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ereal Crop

검색결과 413건 처리시간 0.028초

열처리와 발아에 따른 왕겨(Oryza sativa L.)의 Tricin과 Tricin 4'-O-(Threo-β-Guaiacylglyceryl) Ether 함량 (Tricin and Tricin 4'-O-(Threo-β-Guaiacylglyceryl) Ether Contents of Rice Hull (Oryza sativa L.) with Heat Treatment and Germination)

  • 윤나라;장귀영;이윤정;;김민영;김현영;이준수;정헌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5권5호
    • /
    • pp.696-701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열처리 및 발아와 발아 벼로부터 추출한 조효소액에 의한 왕겨의 tricin과 4'-O-(threo-${\beta}$-guaiacylglyceryl) ether(TTGE)의 함량 변화에 대해 살펴보았다. 열처리에 의한 왕겨의 tricin과 TTGE의 함량은 온도 및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고 $130^{\circ}C$에서 1시간 처리하였을 때 각각 253.12 및 $208.39{\mu}g/g$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발아 2일차에서 각각 118.20 및 $95.37{\mu}g/g$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발아일수별 벼의 조효소액을 여과한 조효소액 및 여과 후 남은 잔여물을 접종한 결과 여과한 조효소액의 처리구에서는 뚜렷한 함량 차이가 없었으나 잔여물을 처리하였을 때 tricin 및 TTGE의 함량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특히 발아 벼 6일 차에서 각각 361.76 및 $308.08{\mu}g/g$으로 가장 많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tricin과 TTGE의 함량을 가장 많이 증대시킬 수 있는 조건은 발아 6일차 벼로부터 추출한 조효소액 여과 잔여물을 처리한 경우로 나타났다.

감국, 산국 및 구절초꽃 분말 차의 항산화활성과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Chrysanthemum indicum L., Chrysanthemum boreale M. and Chrysanthemum zawadskii K. Powdered Teas)

  • 이상훈;황인국;노진우;장영득;이철희;우관식;정헌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8권7호
    • /
    • pp.824-831
    • /
    • 2009
  • 감국, 산국 및 구절초꽃 열수추출물에 덱스트린과 말토덱스트린 부형제의 첨가량을 달리하여 분말차를 제조하고 이의 품질특성과 관능특성을 평가하였다. 국화차 분말의 흡습성은 국화 품종별 덱스트린 단독 첨가구에서 가장 높았으며, 부형제의 종류 및 첨가량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용해도는 덱스트린과 말토덱스트린을 8:2로 혼합한 처리구에서 당도 변화가 크게 나타났다. 국화 분말차의 색도는 부형제에 따른 차이는 없었으나, 덱스트린과 말토덱스트린을 9:1로 혼합한 첨가구에서 명도를 나타내는 L값이 높게 나타났으며, 국화 분말차의 pH는 $5.33{\sim}5.63$ 범위를 보였다. 갈변도와 탁도는 품종, 부형제의 종류 및 농도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었으며, 환원당 함량은 국화 품종별로 덱스트린과 말토덱스트린을 8:2로 혼합한 처리구에서 높았다. 총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과 총 항산화력은 산국 분말차가 각각 $6.47{\sim}6.75$, $1.95{\sim}1.99$$4.37{\sim}4.55\;mg/g$ 범위로 감국과 구절초 분말차보다 높았고 전자공여능은 감국 분말차가 $24.85{\sim}27.93%$로 산국과 구절초 분말차보다 높았다. 관능평가에서 색과 향은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산국의 경우 쓴맛에 대한 낮은 평가로 인하여 전반적으로 기호도가 낮게 평가되었다.

