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el

검색결과 217건 처리시간 0.032초

Solid Matrix Priming 처리가 고추종자의 발아에 미치는 영향 II. 적정 carrier 선발 (Effect of Solid Matrix Priming on Peppers Seeds(Capsicum annuum L.) Germinability II. Optimal Carrier Selection)

  • 이정화;김도한
    • 농업생명과학연구
    • /
    • 제43권5호
    • /
    • pp.9-15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국내 주요 고추 12품종의 종자 처리시 적정 SMP carrier 선발을 하고자 하였다. SMP carrier 중 탄산칼슘은 carrier와 수분의 배율이 증가할수록 낮은 발아율을 보이거나, 처리 중 유근이 돌출되어 실용성이 낮은 carrier로 판단되었다. Micro-cel E는 수분의 배율이 증가할수록 $T_{50}$이 단축되는 경향을 보였으나, 왕 품종의 경우 처리 중 유근이 돌출되어 차후 대량의 종자처리방법으로 적합하지 못한 결과를 나타냈다. 규조토의 처리는 수분의 배율을 1.5배 처리한 조양과 향촌품종이 처리 중 유근이 돌출되는 현상이 발생되기도 하였으나, 수분의 배율이 증가할수록 $T_{50}$과 MDG가 단축되었다. 왕 품종의 경우 규조토로 1.0, 1.5배 처리는 $T_{50}$이 0.99일과 0.89일로, Micro-cel E의 5.0, 7.0배의 1.59, 0.94일 보다 0.60일, 0.05일 단축되는 경향이었다. 따라서 고추 품종에 적용 가능한 carrier는 Micro-cel E와 대등한 성능을 갖는 규조토로 판단되며, 수분 배율은 1.0배 처리가 적절할 것으로 사료된다.

알콜류가 Bacterial Cellulose의 생산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lcohols on the Production of Bacterial Cellulose)

  • 정재용;박연희;박중곤
    • KSBB Journal
    • /
    • 제18권2호
    • /
    • pp.127-132
    • /
    • 2003
  • Alcohol류를 배양액 속에 첨가하면 배양 중에 생성되는 BC가 엉기는 현상이 나타났다. 생성된 BC의 엉김은 생산배지로부터의 cellulose의 분리회수를 손쉽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 중에서 ethanol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BC의 생산성과 미생물의 성장속도가 증가하였다. Ethanol 이외의 alcohol류는 BC의 엉김현상에는 효과가 있었으나 그 독성으로 인하여 미생물의 성장과 BC의 생산성을 감소시켰다. Ethanol과 다른 alcohol 모두 BC의 엉김효과는 있으나 ethanol만 진탕배양에서 $\textrm{Cel}^{-}$균주의 출현 방지에 효과가 있었다.

배지조성이 Gluconacetobacter hansenii PJK의 Bacterial Cellulose 생산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Medium Composition on the Bacterial Cellulose Production by Gluconacetobacter hansenii PJK)

  • 정재용;박연희;박중곤
    • KSBB Journal
    • /
    • 제18권2호
    • /
    • pp.94-99
    • /
    • 2003
  • Gluconacetobacter hansenii PJK의 경우 배지 조성 중 탄소원보다는 질소원 및 acetic acid가 BC 생산에 더 많은 영향을 미쳤다. 또한 BC 생산능은 pH 4.1-6.0 범위에서 배지의 초기 pH 영향을 거의 받지 않았으며 BC에 둘러싸인 균주보다 배양 상등액에 존재하는 균주의 BC 생산능이 더 우수하였다. G. hansenii PJK의 BC 생산은 fructose metabolism이 아닌 glucose metabolism으로 이루어지며 배지 성분 중 fructose와 lactate는 Cel$^{-}$ mutant의 발생 및 성장을 촉진시켰으며 TCA cycle에 위치하는 succinate의 첨가는 BC 생산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맥주발효 폐액을 이용한 미생물 셀룰로오스 생산 (Production of Bacterial Cellulose Using Waste of Beer Fermentation Broth)

  • 박중곤;현승훈;안원술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44권1호
    • /
    • pp.52-57
    • /
    • 2006
  • 에탄올과 함께 탄소, 질소원을 함유한 맥주 폐 발효액을 저렴한 대체배지로 사용하고 Gluconacetobacter hansenii PJK(KCTC 10505 BP) 균주를 이용하여 미생물셀룰로오스를 생산하였다. 맥주 폐 발효액은 기본배지보다도 탄소원과 질소원이 풍부하였으며 미량의 황과 4% 이상의 에탄올을 함유하였다. 진탕배양에서 맥주 폐 발효액을 사용하여 생산된 셀룰로오스량은 기본배지를 사용하여 생산된 셀룰로오스량과 필적하였다. 교반배양에서는 셀룰로오스 생산균주($Cel^+$ 균주)가 셀룰로오스를 생산하지 못하는 균주($Cel^-$ 돌연변이주)로 전환되는 률은 낮았지만 셀룰로오스 생산량은 감소하였다.

