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Present Condition's Facilities and Program of School Facilities Complex as Public Facilities Complex : Based on the Cases of the Elementary Schools in Seoul

공동체 복합지원시설로서 학교시설의 복합화 시설 및 프로그램 실태에 관한 연구 : 서울시 초등학교시설복합화 사례를 중심으로

  • 신화경 (상명대학교 소비자주거학과) ;
  • 조인숙 (상명대학교 소비자주거학과) ;
  • 이준민 (상명대학교 소비자주거학과)
  • Received : 2010.01.04
  • Accepted : 2010.03.17
  • Published : 2010.04.30

Abstract

The aims of this study are to present the basic data of a school facilities complex and to analyze the necessity of a school facilities complex, school facilities characteristics and program characteristics. In the study, there can be found an analysis of the present conditions of the school facilities complex by literature research and the analysis of school facilities characteristics and program characteristics by case stud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elementary school facilities are mixed with the gym, swimming pool, culture center and convenient facility(parking lot). Second, the school facilities complex is not connected with the number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s the number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decrease, it is possible to apply the generated surplus space of the school facilities to the community facility. Third, the school facilities complex is not connected to the reliance ratio of local finance. It is necessary for the central government to provide active financial and to build a financial support model. Fourth, most of the time, the entrance of the facility complex is divided from the entrance of the school facility. Fifth, the programs of many school facility complexes are composed of swimming and physical fitness programs.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한국건설교통기술평가원

References

  1. 강진아(2001). 학교시설 복합화 대상 기능 및 계획 방향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김대원(2007). 지역사회 평생교육을 고려한 학교시설 개방과 복합화 방향 모색.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정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미래학교시설연구회(2006). 한국형 Golden Plan 추진전략 심포지엄.
  4. 서울시교육청(2007). 교육통계연보
  5. 서울시교육청(2007). 학교시설복합화사업. 서울시교육청 내부자료.
  6. 서울시정개발연구원(2007). 지역사회와 소통하는 열린 학교 공간 활용방안. 서울시정개발연구원.
  7. 서충원 . 송석휘 . 최근희(1999). 교육시설의 복합화 재개발 방안. 한국교육시설학회지. 6(2), pp. 3-32.
  8. 오병옥(2008). 학교시설 복합화를 위한 제도개선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이원훈 . 이창수(2007). 미래지향적인 커뮤니티 시설유형 설정에 관한 연구. 대한국토계획학회지 국토계획 42(4), pp95-113.
  10. 이은숙(2006). 학교시설 복합화 추진에 관한 요구 조사 연구.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이현수(2003). 교사와 지역주민의 의식조사를 배경으로 한 초등학교 복합화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이현재(2007). 초등학교 시설의 복합화 계획에 관한 연구 : 커뮤니티 시설과 교육공간의 복합화 계획.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황성아(2003). 초등학교시설의 지역사회를 위한 개방과 복합화 계획 연구. 홍익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4. 홍현진 . 양우현(2007). 복합화 초등학교 시설 이용 만족도와 커뮤니티 활성화 효과 분석. 한국도시설계학회 춘계 학술발표대회논문집. pp164-1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