조직에서 내인성 항산화물질로 알려져 있는 glutathione 농도가 발효 차가버섯 투여군에서 현저히 증가함으로써 과산화지질 농도 억제에 의한 항산화 활성과 밀접한 관련성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차가버섯 투여군에서는 발효 차가버섯 보다는 미약한 항산화 활성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발효 차가버섯은 streptozotocin-유발 당뇨쥐에서 우수한 항당뇨 및 항산화 효과를 발휘하였다.

추출조건에 따른 차가버섯 생리활성 및 면역활성 다당 (Pharmacological Activity of Chaga Mushroom on Extraction Conditions and Immunostimulating Polysaccharide)

  • 백길훈;정헌상;김훈;윤택준;서형주;유광원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1권10호
    • /
    • pp.1378-1387
    • /
    • 2012
  • 추출조건에 따른 생리활성 영향을 검토하기 위하여 차가버섯(Inonotus obliquus)을 물($50^{\circ}C$ reflux, $90^{\circ}C$ 이상 decoction, $12^{\circ}C$ 가압추출)과 에탄올(50, 70과 $90^{\circ}C$ reflux)로 추출한 후 물 추출물을 조다당획분(IO-CP)으로 분획하였을 때 IO-CP(4.8~16.8%)의 수율은 에탄올추출물(IO-E, 1.9~2.7%)보다 높았으며 추출온도 증가에 따라 그 차이는 더 컸다. 가압추출로 조제된 조다당획분(IO-CP-121)은 가장 높은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35.10 mg TAE/g와 18.48 mg QE/g)과 DPPH와 ABTS를 이용한 자유 라디칼소거능(26.08과 27.99 mg AEAC/100 mg)을 나타내었다. IO-CP-D(decoction)와 IO-CP-50(reflux)은 IO-CP-121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마이토젠(saline 대조군의 2.10과 1.95배, 100 ${\mu}g/mL$)과 장관면역 활성(6.30과 5.74배)을 보였으나 에탄올추출물 활성은 확인되지 않았다. 또한, 모든 IO-CP는 0.1 mg/mL 농도에서 RAW 264.7 세포주에 대하여 독성을 나타내지 않았으나, IO-CP-121이 LPS-자극 RAW 264.7 세포주에 대하여 가장 유의적으로 염증성 인자인 TNF-${\alpha}$와 nitric oxide(NO) 생성을 억제하였다(29.2와 63.5%). 에탄올추출물도 0.1 mg/mL 농도에서 독성을 보이지 않았으나 TNF-${\alpha}$와 NO의 생성 억제능은 IO-CP-121보다 현저히 낮음을 알수 있었다. 한편, 활성 다당획분을 분리하기 위하여 면역활성 획분인 IO-CP-D를 DEAE-Sepharose CL-6B column에서 비흡착 획분(IO-CP-I)과 7개의 흡착 획분(IO-CP-II~VIII)으로 분획한 결과, IO-CP-II가 가장 우수한 마이토젠과 마크로파지 활성(4.51과 1.64배)을 나타내었다. 이와 같이 분리된 면역활성 획분인 IO-CP-II는 주로 중성당(61.86%)과 함께 소량의 산성당(2.96%)을 포함하고 있는 다당류임이 밝혀졌으며, 주요 구성당으로서 Glc, Gal와 Man(molar ratio of 1.00:0.55:0.31)를 포함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추출조건은 차가버섯 생리활성에 중요하게 작용하고 있으며, decoction 추출방법으로 제조하여 분획한 면역활성 획분으로부터 차가버섯 면역활성은 적어도 중성 다당류가 관여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고전압 펄스 전기장 기술을 이용한 차가버섯 추출물의 피부 효능 증대 방법 (New Approaches to Increase Skin Efficacy of Chaga Mushroom Extract using High Voltage P ulsed Electric Fields Technology)

