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entral Community Space

검색결과 61건 처리시간 0.029초

A Study on Guidelines of Tourism Development in Korea and Japan

  • Jung, Won-Jo;Lee, Han-Seok;Lee, Myung-Kwon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277-289
    • /
    • 2014
  • Fishing village is becoming the central base of fishing industry and it plays a major role. However, there is a decrement of marine resources and some difficulties with the deterioration of fishing industry management.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there should be some developments(e.g. fishing village toursim development) on various undergoing government and the private organization programs. Nevertheless, there are not guidelines for fishing village tourism development to utilize for practical busines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current status and guidelines regarding the development of fishing village for coastal planner. The primary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fishing village development works in Korea and Japan. The second purpose is to identifie success factors after analyzing individual success cases. Based on evidence from the literature and a dialogue with village leader, a literature review on extracting success cases for guidelines were selected according to criteria such as the degree of contribution to an increase in income of the fishing village, the degree of contribution to an increase in consumption of marine products using local natural resources, the number of tourists that visits the village. Finally we propose guidelines for future fishing village development projects. The guidelines based on the successful cases, as well as the major factors about the objectives and direction of fishing village tourism development, suggested as follows. 1)Plans for land use, 2)Development of tourist resources, 3)Plans for views, 4)Plans for resource protection, 5)Plans for operation and marketing.

식생형을 고려한 소나무 임분의 조림적 고찰 (Consideration of Silvicultural Practice by Taking Community Type of Pinus densiflora Stand)

  • 이광수;이중효;김석권;배상원;정문호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56-65
    • /
    • 2009
  • 한국에서 소나무는 문화적, 역사적, 정서적으로 중요한 위치에 있으며, 목재자원 생산이 가능한 수종이다. 소나무의 점유면적은 점차 줄어드는 반면, 참나무류를 비롯한 활엽수림이 증가하는 추세이므로 소나무림 유지를 위한 갱신과 시업법에 관한 연구가 요구된다. 본 연구는 중부지역을 대상으로 소나무에 대한 임분유형 및 구조분석을 통하여 생육환경과 천이과정을 파악함으로서, 안정적이며 지속적인 경영림으로서의 발달과 천연갱신 유도에 그 목적이 있다. 중부지역 소나무림은 당단풍나무군락, 상수리나무군락, 비목군락, 전형군락으로 분류되었으며, 지역에 따라 유형별 다른 특성을 보이고 있었다. 상층에는 소나무가 높게 나타나고 있으나, 중층에서는 참나무류 등 활엽 교목성 수종의 중요치가 높았으며, 하층에서 소나무 출현은 빈약하였다. 따라서 상관적으로 소나무가 생태적 영향력이 높은 것처럼 나타나고 있지만, 차후 자연 상태에서 교목층의 소나무가 고사하면 아교목층 이하 신갈나무, 굴참나무, 졸참나무 등 참나무류가 우점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소나무림의 형질과 생장패턴은 임분유형에 따라 지역별 차이를 보이고 있어 소나무림에 대한 시업도 차별 적용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울릉도 현포항 개발 거버넌스 인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al Governance of Hyunpo Port)

  • 황윤원;송용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12호
    • /
    • pp.35-42
    • /
    • 2016
  • 본 연구는 울릉도 현포항을 대상으로 지속가능한 공간환경 재생을 위한 새로운 패러다임으로서 지역주민, 중앙과 지방정부의 거버넌스에 기초한 어항개발방안을 모색하였다. 연구목적을 수행하기 위해 울릉도 주민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첫째, 현재 울릉도 주거환경의 가장 큰 문제로 접근성 불량, 병원 보건소, 상가 부족 등 생활환경 취약이 높게 지적되었고, 둘째, 현재 정부와 지방자치단체의 울릉도 관련 개발 사업이 실제로 지역경제 활성화 및 울릉도 주민의 삶의 질 개선에 기여하지 못한다는 인식이 많았고, 셋째, 울릉도 관련 개발사업 추진의 애로사항으로 울릉도가 보유하고 있는 각종 자원에 대한 중요성이나 활용에 대한 인식 부족,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의 지원 부족을 큰 문제로 지적하였고, 넷째, 현재 현포항의 관리수준을 미흡하게 인식하였다. 이상의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개발주체의 지속성, 현포항 개발의 비전제시, 주인의식 전환을 위한 노력, 지역현실을 고려한 단계적 추진, 거대한 테마보다 소규모로 알찬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개발이 중요함을 보여주었다.

