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entral Place

검색결과 469건 처리시간 0.031초

교통발달에 의한 중심지체계 변화 모형의 분석과 함의 (A Model Research on How the Development of Transport Changes Central Place System)

  • 권오혁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51권1호
    • /
    • pp.77-88
    • /
    • 2016
  • Christaller의 중심지모형은 공간분석 연구에서 가장 설득력 있는 개념과 이론구성을 가진 것으로 평가되어 왔지만 동시에 많은 비판들을 받아왔다. 특히, 이 모형의 한계로서 중심지체계의 변화를 적절히 수용하지 못하는 정태성의 문제가 지적되었다. 본 연구는 교통발달이 중심지체계를 변화시키는 원리를 규명하기 위해 중심지모형을 선형상권분석모형으로 재구성한 바, 교통비용의 하락이 어떻게 중심지의 상권을 변화시키게 되는지를 분석하였다. 모형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교통발달은 고차중심지의 상권을 확대하는 반면 저차중심지의 상권 축소와 기능 쇠퇴를 가져올 것이다. 더하여 이러한 현상은 고차중심지와 저차중심지가 규모에서 차이가 클수록 거리가 가까울수록 상품의 중심성이 높을수록 크게 나타나며, 쇠퇴의 속도는 교통발달 속도가 일정할 경우 점점 더 빨라지게 된다. 나아가 상권의 형태는 저차중심지를 향해 오목하게 나타날 것이다.

  • PDF

포칼 입지계수를 이용한 중심지 성숙도 평가 (Assessing the Maturity of Central Place Using Focal Location Quotients)

  • 이병길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221-228
    • /
    • 2013
  • 도시계획이나 상권분석 등의 분야에서, 중심지의 성숙도와 같은 중심지에 대한 평가는 합리적 의사결정을 위해 고려하여야 할 중요한 정보이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에 대한 2004년과 2009년의 전화번호부 업종 데이터 중 대표적인 소매업종인 소매, 생활서비스, 음식업의 세 업종을 선택하여 중심성 지수와 입지계수를 구했다. 중심성 지수와 세 개의 소매업종에 대한 입지계수로부터 각각 중심지의 성장, 쇠퇴, 성숙을 파악하고 이를 비교, 분석하여 중심지 평가 방법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어떤 중심지에 대해서 세 소매업종에 대한 입지계수를 비교하여 성장지역인지, 쇠퇴지역인지, 아니면 성숙지역인지의 여부를 파악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중심지의 평가 결과는 상권분석에서 업종의 선택이나 출점 가능 여부 판단과 같은 업무에서 중요한 지표로 매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GIS를 이용한 지가분포특성에 따른 중심지분석 (The Central Place Analysis with the Characteristics of the Distribution of the Land Price Using GIS)

  • 정대영;김상수;김계현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65-70
    • /
    • 2009
  • 도시의 계획적 관리를 위해서는 매년 지가 분석을 통해 문제점들을 발견하고 보완해야 한다. GIS를 이용한 지가의 분포 특성과 중심지의 파악은 도시계획 및 관리방안을 모색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로 많은 역할을 할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사례지역인 대전광역시의 개별공시지가를 토대로 한 중심성 측정, 분포도 작성, 등치선도 등을 분석하고, 이와 중심지와의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 PDF

유량적 접근을 통한 지역거점도시와 읍면소재지의 중심기능 및 기초수요변화 - 공주시와 유구읍의 1995-2009년 소매점 및 접객업소 변화를 중심으로 - (Approach for the Flow Analysis of Changing Central-place function and Basic demand between The Central City and Small town)

  • 김정태
    • 농촌계획
    • /
    • 제18권4호
    • /
    • pp.45-60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pproach for the flow analysis of changing central-place functions and basic demands between the central city and the small town. Under the rural society progressed, this study examines how the small town changes in the relation to the central city. The subject of study is based on changes in demand for retail and hospitality. The small town is providing basic demands and urban services primary for the rural in the settlement system. Because of the rural depopulation and the aging of society, Retail and hospitality in the rural is reducing of the facility followed. But the majority of related researches are stocks approach. These studies are useful to find out the characteristic of small town, but is difficult to consider the influence of the central city. In this situation after this study using the function index is set up a concept model, it examines for the basis of changes in demand for the small town. The result of the analysis is that the changes of retail and hospitality are more severe in the more small town than in the central city. Whereas the small town with a population decline is consistent with the reduced number of branches, Population growth in the central city is reduced to the number of the Number of branches. The central-place function has been strengthened in the central city. While the younger generation, recreation, etc. related retail are disappearing rapidly, the mainstream of small town is grocery, home improvement, restaurants.

