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ell division

검색결과 5,272건 처리시간 0.041초

창란젓갈의 포장에 관한 연구 -2. 파우치 포장 젓갈의 품질유지기한- (A Study in Packing of Changran-Jeotgal -2. Shelf-life a Plastic Pouch racking of Changran-Jeotgal-)

  • 윤지혜;이원동;장동석;강지희;이명숙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15-20
    • /
    • 2002
  • 신제조기법과 재래식방법으로 제조된 창란젓갈을 시험구와 대조구로하여 이들을 파우치 포장하여 각각 10, 20 및 $30^{\circ}C$에 저장하면서 품질변화를 조사하였다. 창란젓갈의 파우치포장 low density polyethylene (PE), poly-ethylene terephthalate/polyethylene/linear low density polyethylene (PET), polyethylene/nylon/linear low density polyethylene (PE/Ny)에서 시험구와 대조구 모두 저장온도가 높을수록 파우치 포장의 $CO_2$, 발생과 부피 팽창속도가 가속화되었으며, 부피팽창 속도는 PE/Ny, PET, PE 순으로 빨랐다. 한편, pH, L값, VBN의 변화속도는 PE가 가장 빨랐으며 그 다음이 PET, PE/Ny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저장 전 구간에 있어서 시험구가 대조구에 비하여 변화속도가 완만하였다. 포장재별로 각 온도에서 저장한 창란젓갈의 생균수변화를 조사한 결과 온도가 높을수록, 대조구가 시험구보다 생균수 증가가 빨랐다. 일반적으로 젓갈 포장에 사용되고 있는 PE의 경우 PET나 PE/Ny에 비하여 필름의 가스투과성이 높아 호기성 미생물의 증식을 촉진시키는 것으로 나타나 PET나 PE/Ny 파우치 포장으로 대체되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창란젓갈 파우치포장의 관능검사에서 상품성이 유지되는 품질기준을 6.0 이상으로하여 품질유지기한을 설정하였을 때, $10^{\circ}C$에서PE, PET, PE/Ny 포장의 품질유지 기한은 대조구가 20일, 40일, 40일인데 비하여 시험구는 40일, 50일, 60일로 나타나 10$\~$20일 정도 연장되었다. 따라서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창란젓갈 저장시 품질측정변수에 대한 상관관계를 조사한 결과 파우치포장에서는 파우치의 부피, pH, L값, 휘발성염기질소 (VBN), 관능검사 등이 상관관계가 높아 젓갈 포장에서 품질지표항목으로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수종 정신병치료제들의 NO형성에 대한 검색(I) (Screening Test(I) of Several Antipsychotic Agents on NO Formation)

  • 이종화
    • 대한약리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343-349
    • /
    • 1994
  • 정신병치료제들을 장기투여하여 치료를 시도하였을 때에 생기는 여러 부작용은 그 정도 또한 매우 심각하기 때문에 그들의 치료효과와 함께 야기되는 부작용들을 따로 생각할 수가 없게 되었다. 특히 정신병치료는 그 자체에 대한 병인적 원인을 정확히 알 수 없기에 증상에 따른 대중요법이 일괄적으로 사용되므로, 이러한 현재의 치료방법으로는 부작용들이 더 치명적이 될 수 있기 때문에 일차적으로 이들의 공통적약리작용기전들을 연구하는 것은 매우 필요하다. 최근 NO(Nitric oxide)에 대한 많은 연구들에 의하면, 이들이 중추신경계에서 중요한 second messenger 또는 mediator로 신경활동에 영향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그러므로 저자들은 먼저 이들 약물들과 NO와의 관계를 연구하고자, 중요한 몇종의 정신병치료제들을 택하여 NO생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가를 검색하여 다음과 같은 일차 결과를 얻었다 1. 정신병치료제 수종(chlorpromazine, trifluoperazine promazine, pimozide, clozapine, chlorprothixene, haloperidol)을 택하여 쥐의 소내에서 $[^3H]L-arginine$으로부터 $[^3H]L-citrulline$의 생성양을 측정하여 calmodulin antagonist(calmidazolium)와 비교하였다. 2. 이들을 N1E-115 cell에 투여하여 $[^3H]cyclic$ GMP양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calmida-zolium 과 비교하였다. 3. 이들 약물들은 citrulline과 cyclic GMP 모두의 생성양을 의의있게 억제하였으며 그 기전은 calmidazolium과 매우 유사하였다. 위의 일차적 검색결과에 의하면, 정신병치료약물들의 약리작용 기전중에 일부는 중추신경계내의 NO생성 및 cyclic GMP생성에 영향을 나타내는 것으로 사료되며, 이에는 calcium ion이 상당히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특히 소뇌에서의 NO생성의 감소는 이들 약물들의 치명적 부작용인 tardive dyskinesia와 매우 깊은 관련을 추측할 수 있다. 그러나, 더 많은 약물들의 검색으로 일관적인 기본 결과가 필요 되고 또 각개 약물의 특정적 기전이 연구되기 위하여 현재 실험중이다.