행정중심복합도시 중앙녹지공간 국제설계공모에 나타난 대형 공원의 설계 전략 (Design Strategies of Large Park in the International Design Competition for Central Open Space in Multi-Functional Administrative City, Korea)

  • 박근현;배정한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6권5호
    • /
    • pp.13-25
    • /
    • 2008
  • 전 세계적으로 대형 공원 설계공모가 급증하고 있지만 이에 대한 체계적 검토와 비판적 연구는 드물다. 대표적인 대형 공원 설계공모였던 행정중심복합도시 중앙녹지공간 국제설계공모는 동시대 대형 공원의 설계 전략을 고찰할 수 있는 의미 있는 소재이다. 본 연구는 공모전의 지침서 및 '대형 공원'과 관련된 기존의 문헌 연구를 통해 분석틀을 마련하고, 이를 바탕으로 열개의 결선작을 분석하였다. 분석틀로 도출된 네 가지 질문은 대형 공원에 대한 접근 방식, 프로세스 설계, 공원의 지속가능성, 도시와의 관계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형 공원의 설계 개념은 주로 대상지 내부의 특성에서 나온다. 특히 공원의 정체성 확보가 대형 공원에서는 중요하다. 둘째, 본 연구의 네 가지 질문을 모두 만족시킨 설계안은 찾기 어려웠으며, 여전히 시각적, 형태중심적, 결과중심적 설계가 많았다. 셋째, 대형 공원의 '지속가능성'은 생태적 측면, 재정적 측면, 프로그램 측면, 커뮤니티 측면 등 다양한 측면을 아우르는 포괄적인 개념이다. 하지만 그 개념이 아직 모호하고, 구체적인 운영 및 관리 프로그램들이 부족하다. 넷째, 대형 공원은 도시와의 관계 맺기에 적극적으로 나선다. 특히, '생산하는 공원'과 '도시의 자급자족성 확보'는 대형 공원에 요청되는 중요한 필요조건이다.

도시형 타운하우스의 특성을 고려한 주택상품개발의 기본 방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Basic Direction of Housign Product Development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Urban Townhouse)

  • 성기선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4권4호
    • /
    • pp.77-89
    • /
    • 2020
  • 최근 주택시장의 경향을 반영하여 도시형 타운하우스의 개발이 지역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생활주택으로서의 특성과 소비자들의 니즈를 잘못 판단하여 도시생활에 적합하지 않거나 무분별한 지역개발의 산물로 전락하는 등 많은 시행착오를 거듭하고 있다는 점은 매우 안타까운 일이 아닐 수 없다. 도시형 타운하우스의 장점은 사생활 침해나 가구 간 소음문제가 없으며, 개별정원과 주차공간의 확충, 접지성 확보, 개성 있는 내·외부 계획을 할 수 있다는 점이다. 또한 방범, 방재, 보안 등 공동관리 효율성, 출입문 분리를 통한 연속벽 건축, 중앙광장, 공원 등 공용공간 계획 등의 공동주택 측면의 장점도 갖추고 있어서 도시형 주거유형으로 발전할 수 있는 가능성은 매우 높다고 본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도시 생활공간에 적합한 주택상품개발을 위한 기본 방향을 구축하여 도시형 타운하우스의 역할을 극대화하는데 그 목적이 있으며, 생활주택으로서의 공간적 요소와 기능적 요소 및 재료활용을 파악하여 소비자의 니즈에 부합하는 도시형 타운하우스의 주택상품개발을 위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자 한다.