농촌주민의 중심지활성화 사업에 대한 효과인식 (Perception of Rural Residents on Effect of Central Place Improvement Project)

  • 김정태
    • 농촌계획
    • /
    • 제23권4호
    • /
    • pp.15-26
    • /
    • 2017
  • In analyzing the effect of the central place improvement projects, this study classifies subject residents into two groups of the residents of the project target regions and those of surrounding villages, and conducts verification. As a result of analysis, Variety of cultural programs is the only factor that positively affects the satisfaction level of the residents of the project target region, and it has been analyzed at the significance level of 10% that a one-unit increase in securing rest areas lowers the satisfaction level of the residents of surrounding villages. This shows that the effect of the central place improvement projects currently promoted is at a low level, and there is also a risk of conflict between the residents in the target region and those in surrounding villages. Although there i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analysis shows that a method to provide the residents in surrounding villages with the project-related information and to guarantee their participation in the project enhances the satisfaction level of the residents of surrounding villages. Therefore, institutional improvements reflecting this need to be made.

지역 중심지의 역할 변화와 지리적 관성 -전라북도 정읍시 칠보 지역을 사례로- (The Role Change and Geographical Inertia of Central Places : A Case Study Chil-Bo Area, Jeon-Buk)

  • 조성욱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2권5호
    • /
    • pp.571-582
    • /
    • 2006
  • 지방행정의 통치 단위인 군현 지역 내에서 한 장소가 중심지로 선정되고 발전하는 것은, 해당 지역의 자연적 조건과 사회적 상황의 결합에 의한 것이다. 이러한 중심지는 사회적 상황 변화에 따라 그 역할이 변화하지만, 역할 변화에도 불구하고 중심지로서의 지리적 관성을 지니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행정 중심지로서 역할을 수행했던 칠보 지역을 사례로, 중심지의 역할 변화와 지리적 관성 유지의 특성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는 첫째, 시대에 따라 중심지의 역할이 변화했다. 이 지역은 삼국시대에는 국방 행정 교통의 중심지였으나, 삼국의 통일과 함께 국방 중심지로서의 역할이 사라졌다. 고려시대에 들어서면서 교통축의 변화로 교통 중심지 기능도 상실되었고, 결국 행정 중심지의 기능 상실로 이어졌다. 둘째, 외부 인물과 그 지역 내부 인물의 결합에 의해서 중심성이 유지되었다. 최치원, 정극인, 신잠 등의 외부 인물과 송세림, 정언충, 김약묵, 김관 등의 내부 인물에 의해 행정 중심 기능이 아닌 새로운 유교 문화와 교육의 중심지로서 지리적 관성을 유지했다. 셋째, 중심지의 역할 변화에 따라 미시적으로 지역 내에서 중심지의 입지 이동이 있었다. 시산리의 송산 마을에서 남전 마을 그리고 무성리의 원촌 마을로 중심 장소가 이동되었다.

  • PDF

역세권 지가 변동 분석을 통한 서울시 공간 구조 변화 분석 (Analysis of Changes in Spatial Structure of Seoul by Analyzing the Land Price Changes of Station Influence Areas)

  • 구현철;이병길;이창수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63-70
    • /
    • 2016
  • 서울시에서는 1990년부터 도시를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도시기본계획을 수립하여 다층적 위계를 갖는 중심지 체계를 도입하였으며, 이를 뒷받침하기 위한 방안으로 도시철도의 역세권에 중심지가 설정되도록 하는 전략을 사용하고 있다. 따라서 도시철도 역세권의 변화에 대한 검토는 서울의 공간 구조 변화를 파악하기 위한 가장 기본적인 연구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 지역의 도시철도 역세권에 대한 2000년, 2005년, 2010년 3개년의 표준지 공시지가의 변화를 이용하여, 서울시 중심지 구조가 어떻게 변화되었는지를 분석해 보았다. 연구 결과 역세권 공시지가의 시계열적 변화를 분석함으로써 중심지 위계의 변화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대전광역시 중심지 위계 변화 분석 (Analysis of Central Place Hierarchy Change in Daejeon Metropolitan City)