  • PDF

Sindbis Virus에 의한 뉴런세포의 탈수초의 유도 (Induction of Demyelination of Neuronal cells by Sindbis Virus)

  • 사영희;김현주;권태동;김지영;이배환;홍성갑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8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584-587
    • /
    • 2018
  • 마우스 간염 바이러스, 코로나, 홍역 및 sindbis 바이러스와 같은 많은 바이러스가 쥐의 신경계에서 수초 형성의 파괴를 의미하는 탈수 초 유도의 원인 바이러스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슈반 세포와 신경 세포의 공동 배양에 의한 수초화와 쥐의 sindbis 바이러스 감염에 의한 탈수초화에 의한 수초화 과정을 연구하는 데 있다. 쥐의 배아의 (Dorsal root ganglion, DRG)에서 슈반 (Schwann) 세포와 신경 세포 (neuronal cell)를 in vitro에서 배양 하였다. 유사 분열 억제인자로 처리한 신경세포와 정제 된 Schwann 세포를 갖는 공동 배양을 하였다. 그 후,이 수초화 된 공동 배양 시스템에 sindbis 바이러스 감염이 수행되었다. 수초 형성의 존재를 의미하는 peripheral myelin protein 22 (PMP 22) 항체를 사용하여 수초 형성 및 탈수초화 과정을 관찰 하였다. 우리는 수초화 된 뉴런의 존재를 의미하는 말초 myelin 단백질 22 (PMP 22)의 항체를 사용하여 수초화 및 탈수초 과정을 확인하였다. 이 연구는 과학 기술부, ICT 및 미래 계획 (NRF-2015R1C1A1A01053484 및 2017R1A2B3005753)이 자금을 지원하는 국립 연구 재단 (NRF)을 통한 기초 연구 프로그램의 지원을 받았다.

  • PDF

태양전지 봉지재용 에틸렌-프로펠렌 공중합체의 결정화 거동에 관한 연구 (Study on crystallization behavior of an ethylene-polypropylene copolymer based encapsulant for photovoltaic application)

  • 손영곤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12호
    • /
    • pp.737-742
    • /
    • 2016
  • 태양 전지에 사용되는 봉지재는 EVA (ethylene vinylacetate copolymer)가 주로 사용되고 있으나, 긴 경화시간 및 경화 시 사용되는 라디칼 개시제에 의한 열변성에 의한 문제점이 해결되지 않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를 봉지재로서 타당한가 조사하고자 하였다. 에틸렌/프로필렌 함량이 다른 다섯 종류의 시료를 대상으로 연구하였다. 시료들의 결정화 거동과 결정 구조를 관찰하기 위하여 시차주사열량계와 광각 x-선 회절 분석기를 사용하였다. 에틸렌의 함량이 높을수록 결정화도, 밀도 및 유리전이 온도 낮아지는 전형적인 결과를 보였다. 그러나 결정들의 용융 온도는 에틸렌 20.1 과 22.2 mol. % 인 경우가 제일 높은 특이한 결과를 보였는데 이는 중합 시 특수 촉매에 의한 블록 공중합체와 같은 구조 때문이었다. 이 때문에 에틸렌 함량이 제일 낮은 종류가 투명도가 높고 내열성이 우수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고 봉지재에 가장 적하는 결론을 내렸다. 또한 결정화 시간을 증가시킬수록 새로운 용융 피크가 생성되는 것을 볼 수 있었는데 이는 어닐링에 의해 새로운 결정 구조가 형성되기 때문인 것을 X선 회절 분석을 통하여 알 수 있었다.