전통 마을 공동체 신앙의 공간적 해석 - 전통 문화마을 장흥군 방촌을 사례로 - (Spatial Analysis of Communal Folk Belief in Traditional Village - A Case Study on Bangchon Traditional Village -)

  • 박의준;이정록;천득염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131-142
    • /
    • 2002
  • 인간에 의해 형성된 공동체와 그 공동체를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독특한 신앙체계는 인간이 특정 지역을 점유하고 살아가면서 자연스럽게 발현된 하나의 공간적 행태라고 정리할 수 있다. 따라서 민간신앙의 하나인 공동체 신앙은 마을이라는 공간을 점유하고 발현되었다는 점에서 전통 사회 마을 구성원의 공간인식을 내재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전통마을에 나타나는 공동체 신앙의 특성을 공간적 관c점에서 해석하는 것을 주목적으로 설정하였으며, 연구지역으로는 전통문화마을로 지정된 전라남도 장흥군 방촌마을을 사례로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지역인 방촌마을은 내동, 계춘, 탑동, 호동. 호산, 산저, 신기의 7개 자연마을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각의 마을의 입지과정은 고려시대 이후 시공간적으로 차별성을 가지고 진행되어 왔다. 둘째, 방촌마을의 공동체 신앙은 크게 7개의 입석과 돌장승, 별신제터와 허제비골로 구분할 수 있다. 셋째. 방촌마을 공동체 신앙은 크게 마을과 마을의 경계 표시, 마을의 존재를 외부에 알리는 기능, 마을의 중심공간 표시, 마을의 입구와 외곽 경계 표시라는 공간적인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따라서 전통마을에 나타나는 공동체 신앙은 민속학적인 측면에서 해석하는 신앙과 상징이라는 의미 이외에. 과거 전통사회 자연마을의 공간구조를 파악하게 해주는 지시자 역할을 한다고 할 수 있다.

공동체 복합지원시설로서 학교시설의 복합화 시설 및 프로그램 실태에 관한 연구 : 서울시 초등학교시설복합화 사례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Present Condition's Facilities and Program of School Facilities Complex as Public Facilities Complex : Based on the Cases of the Elementary Schools in Seoul)

  • 신화경;조인숙;이준민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8권2호
    • /
    • pp.39-50
    • /
    • 2010
  • The aims of this study are to present the basic data of a school facilities complex and to analyze the necessity of a school facilities complex, school facilities characteristics and program characteristics. In the study, there can be found an analysis of the present conditions of the school facilities complex by literature research and the analysis of school facilities characteristics and program characteristics by case stud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elementary school facilities are mixed with the gym, swimming pool, culture center and convenient facility(parking lot). Second, the school facilities complex is not connected with the number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s the number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decrease, it is possible to apply the generated surplus space of the school facilities to the community facility. Third, the school facilities complex is not connected to the reliance ratio of local finance. It is necessary for the central government to provide active financial and to build a financial support model. Fourth, most of the time, the entrance of the facility complex is divided from the entrance of the school facility. Fifth, the programs of many school facility complexes are composed of swimming and physical fitness programs.

복합행정타운 내 보건소의 공간구성요소와 면적구성에 관한 건축계획적 연구 - 서울특별시 사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Architectural Planning of Spatial Organization Elements & Aerial Composition of Public Health Center within Governments Complexes Town - Focused on case studies in Seoul Metropolis -)

