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ell suspension

검색결과 676건 처리시간 0.027초

펙틴분해효소를 이용한 마늘, 고추와 오이의 단세포화물의 제조 (Characteriatics of Single Cell Suspension of Garlic, Red Pepper and Cucumber Prepared by Protopectin Hydrolytic Enzymes)

  • 백구현;김성수;이영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369-377
    • /
    • 2006
  • 채소류 가공 공정시 발생하는 영양성분의 손실, 색의 변화, 짧은 저장기간 등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식물조직의 단세포를 유리시킬 수 있는 최적조건을 연구하였다. 즉 효소처리를 위한 최적 조건은 오이, 마늘, 고추에서 250 rpm, $37^{\circ}C$, 150분으로 나타냈다. 각 시료에 대한 효소 농도는 오이, 마늘, 고추 각각 0.5, 0.75, 0.75%를 보였으며, pH는 7.0, 8.0, 5.0이었다. 단세포화한 뒤 착즙율은 기계처리물에 비해 오이, 고추, 마늘, 각각 16, 36, 36.5% 이상의 수율 향상을 가져 왔다. 비타민 C 함량에서도 고추, 마늘 단세포화물이 약 9일 경과 후에도 80% 이상을 유지하고 있었으나, 기계처리물에서는 약 50% 정도를 감소하여, 저장기간이 지나도 비타민 C 감소폭이 적었다. 열처리 전후의 색도 변화에서도 ${\Delta}E$ 값이 1.16-3.27로 기계 처리물의 2.87-7.68보다 색도의 변화가 적어 외관상으로도 우수한 결과를 나타냈다. 고추의 capsaicin 최초 함량은 단세포화불이 1.77 mg/100 g로 기계처리물의 1.32 mg/100 g보다 높은 함량을 나타냈으며 저장 후에도 1.4 mg/100 g으로 기계처리물보다 높은 함량을 보였다. $-18^{\circ}C$에서 저장시 냉해동 안정성은 4 cycle 경과 후 단세포화물은 약 70%, 기계처리물은 약 20%의 점도를 유지하고 있었다.

식물생장촉진근권세균 Bacillus subtilis YGB36을 이용한 고추 탄저병의 생물학적 방제 (Control of Red Pepper Anthracnose Using Bacillus subtilis YGB36, a Plant Growth Promoting Rhizobacterium)

  • 이용윤;이연미;김영수;김현섭;전용호
    • 식물병연구
    • /
    • 제26권1호
    • /
    • pp.8-18
    • /
    • 2020
  • 고추는 한국의 주요 경제 작물 중 하나이지만 재배과정에서 Colletotrichum acutatum에 기인한 탄저병이 많이 발생한다. 이의 방제를 위해 길항균인 Bacillus subtilis YGB36을 선발하여 16S rRNA 염기서열 및 생리·생화학적 분석을 통해 Bacillus subtilis로 동정하고 이를 생물학적 방제제로 개발하고자 실험을 진행하였다. In vitro screening에서 YGB36은 Cylindrocarpon destructans에 강한 항균활성을 나타내었고, cellulase, protease, amylase, siderophore 생산 및 phosphate solubility를 보유하고 있었다. 이 균주의 배양액(106 cfu/ml) 및 배양여액은 in vitro 실험에서 C. acutatum의 포자발아를 강하게 억제하였고, 고추 과실을 이용한 실내실험에서도 이 배양액이 탄저병 병반의 진전을 억제하였으며, 방제가는 65.7%로 나타났다. 아울러 YGB36배양액은 고추 종자의 발아 및 초기 뿌리 생장을 촉진하였고, 온실에서의 식물 생장을 촉진하였다. 기존 화학농약과의 혼용 가능성 조사 결과, YGB36은 실험에 사용한 모든 살충제에서 생존에 영향을 전혀 받지 않았으며, 살균제 21종 중 11종에서 잘 생존하였다. 따라서 YGB36균주는 고추 탄저병에 대한 생물농약으로서의 잠재적 가치가 상당한 것으로 판단된다.