마우스 및 랫드에서 botulinum toxin type A의 단회 및 28일 반복투여 독성시험 (Single and 28-day repeated dose toxicity studies of botulinum toxin type A in mice and rats)

  • 전태원;김지영;현선희;김남희;이상규;김춘화;우희동;양기혁;정현호;정태천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43권1호
    • /
    • pp.57-66
    • /
    • 2003
  • Single and 28-day repeated dose toxicity studies of botulimnn toxin type A were carried out in ICR mice and Sprague-Dawley rats, respectively. In the single dose toxicity study, botulinwn toxin was injected intraperitoneally to male and female mice at a single dose of 40, 59, 89 133 and 200 ng/10 ml saline/kg. All animals died from 59 ng/kg group. Some clinical signs, such as decrease in locomotor activity, dyspnea, prone position and ptosis, were observed in most of both sexes from 59 ng/kg group, but no signs were seen in all animals at 40 ng/kg group. The results showed that the median lethal dose of botulinum toxin might be in the range of 40-59 ng/kg in both sexes. In the repeated dose toxicity study, the test material was administered intradermally for 28 days at doses of 0 (vehicle-treated control), 1.25, 2.5, 5.0 and $10.0ng/head/50{\mu}{\ell}$ saline in male and female rats. No test material-related changes were noted in survivals, clinical signs, food and water consumptions and gross finding in any group. Botulinum toxin treatment significantly decreased the body weight gain rate in male of 5.0 ng/head group and over and in female of 10.0 ng/head group compared to vehicle-treated control. One or more relative organ weights (i.e., spleen, thymus, liver and kidney) were increased significantly from 5.0 ng/head group compared to vehicle-treated control in both sexes. Serum biochemistry revealed increases in aspartate aminotransferase (AST), alanine aminotransferase (ALT), creatine phosphokinase, total protein and albumin in male, and increases in AST and ALT and decreases in $K^+$ and $Cl^-$ in female without dose-pendent manners. In the histopathological study, physical stimulation by needle caused slight inflammations of dennis. In addition, botulinum toxin treatment induced denervation of nerve cell and disuse of muscle, resulting in atrophy of skeletal muscle in both sexes from 2.5 ng/head group. When the antibodies to toxin were determined in all animals, a significant increase in serum antibodies was observed from 5.0 ng/head group. The results showed that the NOAEL of botulinum toxin might be 1.25 ng/head for 28-day repeated dose toxicity in rats.

비광요구형 디페닐에테르계 TOPE 의 생리적 작용에 관한 연구 (Physiological Effects of TOPE, a Photo - independent Diphenylether, on Higher Plants)

  • 김진석;조광연;변종영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60-170
    • /
    • 1996
  • 비광요구형 디페닐에테르계 화합물인 TOPE의 제초작용 생리를 알기 위하여 온실에서의 제초특성을 비롯한 식물색소대사, 전자전달계, 단백질 및 핵산대사 등에 미치는 TOPE.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작용발현 속도가 광요구형 디페닐에테르계보다는 늦지만 엽신부의 고사와 동시에 생육저해 및 생장점에서의 분열이상이 관찰되었으며 절취된 오이자엽에 처리될 경우 전해질 누출과 더불어 엽주변부의 심한 분열이상이 초래되었다. 그러나 2,4-D와 같은 오옥신 활성은 아니었다. 저광도에서의 엽록소 형성 저해정도는 관찰되지 않았으며 oxyfluorfen 과는 달리 protoporphyrin IX의 축적도 유기되지 않았으나, 카로티노이드 성분은 모두 비정상적으로 증가되었다. 탈수소효소의 활성 또는 미토콘드리아에서의 호흡활성은 일정농도에 서 증가되는 경향을 보이나 호흡저해제들은 TOPE에 의한 전해질 누출을 경감시키지 못하였다. 한편 광합성 전자전달 저해는 고농도에서만 관찰되었다. 오이의 전해질 누출과 분열이상을 지표로 한 TOPE와의 상호작용 실험에서 전해질 누출에 대하여 cycloheximide는 상승적으로, chloramphenicol, actinomycin-D, hydroxyurea는 길항적으로 작용하였고, cycloheximide, actinomycin-D, hydroxyurea 등은 자엽의 이상분열을 경감시켰다. 이는 TOPE가 핵산대사에 관여됨을 시사해 주는 것으로써 오이자엽 및 벼 근에 TOPE를 처리했을 때 RNA 및 단백질보다 DNA의 증가가 보다 빠른 시기에 일어났다. 따라서 TOPE가 처리되면 비정상적인 핵산대사 촉진으로 인해 제반 생리작용이 교란되고 이어 엽신부의 고사와 분열이상 등의 제초활성이 발현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 PDF

