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dk5

검색결과 103건 처리시간 0.024초

니코틴이 치은섬유아세포의 세포주기 조절 단백질 발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Nicotine on the Expression of Cell Cycle Regulatory Proteins of Human Gingival Fibroblasts)

  • 김탁;김재호;피성희;김은철;유용욱;유형근;신형식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31권3호
    • /
    • pp.597-610
    • /
    • 2001
  • Normal gingival fibroblasts functioning is fundamental for the maintenance of periodontal connective tissue as well as wound healing. Nicotine have been found to affect DNA synthesis and cell proliferation, which appear to depend on the type of cells. This in vitro study was done to determine the effects of nicotine, a major component of tobacco, on cell proliferation, viability, activity, cell cycle distribution, and expression of cell cycle regulatory proteins in human gingival fibroblasts. Nicotine has been tested for 2 days or 4 days in 5 different concentrations; $0.1{\mu}g/ml$; $1{\mu}g/ml$; $10{\mu}g/ml$; $100{\mu}g/ml$; $1000{\mu}g/ml$. To assess cell proliferation and viability, viable and non-viable cells were counted by hemocytometer; to evaluate cellular activity, MTT assay was employed; to analyze cell cycle distribution, fluorescent propidium iodide-DNA complex were measured using fluorocytometer; to determine the expression of cell cycle regulatory proteins, western blot analysis was performed. After 2 days and 4 days incubation respectively, at concentrations of $1{\mu}g/ml$ - $1000{\mu}g/ml$, nicotine significantly inhibited proliferation comparing to non-supplemented controls. The cell viability was significantly decreased after 2 days and 4 days at concentrations of $1{\mu}g/ml$ - $1000{\mu}g/ml$ and at $10{\mu}g/ml$ - $1000{\mu}g/ml$ respectively. After 2 days and 4 days, the cellular activity was significantly decreased at concentrations of $10{\mu}g/ml$ - $1000{\mu}g/ml$. Treatment with $100{\mu}g/ml$ nicotine for 48 hours caused an increase in the proportion of G1-phase cells (from 46.41% to 53.46%) and a decrease in the proportion of S-phase cells (from 17.80% to 14.27%). The levels of cyclin $D_1$ and CDK 4 proteins in nicotine-treated fibroblasts were lower than that of controls, whereas the levels of p16 and pRB were higher than that of control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decrease of cell proliferation and lengthened Gap phases (G1) by nicotine may due to the increased expression of p16 and pRB as well as decreased expression of cyclin $D_1$ and CDK 4 in human gingival fibroblasts.

  • PDF

Effects of intrauterine growth restriction during late pregnancy on the cell growth, proliferation, and differentiation in ovine fetal thymuses

  • Zi, Yang;Ma, Chi;He, Shan;Yang, Huan;Zhang, Min;Gao, Feng;Liu, Yingchun
    • Animal Bioscience
    • /
    • 제35권7호
    • /
    • pp.989-998
    • /
    • 2022
  • Objectiv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intrauterine growth restriction (IUGR) during late pregnancy on the cell growth, proliferation, and differentiation in ovine fetal thymuses. Methods: Eighteen time-mated Mongolian ewes with singleton fetuses were allocated to three groups at d 90 of pregnancy: restricted group 1 (RG1, 0.18 MJ ME/body weight [BW]0.75/d, n = 6), restricted group 2 (RG2, 0.33 MJ ME/BW0.75/d, n = 6) and control group (CG, ad libitum, 0.67 MJ ME/BW0.75/d, n = 6). Fetuses were recovered at slaughter on d 140. Results: The G0/G1 phase cell number in fetal thymus of the RG1 group was increased but the proliferation index and the expression of proliferating cell nuclear antigen (PCNA) were reduced compared with the CG group (p<0.05). Fetuses in the RG1 group exhibited decreased growth hormone receptor (GHR), insulin-like growth factor 2 receptor (IGF-2R), and their mRNA expressions (p<0.05). For the RG2 fetuses,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the proliferation index and PCNA expression (p>0.05), but growth hormone (GH) and the mRNA expression of GHR were lower than those of the CG group (p<0.05). The thymic mRNA expressions of cyclin-dependent protein kinases (CDKs including CDK1, CDK2, and CDK4), CCNE, E2-factors (E2F1, E2F2, and E2F5) were reduced in the RG1 and RG2 groups (p<0.05), and decreased mRNA expressions of E2F4, CCNA, CCNB, and CCND were occurred in the RG1 fetuses (p<0.05). The decreased E-cadherin (E-cad) as a marker for epithelial-mesenchymal transition (EMT) was found in the RG1 and RG2 groups (p<0.05), but the OB-cadherin which is a marker for activated fibroblasts was increased in fetal thymus of the RG1 group (p<0.05). Conclusion: These results indicate that weakened GH/IGF signaling system repressed the cell cycle progression in G0/G1 phase in IUGR fetal thymus, but the switch from reduced E-cad to increased OB-cadherin suggests that transdifferentiation process of EMT associated with fibrogenesis was strengthened. The impaired cell growth, retarded proliferation and modified differentiation were responsible for impaired maturation of IUGR fetal thymus.