Evaluation of Feed Value of Barley Fodder as an Alternative Feed Ingredient

  • Kim, Tae-Il;Mayakrishnan, Vijayakumar;Lim, Dong-Hyun;Lee, Hyun-Jeong;Son, Jun-Kyu;Kim, Yoon-Jeong;Choi, Hee-Chul;Shin, Jae-Hyeong;Park, Jong-Ho;Kim, Sam-Churl;Ki, Kwang-Seok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161-166
    • /
    • 2020
  • Barley is an important cereal gain which is traditionally used in some nations of Asia and North Africa, and there has been growing interest in using barley as an ingredient in food due to their nutritional value and high content of phyto-constituents. However, no study report on comparative feed value between sprouted barley, cornflake and alfalfa hay. Therefore, in this study we aimed to evaluate the chemical composition, amino acid profile and mineral content of 6 day sprouted barley fodder (SBF) compared with cornflake and alfalfa hay using by AOAC method, as an alternative feed ingredient. Results showed that SBF had higher content of crude protein, acid detergent insoluble crude proteins and neutral detergent insoluble crude protein than alfalfa hay and cornflake; cornflake had higher crude fiber, neutral detergent fiber content than SBF and alfalfa hay; alfalfa hay had higher crude fiber, crude ash, acid detergent fiber, neutral detergent fiber and lignin level than SBF and cornflake. Als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on amino acid content among them (p<0.01). The most abundant amino acid in SBF was glutamate (123 g/kg DM), which is higher than in alfalfa hay (1.27%) or cornflake (1.58%). However, methionine (1.33%) and cysteine (1.53%) were the least abundant amino acids in SBF compared with cornflake or alfalfa hay. Furthermore, our study results exhibited that SBE comprise a good sources of minerals including ferrous (90.01 mg/kg) followed by zinc (20.50 mg/kg), magnesium (0.20 mg/kg) and sodium (0.03 mg/kg) as compared to cornflake and alfalfa hay. The present research findings, confirmed that the nutritional values of SBF are comparable to those of cornflake and alfalfa hay. Hence, SBF can be a better alternative feed ingredient for cornflake or alfalfa hay. However, feeding trials will be required to determine acceptability of SBF for ruminant production.

논토양 중 자운영 환원에 의한 질소의 동태 구명 (Behavior of Nitrogen Released from Chinese Milk Vetch in Paddy Soil by Using Stable 15N Trace)

  • 이창훈;정기열;김선태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5권6호
    • /
    • pp.1094-1099
    • /
    • 2012
  • 담수조건으로 토양질소동태에 대한 결실기 자운영의 투입효과를 포트시험을 통해 평가하였다. 자운영의 투입에 따라 벼의 자운영유래 질소 이용율은 약 51-64%으로 자운영의 투입량이 높을수록 감소하였다. 수확기 토양의 자운영질소는 약 3-5%가 저장되었고, 자운영 유래 질소의 손실은 각각 32.4와 44.1%를 차지하였다. 벼 수량 대비 자운영 $30Mg\;ha^{-1}$ 시용은 질소추천시비량을 전량 대체할 수 있었다.

돌나물 수경재배에서 재식밀도에 따른 생육 및 품질 특성 (Effect of Planting Density on Growth and Quality in Hydroponics of Sedum sarmentosum)

  • 이승엽;김효진;배종향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28권4호
    • /
    • pp.580-584
    • /
    • 2010
  • 가을철(9-10월) 무가온 하우스에서 돌나물($Sedum$ $samentosum$)의 4지역 수집종을 재료로 순환식 NFT 수경재배 방식을 이용하여 수량 및 품질에 미치는 재식거리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배양 40일째에 초장은 15.0-18.9cm 범위였으며, 평균 초장은 $10{\times}10$>$2.5{\times}2.5$>$5{\times}5cm$ 순으로 길었다. 재식거리에 관계없이 '포항'과 '완도' 수집종이 '군산'과 '완주' 수집종에 비하여 빠른 생장을 보였으며, 마디수, 줄기 직경, 개체당 생체중 및 건물중은 밀식할수록 감소하였다. 반면 단위면적 당 생체수량은 밀식할수록 크게 증가하여$2.5{\times}2.5cm$에서 4지역 수집종 평균 $14.9kg{\cdot}m^{-2}$이었으며, 수집종간에는 '포항' 수집종이 $17.6kg{\cdot}m^{-2}$으로 가장 높았다. 초장생육에 근거한 1차 수확적기는 30-40일경이었으며, 밀식할수록 줄기 경도를 나타내는 압착강도가 낮았으며, 쓴맛이 감소하였다. 그러나 밀식에 따른 삽식노력이 과중한 점은 개선해야 할 필요가 있었다.