감마선 조사된 수산 자숙액의 오염 미생물군 특성 (Characteristics of Microorganisms Contaminating Seafood Cooking Drips Exposed to Gamma Irradiation)

  • 최종일;김연주;김재훈;전병수;안동현;권중호;황영정;변명우;이주운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286-291
    • /
    • 2009
  • 수산 가공 부산물인 자숙액을 식품 및 공중보건 소재로 이용하기 위해 자숙액의 위생화를 위한 감마선 조사기술의 이용가능성을 검토하였다. 톳, 참치 및 굴 자숙액을 시료로 하여 1-5 kGy의 감마선을 조사하여 미생물 생존율을 측정하였고 생존미생물을 동정하였다. 굴 자숙액에서는 호기성 미생물이 검출되지 않았으나, 톳 및 참치 자숙액에서는 약 6.4 및 3.1 log CFU/g의 호기성 미생물이 검출되었고, 저장기간이 증가함에 따른 미생물 수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또한 감마선 조사선량이 증가함에 따라 생균수의 감소와 자숙액에 오염된 미생물의 살균효과를 확인하였으나, 자숙액 종류별로 미생물의 감마선 저항성이 상이하였다. 수산 자숙액에 존재하는 모든 미생물을 사멸시키기 위해서는 톳 자숙액의 경우 10 kGy, 참치자숙액의 경우 20 kGy 이상의 감마선 조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자숙액에 오염된 미생물을 동정한 결과 L. plantarum, L. pentosus, Paenibacillus sp., B. subtilis, B. gelatini 등을 포함하여 총 20종의 오염 미생물을 확인할 수 있었다. 톳 자숙액에서는 주로 Lactobacillus 속 들이 주로 검출되었고, 참치 자숙액에서는 Bacillus 속이 주로 검출되었다.

개머루덩굴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The antioxidative effects of Ampelopsis brevipedunculata extracts)

  • 임태진;최무영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3권5호
    • /
    • pp.445-450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개머루덩굴 95% 에탄올추출물의 항산화 효과를 조사하였다. Pyrogallol의 억제율을 100%로 기준하였을 때, DPPH 라디칼을 50% 억제시키는데 필요한 개머루덩굴 추출물의 농도는 0.42 mg/mL이었다. 총항산화 활성은 ABTS 라디칼에 대한 항산화능으로 측정하였다. 개머루덩굴 추출물 0.1 및 1 mg/mL의 총항산화능은 각각 0.65 및 3.71 mM Trolox와 동등한 수준이었다. 개머루덩굴 추출물 5 및 $100\;{\mu}g/mL$의 peroxyl radical 소거능은 각각 22.75 및 $131.25\;{\mu}M$ gallic acid와 동등한 수준이었다. 개머루덩굴 추출물 0.1 및 1 mg/mL의 superoxide 소거능은 각각 27.7 및 56.0%이었다. 개머루덩굴 추출물 0.5 및 2 mg/mL의 총페놀 함량은 각각 0.55 및 2.06 mM gallic acid와 동등한 수준이었다. 또한, HepG2 세포주를 이용한 세포배양에서 개머루덩굴 추출물 0.1 mg/mL 농도의 첨가는 0.2 및 0.5 mM tert-butyl hydroperoxide로 유도된 세포독성을 각각 36.2 및 23.3% 감소시켰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들은 개머루덩굴 추출물의 강력한 항산화 효과와 세포독성 억제 효과를 나타내며, 이러한 효능은 적어도 자유라디칼의 산화 억제와 높은 총페놀 함량에 기인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Flavonoids from Orostachys Japonicus A. Berger Induces Caspase-dependent Apoptosis at Least Partly through Activation of p38 MAPK Pathway in U937 Human Leukemic Cells

