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ell Polarity

검색결과 111건 처리시간 0.04초

IPS-LCD의 전압-투과율 히스테리시스법을 이용한 잔류 DC 전압 특성 (Residual DC Voltage Property in the In-plane Switching Cell Using the Voltage-transmittance Hysteresis Method)

  • 김향율;서대식;김재형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논문지
    • /
    • 제14권6호
    • /
    • pp.487-490
    • /
    • 2001
  • Residual DC voltage of the in-plane switching (IPS)-liquid crystal display(LCD) by voltage-transmittance (V-T) hysteresis method was studied. Several IPS-LCD which have different concentrations of cynao LCs and different resistivities of fluorine LCs were fabricated. We found that the residual DC voltage of the IPS-LCD was decreasing with increasing concentration of cyano LCs and increasing with decreasing specific resistivity of fluorine LC materials. The residual DC voltage property can be improved by low molecular weight and high polarity of cyano LC.

  • PDF

The Control of Electrostatic Characteristics in Toner Type Paper-like Display

  • Lee, S.G.;Kwon, S.H.;Cho, W.K.;Song, M.B.;Kim, Y.W.
    • 한국정보디스플레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디스플레이학회 2006년도 6th International Meeting on Information Display
    • /
    • pp.1158-1161
    • /
    • 2006
  • The toner type paper-like display (PLD) has been developed with two polymer particles having opposite polarity which is composed of polymer, colorant and external additives (nano-sized silica). Nano-sized silica with triboelectric charge was used for the charge control agent (CCA) and influenced on the electrostatic properties of the silica-coated polymer particles. The PLD cell using silica-coated particles (200 seconds) had shown a good white appearance and low driving voltage. The result could be explained in terms of the surface morphology and the cohesiveness depending on the silica coating time.

  • PDF

The Control of Electrostatic Characteristics in Toner Type Paper-like Display

  • Lee, Sung-Guk;Kwon, Soon-Hyung;Cho, Won-Ki;Song, Moon-Bong;Kim, Young-Woon
    • Journal of Information Display
    • /
    • 제8권1호
    • /
    • pp.14-17
    • /
    • 2007
  • The toner type paper-like display (PLD) has been developed with two polymer particles having opposite polarity composed of polymer, colorant and external additives (nano-sized silica). Nano-sized silica with triboelectric charge was used for the charge control agent (CCA) and influenced on the electrostatic properties of the silica-coated polymer particles. The surface morphology and the cohesiveness of silica-coated polymer particles were changed with the silica coating time. From these results, it was verified that the PLD cell using silica-coated particles (200 seconds) shows a good white appearance and low driving voltage.

근원세포 융합과 관련된 새로운 유전자의 확인 (A New Gene of Protein Related to Myoblast Fusion detected by Monoclonal antibidy)

  • 박수정;이영주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49-54
    • /
    • 1995
  • 본 연구자들은 근원세포를 면역시켜 얻은 hybidoma들을 검색하여. 계배 근원세포의 분화와 관련된 단백질을 인지하여 분화를 억제하는 대과가 있는 monoclonal antibody 3H35를 선별하여 그 항원을 확인한 바 있다(Kim et af.. (1992), Korean J. Zool 35 29-36) 본 연구에서는 λZAP에 cloning된 chicken muscle CDNA library들을 lacZ fusion protein으로 발현시켜 항체 3H35로 검색하여 그 유전자를 찾아내었다. 선별한 CDNA clone 중 C59의 삽입 절편은 1.6 kb이었고, 발현시킨 facE fusion protein 은 60 kDa로, f-galactosidase에 대한 항체에 반응하며 3H35와도 반응함을 immunoaffinitv adsorbant와 immunoblot으로 확인하였다 Clone C59의 삽입 절편의 염기서열을 분석한 결과, 실제 유전자는 1.6 kb 이상이며, 알려진 어느 다른 유전자와도 관련이 없는 새로운 근특이 유전자로 판단되었다. 아미노산으로 전환시켰을 때 31개의 특이한 서열이 7차례 반복된 부분이 나타났으며 이 서열의 23개가 일정하게 보존되어있고 나머지 서열의 아미노산의 polarity도 매우 유사하게 효존되어있다. 이들의 보존성이 극히 높은 것으로 보아 독특한 기능을 수행하는 domain으로 추정된다.

  • PDF

병렬연결을 이용한 계통연계형 태양광 전류형 인버터에 관한 연구 (A Study on Grid-connected Photovoltaic Current-Source Inverter using Parallel Connection)

  • 임정민;정의현;문채주;장영학;김의선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7년도 제38회 하계학술대회
    • /
    • pp.1222-1223
    • /
    • 2007
  • This paper suggests a 6-pulse-shift converter with PWM current-source inverter based on buck-boost configuration to improve the efficiency and to reduce the switching frequency of inverter for photovoltaic generation system, the device can be operated as interface system between solar module system and power system grid without energy storage cell. the circuit has six current-source buck-boost converter which operate chopper part has one full bridge inverter which make a decision the polarity of AC output. Therefore, the proposed PWM power inverter has advantages such as the reduction of witching loss and realization of unity power factor operation. the theoretical backgrounds are discussed and the input-output characteristics for the implemented prototype inverter using TMS320F2812 are verified experimentally in this paper.