무균포장밥으로부터 분리된 부패 미생물의 동정 및 전해산화수의 취반수로서의 이용 효과 (Identification of Spoilage Bacteria Isolated from Aseptic Packaged Cooked Rice and Application of Acidic Electrolyzed Saline Solution as Water-for-Cooked Rice)

  • 정정환;한선진;조원대;황한준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788-793
    • /
    • 1999
  • 본 연구에서는 오염된 무균포장밥으로부터 미생물의 분리 동정을 실시하고 AESS의 살균효과를 측정하였으며, 이를 취반수로 이용하여 취반미의 pH를 저하시킨 후 오염된 미생물의 사멸 및 생육억제 효과를 검토하였다. 오염된 3종의 시료로부터 총 6주의 오염미생물을 분리하여 생리화학적 방법에 의하여 5주의 Bacillus subtilis와 1주의 B. cereus로 동정하였다. 이 결과는 지방산 분석법에 의한 미생물동정기를 사용하여 확인하였다. AESS의 살균효과는 0.1% NaOCl 및 70% ethanol 용액의 그것과 유사하거나 보다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Bacillus spp.를 제외한 다른 시험미생물들은 5초간의 노출로 모두 사멸하였다. Bacillus spp.에 대해서는 AESS가 NaOCl이나 ethanole보다 우수한 살균 또는 성장 억제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5분간의 노출로 모두 사멸하였거나 성장 억제되었다. 또한 AESS를 취반수로 사용하면 pH $3.6{\sim}4.3$ 범위의 취반미를 얻을 수 있었으며, 제조된 밥의 pH는 저장기간 중 거의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여기에 오염된 무균포장밥으로부터 분리된 Bacillus 균현탁액을 조제하여 접종 밀봉하고 $37^{\circ}C$에서 2주간 저장한 결과 수도수로 제조된 밥에서는 정상적인 성장을 나타냈으나, AESS로 제조된 밥에서는 오염 미생물들의 생육이 완전히 억제되었다.

  • PDF

Effects of Exogenous Insulin-like Growth Factor 2 on Neural Differentiation of Parthenogenetic Murine Embryonic Stem Cells

  • Choi, Young-Ju;Park, Sang-Kyu;Kang, Ho-In;Roh, Sang-Ho
    • Reproductive and Developmental Biology
    • /
    • 제36권1호
    • /
    • pp.33-37
    • /
    • 2012
  • Differential capacity of the parthenogenetic embryonic stem cells (PESCs) is still under controversy and the mechanisms of its neural induction are yet poorly understood. Here we demonstrated neural lineage induction of PESCs by addition of insulin-like growth factor-2 (Igf2), which is an important factor for embryo organ development and a paternally expressed imprinting gene. Murine PESCs were aggregated to embryoid bodies (EBs) by suspension culture under the leukemia inhibitory factor-free condition for 4 days. To test the effect of exogenous Igf2, 30 ng/ml of Igf2 was supplemented to EBs induction medium. Then neural induction was carried out with serum-free medium containing insulin, transferrin, selenium, and fibronectin complex (ITSFn) for 12 days. Normal murine embryonic stem cells derived from fertilized embryos (ESCs) were used as the control group. Neural potential of differentiated PESCs and ESCs were analyzed by immunofluorescent labeling and real-time PCR assay (Nestin, neural progenitor marker; Tuj1, neuronal cell marker; GFAP, glial cell marker). The differentiated cells from both ESC and PESC showed heterogeneous population of Nestin, Tuj1, and GFAP positive cells. In terms of the level of gene expression, PESC showed 4 times higher level of GFAP expression than ESCs. After exposure to Igf2, the expression level of GFAP decreased both in derivatives of PESCs and ESCs. Interestingly, the expression level of $Tuj1$ increased only in ESCs, not in PESCs. The results show that IGF2 is a positive effector for suppressing over-expressed glial differentiation during neural induction of PESCs and for promoting neuronal differentiation of ESCs, while exogenous Igf2 could not accelerate the neuronal differentiation of PESCs. Although exogenous Igf2 promotes neuronal differentiation of normal ESCs, expression of endogenous $Igf2$ may be critical for initiating neuronal differentiation of pluripotent stem cells. The findings may contribute to understanding of the relationship between imprinting mechanism and neural differentiation and its application to neural tissue repair in the future.