  • Lee, Won Sup;Yun, Jeong Won;Nagappan, Arulkumar;Jung, Ji Hyun;Yi, Sang Mi;Kim, Dong Hoon;Kim, Hye Jung;Kim, GonSup;Ryu, Chung Ho;Shin, Sung Chul;Hong, Soon Chan;Choi, Yung Hyun;Jung, Jin-Myung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6권2호
    • /
    • pp.465-469
    • /
    • 2015
  • Background: Orostachys japonicus A. Berger (A. Berger) is commonly used as a folk remedy for cancer therapy. However, the mechanisms of its anti-cancer activity are poorly investigated in human cancer cell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whether flavonoids extracted from Orostachys japonicus A. Berger (FEOJ) might have anticancer effects in human leukemia cells, focusing on cell death mechanisms. Materials and Methods: U937 human leukemic cancer cells were used. Results: FEOJ induced apoptosis in a dose-dependent manner in human U937 cancer cells. Flow cytometry revealed significant accumulation of cells with sub-G1 DNA content at the concentrations of $200{\mu}g/mL$ and $400{\mu}g/mL$. FEOJ-induced apoptosis was caspase-dependent through loss of mitochondrial membrane potential (MMP, ${\Delta}{\Psi}m$) in human U937 cancer cells, which might be associated with suppression of Bcl-2 and XIAP proteins. FEOJ induced the p38 MAPK signaling pathway, playing at least in part an important role in FEOJ-induced apoptosis. Conclusions: This study suggested that FEOJ may induce caspase-dependent apoptosis in human leukemic cells by regulating MMP (${\Delta}{\Psi}m$) through suppressing Bcl-2 and X-IAP. In addition, the results indicated that upstream p38 MAPK signaling regulates the apoptotic effect of FEOJ. This study provides evidence that FEOJ might have anti-cancer potential for human leukemic cells.

노팔천연복합물이 Streptozotocin으로 유발된 당뇨 쥐의 혈당 및 췌장조직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Opuntia ficus-indica Complexes on Blood Glucose and Pancreatic Islets Histology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 윤진아;김제중;송병춘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334-340
    • /
    • 2012
  • 손바닥선인장의 한 종류인 노팔(Opuntia ficus-indica (L.) Mill)을 주재료로 하여 제조한 복합물(OF)의 항당뇨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8주령 수컷 SD-rat에게 streptozotoxin을 주사하여 당뇨를 유발하고, 사료에 OF를 첨가하여 3주간 급여하였으며, 1주일 간격으로 공복 시 혈당을, 3주 후에는 당내성과 혈장 인슐린 농도를 측정하고 췌장 조직에 면역조직화학 염색을 실시하였다. 실험동물은 정상 대조군(NC), 당뇨 대조군(DC), 2% OF 급여군(OF-2), 5% OF 급여군(OF-5)으로 구분되었으며, NC와 DC는 기초식이를, OF-2와 OF-5는 기초식이에 각각 2%와 5%의 OF를 섞어서 급여하였다. 실험 개시 후 1주마다 12시간 절식시켜 꼬리정맥에서 혈액을 채취하여 공복 혈당을 측정하였다. 실험 3주 후 12시간을 절식시켜 glucose(50 mg/kg BW)를 복강주사한 다음, 30, 60, 90, 120분 경과 후에 혈당을 측정하여 당내성을 측정하였고, 심장에서 혈액을 채취하여 혈중 인슐린 함량을 분석하였다. 또한 췌장 조직에 대해 면역조직화학 염색을 실시하여 조직학적인 변화를 알아보았다. 3주간의 공복 시 혈당은 OF-5와 OF-2 모두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5). 당내성 측정 결과, OF 급여군은 DC와는 달리 혈당 농도의 변화 추이가 NC와 유사하였으며, 특히 OF-5는 OF-2에 비해서도 혈당 강하 효과가 높았던 것으로 드러났다. 췌장 조직의 면역염색에 의하면, OF의 혈당강하 기작은 췌장 Langerhans' Islet의 ${\beta}$-세포를 생성시키고, ${\beta}$-세포의 사멸을 억제시켜 인슐린의 분비를 정상화시키는 것이었으며, 이러한 결과는 혈장 인슐린 함량의 증가로 재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OF는 I형 당뇨에서 현저한 혈당 강하 효과 및 Langerhans' Islet의 ${\beta}$-세포수를 회복시켜줌으로써 I형 당뇨의 치료에 효과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