Analysis of Phenolic Compounds in Sorghum, Foxtail Millet and Common Millet

  • Jeon, Hyun-Seok;Chung, Ill-Min;Ma, Kyung-Ho;Kim, Eun-Hye;Yong, Soo-Jung;Ahn, Joung-Kuk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6권4호
    • /
    • pp.361-374
    • /
    • 2011
  • The cereal grain crops have strong flexibility against adverse environment and they have various functional compounds. The objectiv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screen phenolic compounds in sorghum [Sorghum bicolor (L.) Moench], foxtail millet (Setaria italica), common millet (Panicum miliaceum L.) by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 with photodiode array (PDA) detector. Sorghum contained the highest amount of phenolic compounds among three different crops (sorghum, foxtail millet, common millet). Especially Moktaksusu showed the highest amount of phenolic compounds concentrations and biggest regional differences. The comparison of average phenolic compounds in sorghums by regions showed order to Milyang ($963.3\;{\mu}g{\cdot}g^{-1}$), Yeongyang ($923.1\;{\mu}g{\cdot}g^{-1}$), Gijang ($831.3\;{\mu}g{\cdot}g^{-1}$) and Bonghwa ($735.6\;{\mu}g{\cdot}g^{-1}$). Among the sorghum cultivars, Moktaksusu ($1407.9\;{\mu}g{\cdot}g^{-1}$) had the highest concentration of phenolic compounds. The average phenolic compounds of foxtail millets showed similar amount among Milyang ($319.0\;{\mu}g{\cdot}g^{-1}$), Gijang ($288.1\;{\mu}g{\cdot}g^{-1}$) and Bonghwa ($281.9\;{\mu}g{\cdot}g^{-1}$) areas. The phenolic compounds of Yeongyang ($246.6\;{\mu}g{\cdot}g^{-1}$) slightly low and that showed similar concentrations among three different regions. The concentration of phenolic compounds in foxtail millets, Chungchajo ($335.6\;{\mu}g{\cdot}g^{-1}$) showed the highest concentrations. The average phenolic compounds of common millets showed the highest concentrations in Milyang ($305.5\;{\mu}g{\cdot}g^{-1}$), Bonghwa ($262.0\;{\mu}g{\cdot}g^{-1}$), Gijang ($195.1\;{\mu}g{\cdot}g^{-1}$), Yeongyang ($237.2\;{\mu}g{\cdot}g^{-1}$) in decreasing order. The concentration of phenolic compounds of common millets was the highest in the Norangchalgijang ($337.0\;{\mu}g{\cdot}g^{-1}$), Hwanggumgijang ($250.0\;{\mu}g{\cdot}g^{-1}$) was also relatively higher than oth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provide basic information for breeding sorghums, foxtail millets and common millets with higher phenolic compound concentrations.

품종 및 도정도별 보릿가루의 이화학적 특성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Barley Powder Produced from Different Cultivars and with Different Degrees of Milling)

  • 김은희;이윤정;이상훈;장귀영;김민영;윤나라;이미자;이준수;정헌상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7권5호
    • /
    • pp.639-644
    • /
    • 2015
  • 본 연구는 보릿가루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하여 5가지 품종의 보리(다한, 흰찰쌀, 흑광, 흑누리 및 보석찰)에 대한 도정도(27, 23, 19 및 15%)별 이화학 특성을 살펴보았다. 조단백질의 함량은 도정도가 감소함에 따라 각각 7.38-10.09, 8.01-10.58, 9.47-11.62 및 9.03-12.08%(원맥 9.83-12.92%) 범위에서 증가하였다. 조지방과 조회분 함량 또한 도정도가 감소함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도정후의 조지방 함량은 다한이 높았고 조회분은 흰찰쌀이 높았다. 지방산은 도정도가 감소함에 따라 팔미트산 및 스테아르산의 함량은 감소하였지만, 올레산 및 리놀레산은 증가하였다. 무기성분은 칼륨 함량이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마그네슘, 칼슘, 소듐, 아연, 철 및 망가니즈 순이었다. 도정도가 감소함에 따라 칼륨 및 마그네슘 함량은 증가하였다. 도정도를 달리하였을 때 각 품종별로 강층, 호분층 및 배의 제거정도는 차이가 나타나게 되며 이는 영양학적이나 관능적인 보리의 품질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보리를 이용한 가공제품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가공에 적합한 품종을 선정하고 도정도를 결정하는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발아 벼로부터 tricin 4"-O-(threo-β-guaiacylglyceryl) ether 생성균주의 분리 및 동정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a tricin 4"-O-(threo-β-guaiacylglyceryl) ether producing microorganism from germinated rice)