  • 성미경;강정욱;정윤주;김봉준;조항의;조현대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6권3호
    • /
    • pp.231-241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고전압 펄스 전기장 기술을 사용하여 식물 내 유효성분과 피부 효능을 증대시키고자 하였다. 고전압 펄스 전기장을 전처리한 차가 버섯(Inonotus obliquus) 추출물을 제조한 후, 성분 측정과 피부 효능 평가를 수행하였다. 총 당과 폴리페놀 함량은 0.5 kV/cm에서 50 Hz, 25 Hz 전처리 추출물 순으로, 총 단백질 함량은 0.5 kV/cm, 25 Hz 전처리 추출물에서 상온 물 추출물과 에탄올 추출물보다 높게 측정되었다. DPPH 소거능 효과는 폴리페놀 함량 결과와 유사하게 0.5 kV/cm에서 25 Hz, 50 Hz의 전처리 추출물에서 가장 우수하였다. 피부 효능에서는 단백질 함량이 가장 높은 0.5 kV/cm, 25 Hz 전처리 추출물에서 sodium dodecyl sulfate (SDS)와 UVB에 대한 세포 보호효과가 가장 우수하였으며, 0.5k V/cm에서 50 Hz, 100 Hz 전처리 추출물에서 히알루론산 생성 촉진이 가장 우수하였다. 따라서 고전압 펄스 전기장 전처리 차가 추출물의 유효성분, 피부 효능이 증대하는 것을 확인하여 세포 보호 및 보습 효과가 있는 기능성 소재로의 개발이 가능하며, 이러한 green technology가 화장품 분야와 소재개발에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Secondary Fermented Extract of Chaga-Cheonggukjang Attenuates the Effects of Obesity and Suppresses Inflammatory Response in the Liver and Spleen of High-Fat Diet-Induced Obese Mice

  • Na, Ha Gyoon;Park, Yuna;Kim, Min-Ah;Lee, Jin Woo;So, Gyeongseop;Kim, Sung Hyeok;Jang, Ki-Hyo;Kim, Mi-Ja;Namkoong, Seung;Koo, Hyun Jung;Lee, Sung Ryul;Sohn, Eun-Hwa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9권5호
    • /
    • pp.739-748
    • /
    • 2019
  • Cheonggukjang and chaga mushrooms have numerous health benefits, and have been used in alternative medicine. Therefore, a powder mixture of 98: Cheonggukjang and 2: Chaga extracts was fermented with Lactobacillus acidophilus KCTC3925 (FCC) and its anti-obesity effects in high-fat diet (HFD)-induced obese mice were determined. Five-week-old male ICR mice were fed a normal diet or HFD in the presence or absence of 3% and 5% FCC by weight (n = 10 per group). After 12 weeks, the mice were sacrificed, and the serum and tissue samples were collected for analysis. Body weight and epididymal fat pad weight were significantly lowered in the 3% and 5% FCC groups compared with those in the HFD control group (p < 0.01). FCC supplementation suppressed serum triglyceride and increased serum HDL-C levels (p < 0.01). Serum GOT, GPT, and leptin levels, hepatic COX-2 mRNA expression, and splenic COX-2 and IL-4 mRNA expression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HFD groups than in the control group (p > 0.05); however, except for splenic IL-4 levels, the increases were significantly attenuated by FCC supplementation. Expression of ICAM-1, an aortic inflammatory marker,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HFD group; this effect was suppressed in the 3% FCC group (p < 0.01) but not in the 5% FCC group. FCC suppressed the body weight and epididymal fat pad weight gain, as well as inflammatory responses in the liver and spleen of HFD-fed mice. Thus, FCC supplementation will be beneficial for the treatment of obesity-related effects.

Ethanol extract of Innotus obliquus (Chaga mushroom) induces $G_1$ cell cycle arrest in HT-29 human colon cancer cells

  • Lee, Hyun Sook;Kim, Eun Ji;Kim, Sun Hyo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9권2호
    • /
    • pp.111-116
    • /
    • 2015
  • BACKGROUND/OBJECTIVES: Inonotus obliquus (I. obliquus, Chaga mushroom) has long been used as a folk medicine to treat cancer. In the present study, we examined whether or not ethanol extract of I. obliquus (EEIO) inhibits cell cycle progression in HT-29 human colon cancer cells, in addition to its mechanism of action. MATERIALS/METHODS: To examine the effects of Inonotus obliquus on the cell cycle progression and the molecular mechanism in colon cancer cells, HT-29 human colon cancer cells were cultured in the presence of $2.5-10{\mu}g/mL$ of EEIO, and analyzed the cell cycle arrest by flow cytometry and the cell cycle controlling protein expression by Western blotting. RESULTS: Treatment cells with $2.5-10{\mu}g/mL$ of EEIO reduced viable HT-29 cell numbers and DNA synthesis, increased the percentage of cells in $G_1$ phase, decreased protein expression of CDK2, CDK4, and cyclin D1, increased expression of p21, p27, and p53, and inhibited phosphorylation of Rb and E2F1 expression. Among I. obliquus fractions, fraction 2 (fractionated by dichloromethane from EEIO) showed the same effect as EEIO treatment on cell proliferation and cell cycle-related protein levels. CONCLUSIONS: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fraction 2 is the major fraction that induces $G_1$ arrest and inhibits cell proliferation, suggesting I. obliquus could be used as a natural anti-cancer ingredient in the food and/or pharmaceutical indust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