Bacillus licheniformis WL-12의 cellulase 유전자 클로닝과 발현 (Cloning and Expression of A Bacillus licheniformis Cellulase Gene)

  • 윤기홍
    • 미생물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313-318
    • /
    • 2006
  • 가정에서 제조된 된장으로부터 cellulase 생산균으로 분리된 고온성 WL-12는 형태적 특성, 생화학적 성질 및 16S rRNA의 염기서열에 근거하여 Bacillus licheniformis로 동정되었다. B. licheniformis WL-12의 cellulase 유전자를 클로닝하여 그 염기서열을 결정한 결과 cellulase 유전자(celA)는 517 아미노산으로 구성된 단백질을 코드하며 1,551 뉴클레오티드로 이루어졌다. 아미노산 잔기배열을 분석한 결과 WL-12의 cellulase는 활성영역과 cellulose 결합영역으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glycosyl hydrolase (GH) family 5에 속하는 B. licheniformis, B. subtilis와 B. amyloliquefaciens의 cellulase와 높은 상동성을 보였다. 클론된 celA를 발현용 vector에 도입하여 B. subtilis에서 발현시켜 cellulase 최대생산성이 7.0 units/ml에 이르렀다.

Algorithms for Classifying the Results at the Baccalaureate Exam-Comparative Analysis of Performances

  • Marcu, Daniela;Danubianu, Mirela;Barila, Adina;Simionescu, Corina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
    • 제21권8호
    • /
    • pp.35-42
    • /
    • 2021
  • In the current context of digitalization of education, the use of modern methods and techniques of data analysis and processing in order to improve students' school results has a very important role. In our paper, we aimed to perform a comparative study of the classification performances of AdaBoost, SVM, Naive Bayes, Neural Network and kNN algorithms to classify the results obtained at the Baccalaureate by students from a college in Suceava, during 2012-2019. To evaluate the results we used the metrics: AUC, CA, F1, Precision and Recall. The AdaBoost algorithm achieves incredible performance for classifying the results into two categories: promoted / rejected. Next in terms of performance is Naive Bayes with a score of 0.999 for the AUC metric. The Neural Network and kNN algorithms obtain scores of 0.998 and 0.996 for AUC, respectively. SVM shows poorer performance with the score 0.987 for AUC. With the help of the HeatMap and DataTable visualization tools we identified possible correlations between classification results and some characteristics of data.

Bacterial Cell Surface Display of a Multifunctional Cellulolytic Enzyme Screened from a Bovine Rumen Metagenomic Resource

  • Ko, Kyong-Cheol;Lee, Binna;Cheong, Dae-Eun;Han, Yunjon;Choi, Jong Hyun;Song, Jae Ju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5권11호
    • /
    • pp.1835-1841
    • /
    • 2015
  • A cell surface display system for heterologous expression of the multifunctional cellulase, CelEx-BR12, in Escherichia coli was developed using truncated E. coli outer membrane protein C (OmpC) as an anchor motif. Cell surface expression of CelEx-BR12 cellulase in E. coli harboring OmpC-fused CelEx-BR12, designated MC4100 (pTOCBR12), was confirmed by fluorescence-activated cell sorting and analysis of outer membrane fractions by western blotting, which verified the expected molecular mass of OmpC-fused CelEx-BR12 (~72 kDa). Functional evidence for exocellulase activity was provided by enzymatic assays of whole cells and outer membrane protein fractions from E. coli MC4100 (pTOCBR12). The stability of E. coli MC4100 (pTOCBR12) cellulase activity was tested by carrying out repeated reaction cycles, which demonstrated the reusability of recombinant cells. Finally, we showed that recombinant E. coli cells displaying the CelEx-BR12 enzyme on the cell surface were capable of growth using carboxymethyl cellulose as the sole carbon source.