Naegleria fowleri 감염에 대한 방어면역에 관한 실험적 연구 (Protective immunity against Naegzeria meningoencephalitis in mice)

  • 이순곤;임경일;이근태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23권2호
    • /
    • pp.293-299
    • /
    • 1985
  • 병원성 자유생활 아메바인 Naegleria fowleri를 CGVS 배지에서 무균적으로 배양하여 그 영향형을 복강내로 주입하여 인위적으로 면역시킨 마우스에 본 원충율 비강내로 감염시켰을때 방어면역이 생성되는지를 관찰하였다. 감염 8일후부터 마우스가 사망하기 시작하였고 이 마우스의 뇌에서 전형적인 원발성 아메바성 뇌수막염이 발생했음을 관찰할 수 있었다. N. fowleri 감염으로 인한 마우스의 사망율은 대조군에서 보다 네가지 항원으로 면역시킨 실험군에서 모두 현저히 낮았으며, 감염에서 사망할 때까지의 생존기간도 면역시킨 실험군에서 대조군보다 연장되었으나, N. fowleri 세포막항원으로 면역시킨 실험군에서는 대조군과 비교할때 차이가 없었다. 또한 N. gruberi 영양형으로 면역시킨 실험군에서도 생존기간이 연장되었다. 이상의 성적을 요약하면 N. fowleri를 마우스 복강내로 주입시켜 면역시킬 때 방어면역이 생성됨을 알 수 있었다.

  • PDF

돼지 Leucocyte Interferon 생산(生産)에 대한 기초연구(基礎硏究) (Preliminary Studies on Production of Porcine Leucocyte Interferon)

  • 전무형;정운익;박봉균;김교준;이헌준
    • 농업과학연구
    • /
    • 제12권1호
    • /
    • pp.153-161
    • /
    • 1985
  • 고단위(高單位)의 porcine leucocyte interferon(For IFN-${\alpha}$)을 대량생산(大量生産)하기 위한 기초연구(基礎硏究)로써 백혈구(白血球) 분리법(分離法), 백혈구(白血球)의 성상(性狀) 및 inducer에 따른 IFN 생산효과(生産效果) 시험(試驗)을 하였고 Por IFN-${\alpha}$의 역가측정(力價測定)을 micro-system에 확립(確立)하기 위해 시험(試驗)을 수행(遂行)하였던 바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돼지 말초백혈구(末梢稍白血球)를 분리(分離)하기 위해서 4 가지 방법(方法)을 응용(應用)하던 바 백혈구(白血球) 분리법(分離法)은 buffy coat 方法에서 가장 높았으나 적혈구(赤血球) 혼입율(混入率)이 높았고 Ficoll-paque 방법(方法)에서는 백혈구(白血球) 분리율(分離率)은 중등도(中等度)였으나 적혈구(赤血球) 혼입율(混入率)은 가장 낮았다. 2. 말초백혈구(末梢白血球)와 비장세포(脾臟細胞)의 활성도(活性度)는 IFN 생산(生産)에 영향(影響)을 주었으며 세포활성도(細胞活性度)가 높을수록 IFN 생산효능(生産效能)이 높았으며, 적혈구(赤血球)의 혼입도(混入度)가 높을수록 IFN 생산효능(生産效能)은 낮았다. 말초백혈구(末梢白血球)는 비장세포(脾臟細胞)에 비해 1.7배(倍)의 높은 IFN 생산효과(生産效果)가 인정(認定)되었다. 3. Inducer로 사용(使用)된 Sendai virus(Cantell 주(株))는 Newcastle disease virus(Lasota 주(株)) 보다 IFN 생산효과(生産效果)가 5.5 배(倍) 높았다. 4. 본(本) 시험(試驗)에서 확립(確立)된 micro-IFN assay 법(法)의 재현성(再現性)을 검사(檢査)한 바 4회반복시험(回反復試驗)에서 편차(偏差)는 0.05~0.21로 나타났다. 5. 시험생산(試驗生産) 9롯트의 IFN 역가(力價)는 330 내지 4,700 unit/ml로써 평균(平均) 1,200 unit/ml이었다.