감마선 조사에 의한 발생과정 중인 마우스의 소뇌발달에 관한 연구 (The study for the mouse cerebellum developments irradiated with γ-ray during embryogenesis)

  • 박일권;이경열;박오성;김성화;이근좌;이강이;민태선;육홍선;변명우;김무강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45권2호
    • /
    • pp.139-149
    • /
    • 2005
  • In order to study about the lobule and layer formation and cell migration of the mouse cerebellum from at the birth to 15th day effected by 2.5, 5 and 10 Gy r-raddiation at the 19th pregnancy. The routine tissue preparation and staining procedure,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method by the several antibody and western brotting method were utilized from the birth to the15th day. The results were as followings. 1. The body and cerebellum weights were more slowly increase of the the 2.5 Gy, 5 Gy and 10 Gy irradiation group compare to the control group, and the health condition of the 2.5 Gy group was a little bad. but the 10 Gy group was more severe and begun to die from the 12th day after birth. 2. The thickness, proliferation and migration of the 2.5, 5 and 10 Gy irradiated external granular cells from the maginal zone to the medullary area forming the molecular layer from the 6th day to the 15th day after birth were thinner, weaker and more slower according to the radiated dosages than the control group in the cresyl violet staining. 3. The proliteration, migration and lobulation of the 5 Gy radiated groups from the first day to the 15th day after birth were more weak, incomplete and irregular shape in the immunostaining with Dab, Cdk5, P35, calbindin and Zebrin antibody. 4. In the western blotting analysis using the Reelin, Dab, Cdk5 and P35 antibody. The Bands were in the 60 KD, 80 KD, 33 KD and 35 KD, and there were no differences between the control and irradiated groups in the molecular band except the Reelin. 5. As a results, the proliferation and migration of the outer granular and purkinje cells, and lobulation of the cerebellum by the several dosaege of the ${\gamma}$-ray radiation were proportionally incomplete according to dosage.

Glehnia littoralis Root Extract Induces G0/G1 Phase Cell Cycle Arrest in the MCF-7 Human Breast Cancer Cell Line

  • de la Cruz, Joseph Flores;Vergara, Emil Joseph Sanvictores;Cho, Yura;Hong, Hee Ok;Oyungerel, Baatartsogt;Hwang, Seong Gu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6권18호
    • /
    • pp.8113-8117
    • /
    • 2016
  • Glehnia littoralis (GL) is widely used as an oriental medicine for cough, fever, stroke and other disease conditions. However, the anti-cancer properties of GL on MCF-7 human breast cancer cells have not been investigated. In order to elucidate anti-cancer properties and underlying cell death mechanisms, MCF-7cells ($5{\times}10^4/well$) were treated with Glehnia littoralis root extract at 0-400 ug/ml. A hot water extract of GL root inhibited the proliferation of MCF-7 cells in a dose-dependent manner. Analysis of the cell cycle after treatment of MCF-7 cells with increasing concentrations of GL root extract for 24 hours showed significant cell cycle arrest in the G1 phase. RT-PCR and Western blot analysis both revealed that GL root extract significantly increased the expression of p21 and p27 with an accompanying decrease in both CDK4 and cyclin D1. Our reuslts indicated that GL root extract arrested the proliferation of MCF-7 cells in G1 phase through inhibition of CDK4 and cyclin D1 via increased induction of p21 and p27. In summary, the current study showed that GL could serve as a potential source of chemotherapeutic or chemopreventative agents against human breast cancer.