  • 윤나라;장귀영;이윤정;;김민영;김현영;이준수;정헌상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8권4호
    • /
    • pp.361-365
    • /
    • 2016
  • 본 연구는 왕겨에서 tricin 4'-O-(threo-${\beta}$-guaiacylglyceryl) ether(TTGE)를 생성시키는 균주를 분리와 동정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발아 벼 추출물을 MYP, PDA, YM 및 LB 배지에 배양하고 각 배지에서 분리한 균을 왕겨에 접종해 TTGE 생성량을 측정한 결과 PDA 배지에서 자란 균에 의한 TTGE의 생성량($339.30{\mu}g/g$)이 가장 많았다. 분리한 균을 동정한 결과 Burkholderia vietnamiensis로 확인하였으며, 형태학적 및 생물학적 특성을 살펴본 결과 catalase 활성을 갖는 short rod 형태의 Gram 세균인 것으로 확인해 기존 Burkholderia 속의 특성과 일치하였다. 또한 분리한 세균을 살균한 왕겨에 접종하여 배양시킨 결과 배양기간에 따라 TTGE의 함량은 증가하였으며, 72시간 동안 배양에서 $435.86{\mu}g/g$로 가장 많은 증가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는 폐기되는 왕겨를 활용함으로써 왕겨의 함유된 TTGE의 함량을 증대시켜 기능소재로 사용할 수 있는 기초 자료가 될 것으로 판단된다.

유자씨 추출물의 생리활성과 암세포 성장 억제효과 (Physiological Activity and Antiproliferation Effects of Citron Seed Extracts on Cancer Cells)

  • 이윤정;황인국;정은미;김현영;박의석;우관식;정헌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8권12호
    • /
    • pp.1672-1678
    • /
    • 2009
  • 유자씨 종피와 배유부분에 대한 n-hexane 및 ethanol 추출물에 대한 항산화활성, ACE 저해활성, $\alpha$-glucosidase 억제활성 및 항암활성을 살펴보았다. 항산화활성은 종피 nhexane 추출물(CSH1), 배유 n-hexane 추출물(CSH2), 종피 70% ethanol 추출물(CSE1) 및 배유 70% ethanol 추출물(CSE2) 가운데 CSE1이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CSE1의 용매분획물 가운데 ethylacetate 층이 2 mg/mL의 농도에서 라디칼소거능이 73.81% 그리고 총항산화력이 56.64 mg AA eq/g으로 우수한 항산화활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ACE 저해활성과 $\alpha$-glucosidase 억제활성도 CSE1이 각각 31.63% 및 45.17%로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각각의 추출물에 대한 유방암, 간암, 폐암, 대장암 및 전립선암 세포에 대한 증식억제효과는 모든 암세포에 대하여 5mg/mL의 농도에서 종피 ethanol 추출물(CSE1)이 가장 높은 암세포 증식억제효과를 보였다.

$\beta$-glucan Contents and Their Characteristics of Winter Cereals According to Particle Sizes and Milling Recoveries

  • Kim, Sun-Lim;Park, Chul-Ho;Yu, Chang-Yeon;Hwang, Jong-Jin
    • Plant Resources
    • /
    • 제4권3호
    • /
    • pp.140-146
    • /
    • 2001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beta$-glucan contents and their characteristics of winter cereals according to particle sizes and milling recoveries. Sieved fractions differed in their average contents of $\beta$-glucans, and the coarse fraction had higher contents of $\beta$-glucan than finely milled fractions. In all winter cereals, the $\beta$-glucan contents of raw flours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ir brans, and the highest $\beta$-glucan contents of every cereals were observed at 100 mesh > or 100-140 mesh fractions except the Chalssalbori fractions which showed the higest $\beta$-glucan contents (12.9%) at 140-200 mesh fraction. As compared with the $\beta$-glucan content of Chalbori among the various milling recoveries, the $\beta$-glucan was distributed more evenly throughout the endosperm but $\beta$-glucan content in bran of Chalbori was only 1.5%. However, $\beta$-glucan content of Chalssalbori (hull-less waxy barley) was the highest in the subaleurone region (8.2%) and declined slightly toward inner layers of grain. This results suggest that $\beta$-glucan distribution between high (Chalbori) and low $\beta$-glucan barley (Chalssalbori) may explain the difference in milling performance of barley. On the other hand, $\beta$-glucan contents of two rye varieties (Chilbohomil, Chunchoohomil) were lower than those of two waxy barley varieties, and the higest $\beta$-glucan contents were observed at the 60% milling recoveries. In all winter cereals, the L-values (lightness) of raw flours were higher than those of brans. And the L-values of barley varieties were higher than those of oat and rye varieties. As the particle sizes and milling recovery ratios were decreased, the L-value were increased. The a-values (redness) in brans of every winter cereals were higher than those of every particle size flours and every milling ratio fractions, and this tendency was observed in the b-values (yellowness) of every particle size of cereal flours. The L and b-value of barley, the b-value of oat, and L, a, b-value of rye have the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the $\beta$-glucan contents, respectively. This results represent the fact that $\beta$-glucans affected the color of the flours and pounded grains of winter cereal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