  • 김상수;안상현;신영철;김흥태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23-33
    • /
    • 2008
  • 본 연구는 현재까지 제시되고 있는 계획상의 대전 도시의 중심지 체계를 정리 분석한 후, 도시공간구조 형성 및 GIS를 활용하여 중심지 형성에 영향을 주는 다양한 변수를 선정하여 중심지 등을 측정하고, 중심지 위계를 설정 제시 하고자 한다. 분석은 변형된 데이비스(W.K Davis)의 모형을 응용하여 $1km{\times}1km$ 격자(GRID) 단위로 2000년도와 2005년도의 중심지 측정 및 위계를 설정하였다. 분석 결과 2000년대는 1도심 2부도심으로 1도심은 은행 선화권인 기존도심이며, 2부도심은 관광중심지인 유성권과, 행정중심지인 둔산권으로 분석되었다. 2005년도에는 2도심 2부도심으로 2도심은 은행 선화권인 원도심과 행정중심지인 둔산신도심이고, 2부도심은 유성권과 대전고속터미널이 있는 용전권으로 설정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향후 도시공간정책을 지원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농촌생활 서비스 기능의 중심지 계층·연계구조 분석을 통한 농촌중심지 위계 및 생활권 설정연구 - 보령시를 중심으로 - (The Use of Living Services and Hierarchy Through Class and Linkage Structure Analysis - Focusing on Boryeong City -)

  • 양정임
    • 농촌지도와개발
    • /
    • 제30권2호
    • /
    • pp.103-118
    • /
    • 2023
  • This study aims to develop the living SOC function index and classified classes using the GIS-based spatial analysis method by applying the "Central Place Theory" as basic data for classifying living areas necessary for establishing rural spatial strategies in Boryeong. Boryeong-si is classified as a southern living area in the northern living area, centering on Daecheon-dong, the first class, and it is analyzed that living services such as used car service procurement and education are needed, and the southern living area needs a mid- and high-vehicle service delivery system in Ungcheon-eup. It is believed that this study can provide important clues to the classification of central functional facilities suitable for rural centers, reinforcement of vulnerable functional facilities by living area, and provision of living services.

일반국도의 가열 재활용 아스팔트 포장 공용수명 분석 연구 (A Study on Analysis of Performance Life for Hot Recycled Asphalt Pavements in the National Highway)

  • 이강훈
    •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
    • 제19권5호
    • /
    • pp.117-129
    • /
    • 2017
  • PURPOS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erformance life of hot central plant recycling (HCPR) and hot in-place recycling (HIR) pavements applied to the National Highway for the past 20 years and compare it with conventional hot-mix asphalt (HMA) pavement. METHODS : In order to analyze the performance life of recycling asphalt pavements, a comprehensive literature review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government law and official system for the use of recycling asphalt pavement in Korea and foreign countries. Next, the application information of using a hot central plant recycling and hot in-place recycling pavements in the national highway is collected from the database of pavement management system (PMS) and then their field condition is visually surveyed. Finally, the performance life of recycling asphalt pavements in the national highway is analyzed and compared with conventional hot-mix asphalt pavement. RESULTS :Institutions are encouraging the promotion of using recycled asphalt pavement through various legal systems in Korea as well as abroad. Based on analysis results for the average performance life of hot central plant recycling pavement applied to the national highway, the average performance life is estimated to be 10.2 years. However, the average performance life of in-place recycling pavement is estimated to be 6.5 years. However, it is expected to increase performance life after the HIR construction system is modified. CONCLUSIONS : Based on the limited data analysis of the performance life of recycled asphalt pavements, HCPR shows similar performance life to conventional asphalt pavement but HIR shows shorter performance life than conventional asphalt pavement. However, it is noted that all performance life data is very limited and it should be monitored and analyzed furth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