  • 변용진;박재승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9권3호
    • /
    • pp.224-233
    • /
    • 2010
  • As urban function has become diversified and complicated, multifunctional complex facilities to satisfy new functional desires are necessary. Since local autonomy started, many facilities previously run and managed by central administrative agencies are now under management of localities, and functionally, the necessity for governments complexes town to satisfy diverse taste of populace such as creating local community becomes imminent. Analyzing characteristics by space composition factor of the public health center, newly built as part of such governments complexes town and understanding required area of each part, this project is to be used as basic material for construction plan of public health center that is equipped with local characters while devising construction of the public health center in the governments complexes town. Research method is to analyze four public health center facilities located in governments complexes town sites built after 2007, among twenty five public health centers in Seoul, by spatial functions. Also, based on statistical documents of usage of public health center facilities, research over spatial compositional factors and area composition has been conducted. As a result, connectivity between local government building located inside the governments complexes town and public health center and that of spatial composition factor by part, area ratio by part and floor type of public health center are comprehended. Connectivity type of public health centers are divided into horizontal and vertical connectivity and it is found that spatial composition of public health center is compartmentalized into low level, mid level and high level, to make access by users easier. Level type is decided as radial, rotational and combined by hallway connecting facilities.

읍·면급 섬지역의 산업구조에 의한 공간기능 분화 유형별 특성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 and Types of Spatio-functional Differentiation by Industrial Structure in Korean Island Areas)

  • 조은정;최수명;박용진
    • 농촌계획
    • /
    • 제21권1호
    • /
    • pp.129-141
    • /
    • 2015
  • This study classifies the types of spatio-functional differentiation in Korean island areas and analyses typical characters and suggests the development directions by each type. Eup/Myeon-level island areas are classified as six types by the factor analysis and the cluster analysis. First type is the traditional rural center. This type puts emphasis on maintaining phase as the central space and has to maximize development potential of the whole of settlement zone. Second type is the specialized region in manufacturing industry and the qualitative mutual growth of regional industries is able to be suggested. Third type is the specialized region in the neighborhood service provision. This type needs to devise the plan for utilizing potential customers actively and developing into the region specialized in tourism industry. Fourth type is the specialized region in tourism-support service functions. This type has to promote differentiated policies for maintaining amenity infra or value of countryside capital and preservation and utilization of resources by regional features. Fifth type is the fishing industry-dominated region. This type has to promote sustainable fishery development through the policy reflecting regional features and condition. Finally, sixth type is the sluggish region dominated with the traditional agriculture and fishery. This type is needed to aim at developing into the new food production base having the advantage of clean environment by strengthening support in specialized agro-fishery products. The existing researches on spatio-functional differentiation were mostly discussed with respect to land development, but this study highlights the difference in deal with the island areas distinguished from the condition of industry.

Role of the Third Place in Building Communities and Social Capital : Contributions of Coffee Shops as Third Places in Kuwait

  • Hissah Abdullah Kandari;Abdus Sattar Chaudry
    • International Journal of Knowledge Content Development & Technology
    • /
    • 제13권1호
    • /
    • pp.59-74
    • /
    • 2023
  • Third places are those that offer a space outside of work and home for people to escape the stress associated with the primary spaces of their lives. Through social interactivity these help in acquiring some emotional support provided by a close and intimate attachment. Such social support can turn into social resources for individuals and can lead to forming communities that may become incubators for social capital through regular visits to shared socializing places. This paper focuses on social interaction that takes place through the third place and the communities that are being created as a contributing factor to knowledge management. The study being reported in this paper investigated the role of coffee shops as third places in building communities and social capital in Kuwait. A mixed-method approach was used to conduct the study. These methods included qualitative methods such as extended conversations in the form of semi-structured interviews and quantitative methods of using questionnaires distributed to coffee shop staff and visitors. Results indicated that importance attached to providing facilities by coffee shops reflected that the owners perceived these as third places. The facilities attracted customers to coffee houses where interactions took place that helped to build communities. The pattern of visits by customers showed that mostly they come in groups and have meetings and gatherings that facilitated and encouraged interactions. The communities that are being built in the coffee shops are indicative of these being perceived as third places by owners, customers, and staff. This study shows the potential of coffee shops as a major sector of the food industry promising a valuable contribution in transformation and transition to a knowl- edge-based economy in Kuwa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