인체 전립선 암세포에서 참나무 목초액에 의한 세포주기 S기 arrest 유발에 관한 연구 (Induction of S phase Arrest of the Cell Cycle by Oak Smoke Flavoring (Holyessing) in Human Prostate Carcinoma Cells)

  • 박철;이원호;최병태;김경철;이용태;최영현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17권5호
    • /
    • pp.1309-1314
    • /
    • 2003
  • We examined the effects of Oak Smoke Flavoring (OSF, Holyessing) on the cell proliferation of DU145 and PC3 human prostate carcinoma cell line. OSF treatment resulted in a concentration-dependent inhibition of the cell viability in both DU145 and PC3 cell lines. The anti-proliferative effects by OSF treatment in DU145 and PC3 cells were associated with morphological changes such as membrane shrinking and cell rounding up. DNA flow cytometric histograms showed that population of S phase of the cell cycle was increased by OSF treatment in a dose-dependent manner. Western blot analysis revealed that cyclin B1 and cdc2 proteins were reduced by OSF treatment in DU145 cells, whereas cyclin A was markedly inhibited in PC3 cells. Furthermore, we observed an increase of Cdk inhibitor p16 and p27 protein, and an inhibition of phosphorylation of pRB by OSF treatment in a dose-dependent manner. The present results indicated that OSF-induced inhibition of human prostate carcinoma cell proliferation is associated with the blockage of S phase progression.

신경교 세포에서 resveratrol이 amyloid-β에 의해 유도되는 Cdk inhibitor p21 및 Bax 발현의 감소 효과 (Effect of Resveratrol on the Induction of Cdk Inhibitor p21 and Pro-apoptotic Bax Expression by amyloid-β in Astroglioma C6 Cells)

  • 김영애;임선영;고우신;최병태;이용태;이숙희;박건영;이원호;최영현
    • 생명과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69-175
    • /
    • 2005
  • Resveratrol (3,4',5-trihydroxy-trans-stilbene)은 포도와 같은 식물에서 각종 감염균으로부터 자신의 몸을 보호하기 위하여 생성되는 물질인 phytoalexin의 일종으로 강력한 항산화작용, 암예방 효과 및 항암 작용을 포함한 각종 약리작용을 가진 것으로 보고 되어져 오고 있다. Alzheimer 환자의 뇌에 축적되어 뇌 신경세포를 죽이는 amyloid plaque의 주 성분은 $amyloid-\beta$의 축적에 의한 것인데, $amyloid-\beta$는 정상적인 단백질 신진대사 과정의 결과로 체내 모든 세포들로부터 생성되는 물질이다. 본 연구에서는 resveratrol의 세포독성 보호효과에 관한 효능을 검증하기 위하여 C6 신경교세포에서 $amyloid-\beta-peptide$ (fragment 31-35)에 의한 세포독성 및 세포성장 조절관련 주요 유전자들의 발현에 미치는 resveratrol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Amyloid-\beta$가 처리된 C6세포는 처리 농도의존적으로 증식이 억제되었으며, 형태적 변형도 유발 되었으나 resveratrol의 전처리에 의하여 효과적으로 차단되었다. RT-PCR 및 Western blot analysis에 의한 결과에서 $amyloid-\beta$ 처리에 의한 세포증식 억제는 종양억제유전자 p53 및 Cdk 억제제인 p21 (WAF1/CIP1) 발현이 증가되었다. 또한 apoptosis 유발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Bax의 발현도 $amyloid-\beta$가 처리된 C6 세포에서 발현이 증가되었으나 apoptosis 유발억제에 관여하는 Bcl-2및 $Bcl-X_{L}$ 발현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그러나 resveratrol이 전처리된 세포에서는 처리 농도 의존적으로 $amyloid-\beta$에 의해 유도되는 p53, p21 및 Bax의 발현이 정상수준으로 회복되었다.

인간치은섬유아세포의 다양한 세포행동 관련 유전자발현에 마이크로그루브-파이브로넥틴 복합 티타늄표면이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 of microgroove-fibronectin complex titanium plate on the expression of various cell behavior-related genes in human gingival fibroblasts)

  • 황유정;이원중;이성복;이석원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38권3호
    • /
    • pp.150-161
    • /
    • 2022
  • 목적:인간 치은섬유아세포의 세포활동에 관련된 다양한 유전자들의 발현에 마이크로그루브-파이브로넥틴 복합 표면이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 재료 및 방법: 평활한 티타늄시편(NE0), 산처리만 시행한 티타늄시편(E0), 마이크로그루브 및 산처리된 티타늄시편(E60/10), 파이브로넥틴을 고정시킨 평활한 티타늄시편(NE0FN), 산처리 및 파이브로넥틴을 고정시킨 티타늄시편(E0FN), 그리고 마이크로그루브 및 산처리 후 파이브로넥틴을 고정시킨 티타늄시편(E60/10FN) 실험군 제작 후 인간 치은섬유아세포의 세포행동 관련 44개 유전자에 대한 실시간 중합효소연쇄반응 실험을 진행하였다. 결과: 인간치은섬유아세포 부착과 증식 등에 관여하는 4종류 신호전달 경로가 활성화되었다. Focal adhesion 경로에 속하는 Integrin α5, Integrin β1, Integrin β3, Talin-2 유전자들, PI3K-AKT 신호 전달 경로에 속하는 AKT1, AKT2, NF-κB 유전자들, MAPK 신호전달 경로에 속하는 MEK2, ERK1, ERK2 유전자들, 세포주기 신호 전달 경로에 속하는 cyclin D1, CDK4, CDK6 유전자들이 마이크로그루브-파이브로넥틴 복합 티타늄표면(E60/10FN)에서 상향조절되었다. 결론: 마이크로그루브-파이브로넥틴 복합 티타늄표면이 세포행동에 관여하는 다양한 유전자들을 상향조절할 수 있다.

