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pproach for the Flow Analysis of Changing Central-place function and Basic demand between The Central City and Small town

유량적 접근을 통한 지역거점도시와 읍면소재지의 중심기능 및 기초수요변화 - 공주시와 유구읍의 1995-2009년 소매점 및 접객업소 변화를 중심으로 -

  • 김정태 (한국농어촌공사 농어촌개발처)
  • Received : 2012.10.19
  • Accepted : 2012.11.28
  • Published : 2012.12.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pproach for the flow analysis of changing central-place functions and basic demands between the central city and the small town. Under the rural society progressed, this study examines how the small town changes in the relation to the central city. The subject of study is based on changes in demand for retail and hospitality. The small town is providing basic demands and urban services primary for the rural in the settlement system. Because of the rural depopulation and the aging of society, Retail and hospitality in the rural is reducing of the facility followed. But the majority of related researches are stocks approach. These studies are useful to find out the characteristic of small town, but is difficult to consider the influence of the central city. In this situation after this study using the function index is set up a concept model, it examines for the basis of changes in demand for the small town. The result of the analysis is that the changes of retail and hospitality are more severe in the more small town than in the central city. Whereas the small town with a population decline is consistent with the reduced number of branches, Population growth in the central city is reduced to the number of the Number of branches. The central-place function has been strengthened in the central city. While the younger generation, recreation, etc. related retail are disappearing rapidly, the mainstream of small town is grocery, home improvement, restaurants.

Keywords

References

  1. 강병수, 2003, 소도읍의 개발모형 설정과 발전전략, 공공문제와 정책, 15, 7-32
  2. 강지은, 윤철현, 허성곤, 2003, 도시산업구조가 도시 순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국토계획, 38(7), 187-200.
  3. 김안제, 1979, 2000년대 한국도시의 미래상 : 소도읍, 중소도시 및 농촌의 도시화전망과 개발, 도시문제, 14(4), 44-50.
  4. 김정연, 2004, 지방활성화를 위한 소도읍의 새로운 잠재력과 전략, 충북개발연구, 15(2), 1-19.
  5. 김팔규, 1977, 소도읍기능화전략, 지방행정, 26(289), 42-51.
  6. 김흥주, 2007, 창조적 지식창출량의 분포와 네트워크로 본 국토공간 계층구조, 국토연구, 53, 3-20.
  7. 김형만, 1974, 대도시주변의 소도읍 개발방향, 도시문제, 9(4), 16-22.
  8. 박수영, 1996, 도시행정론. 서울 : 박영사.
  9. 박현신, 김광식, 2004, 도시의 순위-규모 변화분석 : 1969-2002년 도시인구를 중심으로, 국토계획, 39(7), 7-21.
  10. 안종헌, 2004, 소도읍 중심가로변 도시활동 특성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20(11), 231-238.
  11. 양상언, 여홍구, 2008, 읍․면지역의 공간구조 패턴 분석, 지리학연구, 43(2), 425-439.
  12. 여홍구, 1992, 소도읍 중심지 상업시설규모 변화 분석, 국토계획, 27(4), 189-205.
  13. 여홍구, 1990, 소도읍 중심지내 입지시설의 분포특성 분석, 국토계획, 25(3), 5-33.
  14. 여홍구, 1986, 한국소도읍 중심지의 기능분석에 관한 연구, 국토계획, 21(3), 75-96.
  15. 옥석문, 이명훈, 2008, 중심지 체계설정 및 변화과정에 관한 연구 : 인천광역시를 대상으로 하여, 한국도시행정학보, 21(1), 107-125.
  16. 이재화, 1979, 소도읍 가꾸기 사업의 추진현황과 발전방향, 지방행정. 28(307), 94-103
  17. 전경배, 1974, 농촌지역의 구매시설에 관한 연구, 건축, 18(2), 3-7.
  18. 정환용, 1980, 지방도시개발과 정주권계획 : 소도읍 기능화와 정주권개발 : 전남 소도읍을 중심으로, 도시문제, 15(2), 53-64.
  19. 지남석.여홍구.김채련. 2008. 소도읍의 중심지인구와 입지시설 분포의 관계분석.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계획계. 24(3). 195-204.
  20. 지남석.여홍구. 2007. 소도읍 중심부의 토지이용 변화분석. 국토계획. 42(7). 25-41.
  21. 행정안전부 보도자료(2009년. 3월 30일자). 읍․ 면․동 및 통․반 2년새 5,400개 줄어 : 시․군․ 구는 지역간 인구편차 등 불균형 현상 커.

Cited by

  1. 농촌주민의 중심지활성화 사업에 대한 효과인식 vol.23, pp.4, 2012, https://doi.org/10.7851/ksrp.2017.23.4.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