  • PDF

흰쥐 분리 간세포에 있어서 딜티아젬의 간클리어런스에 미치는 페노바르비탈의 영향 (Effect of Phenobarbital on the Hepatic Clearance of Diltiazem in Isolated Rat Hepatocytes)

  • 이용복;오준교;고익배
    • Journal of Pharmaceutical Investigation
    • /
    • 제26권1호
    • /
    • pp.33-41
    • /
    • 1996
  • In order to study the effect of phenobarbital(PB) on the hepatic transport of diltiazem(DTZ), $Ca^{2+}$ channel blocker, we used isolated hepatocytes of rat which was intraperitoneally pretreated with phenobarbital sodium(75 mg/kg) for four days once a day. For the isolation of rat liver cells, a modification of the two step procedure of Seglen was used. DTZ was dissolved in incubation buffer to the final DTZ concentrations of 200, 400, 600, 800 and 1000 ng/ml in order to elucidate the uptake characteristics of DTZ by hepatocytes. Reactions were stopped at 10, 20, 30, 45, 60, 90, 120 and 300 sec. The initial velocity was determined by disappearance of diltiazem in the hepatocyte suspension. On the other hand, to determine the effect of PB on the in vitro hepatic intrinsic clearance of DTZ we obtained the metabolism rates of DTZ in the control and the PB-pretreated rat hepatocyte at various time intervals. According to pretreatment with PB, the size of hepatocyte and the amount of protein per $10^6$ cells were significantly (p<0.01) increased from $26.92{\pm}0.1364\;m$ to $35.31{\pm}1.00\;m$ and from $468{\pm}6.5\;{\mu}g/10^6$ cells to $628.8{\pm}12.1{\mu}g/10^6$ cells, respectively. In the case or hepatic uptake of diltiazem, $K_m$ was not different in the normalization by cell numbers and increased from $2.90\;{\mu}M\;to\;13.89\;{\mu}M$ in the normalization by protein amount. $V_max$ was increased regardless of normalization by protein amount and cell numbers, from $1.21\;{\mu}mole/min \;{\cdot}\;mg\;protein\;to\;3.96\;{\mu}mole/min\;{\cdot}\;mg\;protein\;and\;from\;2.38\;{\mu}mole/min\;{\cdot}\;10^6\;cells\;to\;2.83\;{\mu}mole/min\;{\cdot}\;10^6\;cells$, respectively. The in vitro hepatic intrinsic clearance of DTZ was significantly (p<0.01) increased from $0.640{\pm}0.038\;ml/mim\;{\cdot}\;10^6\;cells\;to\;2.385{\pm}0.212\;ml/min\;{\cdot}\;10^6\;cells$ due to PB-pretreatment.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uptake of DTZ by hepatocyte is extremely fast and PB enhances the hepatic intrinsic metabolic clearance of DTZ.

  • PDF

인간 골막기원세포와 Polydioxanone/Pluronic F127 담체를 이용한 골형성 (In vivo Osteogenesis of Cultured Human Periosteal-derived Cells and Polydioxanone/Pluronic F127 Scaffold)

  • 박봉욱;이진호;오세행;김상준;하영술;전령훈;맹건호;노규진;김종렬;변준호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34권6호
    • /
    • pp.384-390
    • /
    • 2012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in vivo osteogenesis of cultured human periosteal-derived cells and polydioxanone/pluronic F127 scaffold. Methods: Two one-year-old miniature pigs were used in this study. $2{\times}10^6$ periosteal-derived cells in 1 mL medium were seeded by dropping the cell suspension into the polydioxanone/pluronic F127 scaffold. These cell-scaffold constructs were cultured in osteogenic 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for 7 days. Under general anesthesia with azaperone and tiletamine-zolazepam, the mandibular body and ramus of the pigs were exposed. Three bony defects were created. Polydioxanone/pluronic F127 scaffold with periosteal-derived cells and the scaffold only were implanted into each defect. Another defect was left empty. Twelve weeks after implantation, the animals were sacrificed. Results: New bone formation was clearly observed in the polydioxanone/pluronic F127 scaffold with periosteal-derived cells. Newly generated bone was also observed in the scaffold without periosteal-derived osteoblasts and empty defect, but was mostly limited to the periphery.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cultured human periosteal-derived cells have good osteogenic capacity in a polydioxanone/pluronic F127 scaffold, which provides a proper environment for the osteoblastic differentiation of these cells.