인체혈구암세포 U937의 D-Ala2-Leu5-enkephalin처리에 의한 세포 주기 억제 효과 (Cell Cycle Arrest by Treatment of D-Ala2-Leu5-enkephalin in Human Leukemia Cancer U937 Cell.)

  • 이준혁;최우영;최영현;최병태
    • 생명과학회지
    • /
    • 제19권5호
    • /
    • pp.620-624
    • /
    • 2009
  • 동면 개시인자로 알려진 DADLE는 여러 연구에 의해 in vivo와 in vitro 상에서 유사 동면 상태를 야기한다. 본 연구는 인체혈구암세포인 U937 세포주의 세포 사멸과 세포 주기 둥에 대한 DADLE의 영향을 살펴보았다. DADLE가 처리된 U937세포는 8${\sim}6$10 ${\mu}$M의 높은 농도에서 세포 증식이 감소하였으며, 0${\sim}6$ ${\mu}$M의 낮은 농도에서 영향이 없었다. DNA flow cytometer를 이용하여 세포 주기를 분석해본 결과 DADLE에 의한 세포 주기 억제가 관찰되었다. DADLE처리에 따른 세포 증식률 감소 및 세포 주기 억제효과를 전사 수준에서 조사한 결과 Bcl-XL, c-IAP-2의 발현 및 survivin의 발현 감소가 관찰되었으며, COX-2의 발현 역시 COX-1의 변화 없이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cyclin E 와 cdk-2, -4 그리고 -6의 발현 역시 감소하는 것을 관찰하였다. Telomere 조절 관련 유전자의 경우도 c-myc과 TERT의 감소, 그리고 TEP-1가 증가하는 현상을 관찰하였다. 이상의 결과는 DADLE를 U937 암세포주에 처리했을 때 세포 주기의 억제를 통하여 life-time을 증가시킬 가능성을 시사하며 이에 관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두경부 편평상피세포암 세포주에서 세포주기조절인자의 활성 및 이상 : 후두편평상피세포암에서 종양억제유전자 CDKN2 유전자의 발현이상 (Activation and Abnormalities of Cell Cycle Regulating Factor in Head and Neck Squamous Cell Carcinoma Cell Lines: Abnormal Expression of CDKN2 Gene in Laryngeal Squamous Cell Carcinoma)