Effect of Dietary Structural to Nonstructural Carbohydrate Ratio on Rumen Degradability and Digestibility of Fiber Fractions of Wheat Straw in Sheep

  • Tan, Z.-L.;Lu, D.-X.;Hu, M.;Niu, W.-Y.;Han, C.-Y.;Ren, X.-P.;Na, R.;Lin, S.-L.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5권11호
    • /
    • pp.1591-1598
    • /
    • 2002
  • The effect of different dietary structural carbohydrate (SC) to nonstructural carbohydrate (NSC) ratios on fiber degradation, digestion, flow, apparent digestibility and rumen fluid characteristics was studied with a design using 18 wethers fitted with permanent rumen and duodenum cannulae. All sheep were divided into six groups randomly, receiving six diets with varying SC to NSC ratios. All diets contained the same proportion of wheat straw and concentrate. The dietary SC to NSC ratios were adjusted by adding cornstarch to the concentrate supplements. The duodenal and fecal flows of dry matter (DM), neutral detergent fiber (NDF), acid detergent fiber (ADF), hemicellulose (HC) and cellulose (CEL) were estimated using chromium-mordanted wheat straw as a flow marker. The degradation parameters of wheat straw DM, NDF, ADF, HC and CEL were determined by incubating the ground wheat straw in nylon bags in the rumen for different periods of time. There was no effect (p>0.05) of the different dietary SC to NSC ratios on rumen pH or $NH_3$-N, but acetate, propionate and butyrate concentrations were significantly affected (p<0.05 or p<0.01) by dietary SC to NSC ratios in the rumen fluid. When the dietary SC to NSC ratio was 2.86, the highest rumen degradability of wheat straw DM, NDF, ADF and CEL was found, but the highest apparent rumen digestibilities of DM, NDF, ADF, HC and CEL occurred at a 2.64 SC to NSC ratio. However, because of compensatory digestion in the hindgut, the apparent digestibilities of DM, NDF, ADF, HC and CEL were highest when the dietary SC to NSC ratio was 2.40. In conclusion, there is a optimal range of dietary SC to NSC ratios (between 2.86 and 2.40) that is beneficial to maximize wheat straw fiber degradation and apparent digestibility.

항타시공성을 고려한 대구경 항타강관말뚝의 폐색효과 분석(CEL해석) (Analysis of Plugging Effect for Large Diameter Steel Pipe Piles Considering Driveability (CEL Method))

  • 정상섬;송수민;고준영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33권12호
    • /
    • pp.21-33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항타시공성(BPM, blow per meter)을 고려하여 대구경 항타강관말뚝을 시공하였을 때 발생하는 폐색효과를 분석하였다. Coupled Eulerian-Lagrangian(CEL)해석 시 적용된 항타에너지는 파동방정식을 이용하여 산정하였고, CEL 대변형 3차원 유한요소 해석을 수행하여 말뚝 항타시공 과정을 모사하였다. 본 연구 결과, 말뚝 직경이 증가함에 따라 목표 깊이까지 소요되는 항타에너지는 증가(일정한 BPM인 경우에 해당함) 하였으며, 그 결과 soil plugging index(SPI)는 서로 유사하게 나타나지만 폐색효과는 감소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말뚝의 근입 깊이가 증가할수록 SPI는 서로 유사한 값을 나타냈으나 관내토에서 발생하는 수평토압이 증가하게 되어 폐색효과는 오히려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 폐색효과의 대표적 영향인자인 말뚝 직경, 말뚝 근입 깊이, 지반 탄성계수, BPM에 따른 관내토의 수평토압계수 분포 경향을 제안하였다.

섬유소분해효소유전자 (CelD)가 도입된 형질전환돼지의 섬유소 소화율 분석

  • 박진기;이연근;이현기;이풍연;최영진;김정호;김유경;김진회;장원경
    • 한국동물번식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동물번식학회 2002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발표논문초록집
    • /
    • pp.61-61
    • /
    • 2002
  • 비 반추동물 특히 돼지의 경우 섬유소 소화율이 극히 낮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섬유소분해효소유전자 (CelD) 를 췌장특이 프로모터인 rat Elastase Ⅰ 하류에 연결하여 구축된 벡터를 수정란내 미세주입한 후 생산된 형질전환 돼지를 이용하여 섬유소 소화능력을 측정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먼저 35두의 수란돈으로 부터 65 두의 산자를 생산하였으며, PCR 분석 결과 4두가 형질전환돼지로 판명되었으며 이중 3두가 죽고, 생존한 l두를 다시 southern blot 분석결과 형질 전환된 것으로 판단하여 같은 복의 6두와 함께 섬유소 소화율을 측정하기 위하여 분리사육을 실시하였다. (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