  • PDF

The Golgi complex: a hub of the secretory pathway

  • Park, Kunyou;Ju, Sungeun;Kim, Nari;Park, Seung-Yeol
    • BMB Reports
    • /
    • 제54권5호
    • /
    • pp.246-252
    • /
    • 2021
  • The Golgi complex plays a central role in protein secretion by regulating cargo sorting and trafficking. As these processes are of functional importance to cell polarity, motility, growth, and division, there is considerable interest in achieving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Golgi complex biology. However, the unique stack structure of this organelle has been a major hurdle to our understanding of how proteins are secreted through the Golgi apparatus. Herein, we summarize available relevant research to gain an understanding of protein secretion via the Golgi complex. This includes the molecular mechanisms of intra-Golgi trafficking and cargo export in the trans-Golgi network. Moreover, we review recent insights on signaling pathways regulated by the Golgi complex and their physiological significance.

Real-time Imaging of Inositol 1,4,5-trisphosphate Movement in Mouse Salivary Gland Cells

  • Hong, Jeong-Hee;Lee, Syng-Ill;Shin, Dong-Min
    • International Journal of Oral Biology
    • /
    • 제33권4호
    • /
    • pp.125-129
    • /
    • 2008
  • Inositol 1,4,5-trisphosphate ($IP_3$)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release of $Ca^{2+}$ from intracellular stores into the cytoplasm in a variety of cell types. $IP_3$ translocation dynamics have been studied in response to many types of cell signals. However, the dynamics of cytosolic $IP_3$ in salivary acinar cells are unclear. A green fluorescent protein (GFP)-tagged pleckstrin homology domain (PHD) was constructed and introduced into a phospholipase C ${\delta}1$ (PLC ${\delta}1$) transgenic mouse, and then the salivary acinar cells were isolated. GFP-PHD was heterogeneously localized at the plasma membrane and intracellular organelles in submandibular gland and parotid gland cells. Application of trypsin, a G protein-coupled receptor activator, to the two types of cells caused an increase in GFP fluorescence in the cell cytoplasm. The observed time course of trypsin-evoked $IP_3$ movement in acinar cells was independent of cell polarity, and the fluorescent label showed an immediate increase throughout the cells. These results suggest that GFP-PHD in many tissues of transgenic mice, including non-cultured primary cells, can be used as a model for examination of $IP_3$ intracellular dynamics.

직접 메탄올 연료전지용 산화극 제조 변수가 성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he Variables in the Fabrication of Anode on the Performance of DMFC)

  • 김준희;하흥용;오인환;홍성안;이호인
    • 전기화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18-22
    • /
    • 2003
  • 직접 메탄을 연료전지(DMFC)의 산화극 제조 변수들에 따른 단위전지의 성능변화 관찰 및 특성분석을 수행하였다. 촉매층에서의 이온 전도도에 영향을 주는 이오노머의 양과, 이오노머와 촉매의 결합구조를 결정하는 촉매 슬러리의 용매를 변수로 하였다 전체 이오노머의 비가 0.6일 때 최고 성능을 보였으며 분극 저항도 가장 작게 나타났다. 전기화학적 활성면적도 이오노머가 늘어날수록 증가하였다. 극성이 작은 용매일수록 이오노머가 잘 용해되지 않아 촉매 응집체의 크기가 커졌다 기존의 물이나 알코올 종류의 용매들에 비해 극성이 낮은 DPK $(\varepsilon=12.60)$를 사용하여 제조한 전극이 가장 높은 성능을 보였으며 낮은 분극 저항 값을 가졌다.

인삼의 종간잡종 Panax ginseng x P Quinquefoilium의 발생학적 연구 특히 결실불능의 원인에 관하여 (The embryological studies on the interspecific hybrid of ginseng plant (Panax ginseng x P. Quiuquefolium) with special references to the seed abortion)