  • 송시연;한태희;배창훈;김용대;송계원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22권2호
    • /
    • pp.166-182
    • /
    • 2005
  • 정상인의 말초혈액 림프구 DNA를 주형으로 사용하여 DNA PCR을 시행하였다. 그 결과 5례 모두에서 예상되는 167bp 크기의 CDKN2 genomic DNA 단편이 증폭됨을 관찰할 수 있었다. 정상인의 말초혈액 림프구로부터 분리한 mRNA를 사용하여 cDNA를 합성하고 이를 주형으로 사용하여 RT-PCR와 시행하였다. 그 결과 예상되는 355bp 및 468bp의 CDKN2 및 ${\alpha}$-actin의 mRNA 전사산물이 전례에서 발현됨을 관찰할 수 있었다. 또한 CDKN2 mRNA의 RT-PCR 산물을 Sal I 제한효소로 절단하여 252bp와 103bp의 두 단편으로 나뉘어짐을 관찰하였다. 총 5례의 후두 편평상피세포암 세포주에서 CDKN2가 발현되는지를 RT-PCR로 관찰하였으며 각 세포주로부터 mRNA의 분리가 잘되었는지는 ${\alpha}$-actin의 발현을 통하여 RT-PCR로 관찰하였다. 5례의 세포주에서 모두 ${\alpha}$-actin의 발현을 관찰할 수 있었으며 이들의 mRNA를 사용하여 CDKN2 RT-PCR와 시행한 결과 총 4례(80%)의 세포주에서 CDKN2의 발현이 상실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CDKN2 발현의 이상이 있는 후두 편평상피세포암 세포주 및 발현이 정상인 후두 편평상피 세포암 세포주 모두에서 CDKN2 유전자의 존재를 DNA-PCR로 관찰하여 총 5례의 세포주 중 2례(40%)에서 CDKN2 유전자의 결손을 관찰할 수 있었다. 이 2례의 후두 편평상피세포암 세포주는 CDKN2의 발현이 일어나지 않은 것으로 RT-PCR의 결과와 일치하였다. 총 8례의 후두 편평상피세포암세포들에서 CDKN2의 이종접합성의 상실이 발견되는지를 DNA-PCR로 관찰하여 7례(87.5%)에서 최소한 한 개 이상의 microsatellite marker에 대한 이종접합성의 상실이 발견되었으며, 6례(75%)에서 최소한 한 개 이상의 microsatellite marker에 대한 증폭이 발견되었다. 또한 2례에서 최소한 한 개 이상의 microsatellite marker에 대한 microsatellite의 불안정이 발견되었다. 이종접합성의 상실, 증폭 또는 microsatellite의 불안정의 세 가지 모두를 보면 전례에서 한가지 이상의 CDKN2의 이상이 발견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CDKN2가 후두암의 발생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화타협척혈 침자극에 의한 손상 말초신경의 재생효과에 관한 연구 (Studies of the Effects of Acupuncture Stimulation at Huatuo Jiaji(EX B2) Points on Axonal Regeneration of Injured Sciatic Nerve in the Rats)

  • 김대필;박영회;금동호
    •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39-61
    • /
    • 2008
  • 목적 : 좌골신경 압좌손상으로 유발된 쥐의 모델을 이용하여 손상된 말초신경의 재생효과에 관한 침자극 효과를 세포분자학적, 조직학적 관점에서 연구하였다. 아울러 손상 좌골신경을 지배하는 척수신경근과 가까운 부위 경혈자극과 좌골신경이 지배하는 말초부위 경혈자극과의 침자극 효과를 비교 연구하였다. 방법 : 한쪽 좌골신경에 압좌손상을 유발 한 실험쥐들을 1주, 2주로 나눈 뒤 각각에 대해 격일로 1주군은 3회, 2주군은 6회의 침자극을 시행하였다. 손상 좌골신경의 재생효과를 비교실험하기 위해 정상군, 압좌손상만을 유발한 실험군, 침자극 군으로 나누었다. 침자극 군 중 한 군은 손상신경을 지배하는 척수신경근에 가장 가까운 2개의 화타협척혈(EX B2)에 자침(근위부 자극군)하였고, 다른 한 군은 말초부위에 위치한 족삼리혈(ST 36)과 위중혈(BL 40) 2곳에 자침(원위부 자극군)하였다. 실험 후 각각의 조직을 분리하여 Western blotting 혹은 Hoechst staining으로 Gap-43, Cdc2, Cdk2, Erk1/2 단백질을 분석 및 좌골신경의 각 세포수를 측정하였다. Retrograde tracing을 통해 L5의 DRG와 척수에서 말초신경 재생 효과를 관찰하였고, Immunofluorescence staining을 통해 신경돌기 가지의 신장 정도를 파악하였다. 결과 : 좌골신경 손상 7일된 실험쥐의 근위부와 원위부 침자극군에서 GAP-43와 Cdc2 단백질수준이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Cdk2 단백질수준은 압좌손상 실험군에서 강하게 증가하였지만 침자극군과 비교해서 별다른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Phospho-Erk1/2 단백질수준은 침자극군에서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손상 7일과 14일 된 실험쥐의 손상 원위부에서 슈반세포 수가 증가하였으며 특히 근위부 침자극군에서 더욱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Retrograde tracing을 이용한 검사 결과 침자극군에서 L5의 DRG와 척수의 염색 세포 수가 증가된 것으로 나타나 침자극이 축삭재생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L5의 DRG 감각신경의 신경돌기 가지 신장정도 및 GAP-43 단백질의 발현 정도를 측정한 결과 근위부 침자극군에서 효과적으로 GAP-43 단백질의 발현 및 신경돌기 가지가 신장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본 실험결과 침치료가 손상 좌골신경의 재생에 효과적인 것으로 보여지며, 특히 손상된 좌골신경을 지배하는 척수신경근 주위 화타협척혈에 대한 침자극이 말초부위의 침자극에 비해 신경재생에 더욱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