방사선조사된 채소류 및 곡물류의 DNA Comet Assay 특성 연구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DNA Comet Assay for Irradiated Vegetables and Grains)

  • 서정은;오세욱;김윤지;이남혁;홍상필;김영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472-476
    • /
    • 2008
  • 국내에서 주로 소비되는 채소류와 곡물류의 방사선조사 여부를 신속하게 검지하기 위하여 DNA comet assay의 활용 가능성을 조사하였다. 식품의 종류에 따라 세포용출시간, 세포현탁액의 정치시간 및 세포용해시간 등의 DNA comet assay 조건을 달리하여야 DNA comet이 관찰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반적으로 방사선조사선량에 따라 comet assay 값이 증가하였는데 유의적 차이는 식품의 종류에 따라 달리 나타났다. 즉, 파는 2 kGy, 마늘은 3 kGy, 토마토는 1 kGy, 쌀가루는 9 kGy, 그리고 서리태는 3 kGy에서 방사선조사 여부에 대한 검지가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식물세포는 동물세포에 비해 외부의 영향에 민감하게 작용하기 때문에 DNA도 쉽게 손상되어 크기뿐만 아니라 핵의 모양도 다양하게 나타나는 것으로 보고된 바와 같이 DNA comet assay를 다양한 식품의 방사선조사 신속검지법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식품의 종류에 따른 표준화된 comet 분석조건 및 통계 분석법에 대한 가이드라인 설정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백합 'Gelia' 캘러스로부터 자구 재분화에 미치는 제요인 (Several Factors on Bulblets Regeneration from Callus Culture in Lilium longiflorum 'Celia')

  • 박소영;김시동;신세균;이철희;백기엽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183-188
    • /
    • 1997
  • 본 시험은 L. longiflorum 'Gelia'의 캘러스 유지 및 증식, 캘러스 선발, 액체현탁배양 등의 단계로 수행하였다. 재분화를 억제시키면서 캘러스를 유지 증식시키기 위하여 MSH배지에 2.4-D 0.5 mg/L , NAA 1.0 mg/L, BA 0.3 mg/L를 첨가한 배지가 가장 효과적이었으며 재분화를 억제시키기 위해 2,4-D의 첨가는 필수적이었다. 당은 30 g/L 첨가가 캘러스 생육에 가장 적합하였고 50 g/L 이상 고농도는 캘러스 생육에 억제적이었다. 또한 0.42%의 한천을 첨가한 반고형배지에서 캘러스의 생육이 증진되었다. 4~5회 계대배양된 캘러스에서 유사배발생 캘러스(ELC)가 관찰되었다. ELC의 증식과 캘러스의 유연성을 증진시키기 위해 $\textrm{NO}_{3^-}$$\textrm{NH}_{4^+}$의 비율을 달리하여 배양한 결과, 전반적으로 NO$_3$-의 함량이 높은 배지에서 배양된 캘러스는 생육과 유연성이 양호하였다. 그러나 체세포배발생 가능성이 있는 캘러스의 증식에는 효과적이지 못했다. 액체배양은 MSH배지에 NAA 1.0 mg/L, BA 0.3 mg/L, 16.7% conditioned배지(30 mL당 1 mL), casein hydrolysate 2.0g/L를 첨가한 액체배지에 배지 30 mL당 1.5 g의 캘러스를 배양했을때 가장 캘러스 증식효율이 높았다. 광학현미경으로 조직을 관찰한 결과 1년 이상 장기배양된 캘러스에서 기관분화가 가능했고 배발생 초기단계의 세포도 관찰되어 백합 'Gelia' 캘러스로부터 체세포배 형성이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