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sign Strategies of Large Park in the International Design Competition for Central Open Space in Multi-Functional Administrative City, Korea

행정중심복합도시 중앙녹지공간 국제설계공모에 나타난 대형 공원의 설계 전략

  • Park, Keun-Hyun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Graduate School, Seoul National University) ;
  • Pae, Jeong-Hann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and Rural System Engineering, Seoul National University)
  • 박근현 (서울대학교 대학원 생태조경학) ;
  • 배정한 (서울대학교 조경.지역시스템공학부)
  • Published : 2008.12.31

Abstract

Although competitions for large parks are increasing rapidly across the world, theoretical research and critiques of these competitions are as yet insufficient. The 'International Design Competition for Central Open Space in Multi-functional Administrative City, Korea', a representative competition for large park design, can be a significant resource for examining the contemporary design strategies that go into the design of a large park. In this study, the authors make a framework for analysis by looking at the competition's design guidelines and literatures on 'large parks', and by then analyzing the ten finalists. Four questions that were derived from the framework were: 'what are the approaches to large parks?', 'what is the process of design?', 'what is the sustainability of the park?', and 'what are the relations between city and park?'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design concepts for large parks are primarily site-specific. It is particularly important in ensuring the identity of the large park. Second, it is difficult to find design proposals which satisfy the four main questions sufficiently, and works submitted tend to be visual-oriented, form-oriented, and results-centered. Third, the notion of 'sustainability' in large parks is a comprehensive one which includes various aspects such as ecology, finance, programming, and community. However, the notion remains ambiguous, and plans for operation and management are not concretely proposed. Finally, design proposals for large parks accompany positive relations with the city. Especially, 'productive parks' and 'city self-sufficiency' are very important demands in regards to large parks.

전 세계적으로 대형 공원 설계공모가 급증하고 있지만 이에 대한 체계적 검토와 비판적 연구는 드물다. 대표적인 대형 공원 설계공모였던 행정중심복합도시 중앙녹지공간 국제설계공모는 동시대 대형 공원의 설계 전략을 고찰할 수 있는 의미 있는 소재이다. 본 연구는 공모전의 지침서 및 '대형 공원'과 관련된 기존의 문헌 연구를 통해 분석틀을 마련하고, 이를 바탕으로 열개의 결선작을 분석하였다. 분석틀로 도출된 네 가지 질문은 대형 공원에 대한 접근 방식, 프로세스 설계, 공원의 지속가능성, 도시와의 관계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형 공원의 설계 개념은 주로 대상지 내부의 특성에서 나온다. 특히 공원의 정체성 확보가 대형 공원에서는 중요하다. 둘째, 본 연구의 네 가지 질문을 모두 만족시킨 설계안은 찾기 어려웠으며, 여전히 시각적, 형태중심적, 결과중심적 설계가 많았다. 셋째, 대형 공원의 '지속가능성'은 생태적 측면, 재정적 측면, 프로그램 측면, 커뮤니티 측면 등 다양한 측면을 아우르는 포괄적인 개념이다. 하지만 그 개념이 아직 모호하고, 구체적인 운영 및 관리 프로그램들이 부족하다. 넷째, 대형 공원은 도시와의 관계 맺기에 적극적으로 나선다. 특히, '생산하는 공원'과 '도시의 자급자족성 확보'는 대형 공원에 요청되는 중요한 필요조건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수연(2000) 조경설계 작품 분석에 관한 연구: 여의도공원 현상설계공모안을 중심으로.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김아연(2005) 브리지 파크 국제설계경기에 나타난 현대 조경설계의 경향. 한국조경학회지 33(5): 15-30
  3. 김영대(1995) 현대 한국 조경작품의 설계 경향에 관한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23(2): 71-92
  4. 배정한(2002) 다운스뷰파크 국제설계경기를 통해 본 조경설계의 새로운 전략. 한국조경학회지 29(6): 62-71
  5. 배정한(2008) 대형 공원, 생산, 프로세스: 행정중심복합도시 중앙녹지공간 국제설계공모. 조경비평 봄 편. 봄, 디자인 경쟁시대의 조경. 파주: 도서출판 조경
  6. 위재송(2001) 한국 현대공원설계 경향에 관한 연구: 최근 10년간 공원현상설계작품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7. 이상민, 조정송(2004) 서울숲 조성 설계공모에 대한 비판적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31(6): 15-27
  8. 이지선(2008) 프로세스 설계 방법을 적용한 조경설계: 용산미군기지 공원화 프로젝트.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한국토지공사(2007) 행정중심복합도시 중앙녹지공간 국제 설계공모 설계지침서
  10. Baljon, L.(1992) Designing Parks. Amsterdam: Architectura & Natura Press
  11. Beardsley, J.(2007) Conflict and erosion: The contemporary public life of large parks. In J. Czerniak and G. Hargreaves eds., Large Parks. New York: Princeton Architectural Press. pp. 199-214
  12. Berrizbeitia, A.(2007) Re-placing process. In J. Czerniak and G. Hargreaves eds., Large Parks. New York: Princeton Architectural Press. pp. 175-198
  13. Czerniak, J.(2007a) Speculating on size. In J. Czerniak and G. Hargreaves eds., Large Parks. New York: Princeton Architectural Press. pp. 19-34
  14. Czerniak, J.(2007b) Legibility and resilience. In J. Czerniak and G. Hargreaves eds., Large Parks. New York: Princeton Architectural Press. pp. 215-251
  15. Hargreaves, G.(2007) Large parks: A designer's perspective. In J. Czerniak and G. Hargreaves eds., Large Parks. New York: Princeton Architectural Press. pp. 121-174
  16. Jury Committee(2007) Jury Report: International Design Competition for Central Open Space in Muti-functional Administrative City, Korea
  17. Lister, N.-M.(2007) Sustainable large parks: Ecological design or designer ecology? In J. Czerniak and G. Hargreaves eds., Large Parks. New York: Princeton Architectural Press. pp. 35-58
  18. Meyer, E.(2007) Uncertain parks: Disturbed sites, citizens, and risk society. In J. Czerniak and G. Hargreaves eds., Large Parks. New York: Princeton Architectural Press. pp. 59-86
  19. Waldheim, C.(2007) The Landscape Urbanism Reader. 김영민(역). 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 파주: 도서출판 조경
  20. www.iklc.co.kr
  21. www.landscapeworld.co.kr
  22. www.macc.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