  • 황종규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69-86
    • /
    • 1969
  • 인삼식물의 종간교잡에 있어서 일대잡종식물은 양친에 대하여 약 1.6~3.0배의 강제를 나타내지만 심한 불임현상으로 거의 잡종 제삼세대를 얻을수 없었다는 점에서 그 원인을 밝히고저 고려인삼${\times}$인 미국인삼의 잡종에 대한 발생학적조사관찰을 하였던 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잡종인삼의 영양생장은 양친과 같이 정상적이며 강세를 나타내나 생식생장에서는 심한 조해를 받는다. 2. 생식기관형성에 있어서도 감수분열기 이전까지는 제조직의 발생은 거의 정상적으로 진행된다. 3. 대포자모세포나 소포자모세포의 감수분 장과정은 심한 불규칙성을 나타내며 어떠한 것은 분열직전부터 퇴화되기 시작한다. 4. 소포자모세포의 핵분열에 있어서 제1분열 중기 또는 후기에 일가염색체 또는 염색체교 등이 출현하는 이상분열상을 관찰할 수 있었으나 감수분열이 끝난 것은 역시 사분자가 대부분이고 이분자나 사분자 이상의 소포자형성은 볼 수 없었다. 5. 소포자형성 또는 화분형성과정에 있어서 한 약내에서 여러 단계의 발육상을 볼 수 있었다. 6. 거대, 미소, 공허화분은 극히 적었다.(Fig. 23). 7. 대포자모세포기 이후 배주의 발육속도는 전반적으로 지연된다. 8. 감수분열을 마친 후 대포자는 오분자를 형성하는 것도 있다.(Fig. 5). 9. 대개는 합점측의 대포자가 활성화하는데 중간에 위치하는 것이 활성대포자인 것도 불 수 있다.(Fig. 6). 10. 배주의 퇴화는 대포자모세포기부터 팔핵배낭기까지 사이에 일어나는데 그 시작 시기는 개체마다 조만이 있으며 각양각색이다. 11.0 대포자의 배열은 양친에서는 선장, 중간형인데 F1에서는 선장, 중간형, T형, ㅗ형 등 여러 가지 형을 볼 수 있다.(Fig. 5, 7). 12. 배주에 있어서 감수분열이나 배낭핵분열 또는 배낭형성에 불규칙성에 심할수록 합점기부에 잔재하는 배심조직이 크다(Fig. 8, 10). 13. 배낭형성기까지 도달한 것이라 하더라도 배낭핵은 항시 불안정하여 정해진 장소에 배치되지 못한다.(Fig. 10, 11, 12). 14. 배유조직을 결한 배낭내에 선장의 4세포원배를 형성한 것을 볼 수 있었다.(Fig. 20) 15. 인삼의 잡종에 있어서의 불임원인을 다음과 같이 추정하였다. a) 잡종의 불임현상은 교잡에 의한 Gene-action system의 재조합으로 생체대사계에 혼란을 일으켜 배우자형성세포와 위요세포간의 우열관계가 전도되여 성적결함을 가져오는데 있다고 보았다. 즉 정상배낭에서는 배우자형성세포는 그것을 둘러싸고 있는 위요세포보다 크고 농염되며 활성적이어서 위요세포를 소화흡수하여 발육케 된다. 그러나 퇴화배낭에서는 재조합으로 인한 세포질의 변화는 극성 (Polarity) 또는 내생리듬 (Endogneousrhythm)의 변화 혹은 교란을 가져와 발육과정에서 성적결함을 일으켜 불임으로 된다고 추정하였다.

  • PDF

병풀의 초음파 추출 시 용매에 따른 면역활성 증진 효과 (Immuno-Regulatory Effect on Centella asiatica L. Urban Extraction Solvent Associated with Ultrasonification Process)

  • 권민철;한재건;하지혜;오성호;김 영;정향숙;최근표;황백;이현용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6권5호
    • /
    • pp.294-300
    • /
    • 2008
  • 본 연구는 병풀의 초음파 추출 시 용매에 따른 면역활성 증진 효과를 탐색하고자 수행되었다, 각 추출공정의 수율 비교에서 초음파 공정을 병행한 $60^{\circ}C$ 에탄올 추출이 일반 $100^{\circ}C$ 물 추출에 비해 15% 높은 수율을 나타냈으며, 에탄올을 용매로 한 추출이 동일한 조건의 물 추출에 비해 모두 높은 수율을 나타냈다. 이는 용매의 극성과 용출되는 병풀 내 성분의 극성에 기인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인간 정상 섬유아세포인 CCD-986sk를 이용한 세포독성 측정을 통해 모든 병풀 추출물이 32% 이하의 세포독성을 나타냈다. 인간 면역 B, T세포의 생육도 측정에서 초음파를 병행한 $60^{\circ}C$ 에탄올 추출물이 무첨가 대조구에 비해 10%의 증진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면역세포의 cytokine 분비량 측정에서도 IL-6, TNF-$\alpha$의 분비를 각각 $4.86\;{\times}\;10^{-4}\;pg/cell$$5.73\;{\times}\;10^{-4}\;pg/cell$로 나타내 증진 효과를 나타냈다. 또한, 초음파 병행 에탄올 시료를 첨가한 면역 T세포의 분비물에 의한 NK 세포 활성에서도 10%의 생육증진효과를 나타내었다. 이를 통해 병풀의 에탄올 추출물이 면역 활성을 가지고 있으며 초음파 공정을 통해 활성의 증진이 나타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는 에탄올 용매를 통해 병풀 유용성분의 용출이 증진되고, 초음파 공정을 통해 병풀 유용 성분의 수율 향상 및 유용성분의 변화, 신규물질 용출 등이 일어나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