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avity liner

검색결과 24건 처리시간 0.021초

Experimental study on the mechanical response and failure behavior of double-arch tunnels with cavities behind the liner

  • Zhang, Xu;Zhang, Chengping;Min, Bo;Xu, Youjun
    • Geomechanics and Engineering
    • /
    • 제20권5호
    • /
    • pp.399-410
    • /
    • 2020
  • Cavities often develop behind the vault during the construction of double-arch tunnels, generally in the form of various defects. The study evaluates the impact of cavities behind the vault on the mechanical and failure behaviors of double-arch tunnels. Cavities of the same sizes are introduced at the vault and the shoulder close to the central wall of double-arch tunnels. Physical model tests are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liner stress variation, the earth pressure distribution and the process of progressive failure. Results reveal that the presence of cavities behind the liner causes the re-distribution of the earth pressure and induces stress concentration near the boundaries of cavities, which results in the bending moments in the liner inside the cavity to reverse sign from compression to tension. The liner near the invert becomes the weak region and stress concentration points are created in the outer fiber of the liner at the bottom of the sidewall and central wall. It is suggested that grouting into the foundation soils and backfilling injection should be carried out to ensure the tunnel safety. Changes in the location of cavities significantly impact the failure pattern of the liner close to the vault, e.g., cracks appear in the outer fiber of the liner inside the cavity when a cavity is located at the shoulder close to the central wall, which is different from the case that the cavity locates at the vault, whereas changes in the location of cavities have a little influence on the liner at the bottom of the double-arch tunnels.

Amalgambond Liner의 도포가 amalgam 수복재의 변연누출과 유지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 OF AMALGAM CAVITY LINER APPLICATION ON THE MARGINAL LEAKAGE AND RETENTION OF AMALGAM RESTORATIONS)

  • 김태성;김종수;김용기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800-817
    • /
    • 1996
  • In this study, we tried to evaluate the effect of Amalgambond liner application on the degree of marginal leakage and retention of amalgam restoration by comparing with that of the Copalite and All-bond 2.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experiment were as follows; 1. Tensile strength representing the bond between amalgam and tooth structure was the highest in Amalgambond, and All-Bond 2, Copalite in descending order.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each group(P<0.05). 2. The degree of microleakage in Amalgambond was lower than that of All-Bond 2, and Copalite, but no sta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could be found (P>0.05). 3. The liner such as Amalgambond or All-Bond 2 were evaluated to be superior to the conventional Copalite in bond strength as well as in microleakage. But the result of this study could not show the superiority of one material over the others; Amalgambond and All-bond 2. Besides the results of the study, other factors, such as practical convenience, should be considered in determining the selection of material. The support of welldesigned clinical studies on this subject are in demand.

  • PDF

터널 배면공동 뒤채움재 개발과 노후터널의 적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velopment of the high-flowable filling material and application in the old tunnel)

  • 마상준;서경원;배규진;안상철;임경하
    •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논문집
    • /
    • 제4권3호
    • /
    • pp.195-205
    • /
    • 2002
  • 터널에서의 배면공동은 설계 시공 유지관리중 다양한 원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하게 된다. 특히, 터널 천단부 라이닝 부분에는 콘크리트 타설후 재료분리 등으로 인해 터널 천단부에 배면공동이 발생이 되는데, 이러한 터널 배면공동은 라이닝 균열, 누수 등과 밀접한 연관이 있는 것으로 밝혀지고 있다. 본 연구는 석산에서 발생되는 석분을 이용하여 터널 배면공동 및 지하공동의 충전용 모르타르를 개발하고 이를 노후터널에 적용함으로서 개발재료의 현장적용성 등에 대한 시험을 수행하였다.

  • PDF

갈륨과 아말감 수복물의 변연미세누출에 관한 비교 연구 (COMPARISON OF MICROLEAKAGE OF GALLIUM ALLOY AND AMALGAM RESTORATION)

  • 이민호;이희주;허복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23권1호
    • /
    • pp.269-277
    • /
    • 1998
  • This in vitro study compared the microleakage of 4 lining conditions when used with Gallium alloy GF II and Valiant PhD. Class V cavity was prepared on both buccal and lingual surface of 80 extracted human premolar & molar teeth with one margin in enamel and another in dentin. Before restoration, prepared cavities were applied to no-liner, cavity varnish, Scotchbond multipurpose, and Superbond D-liner II plus according to manufacture's instructions. The restored teeth were stored in saline for 1 week, then thermocycled for 100 times, stained with 0.5% basic fuchsin dye for 1 day, sectioned, and observed using a light microscop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The leakage value of Superbond-lined group showed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nolined group on both margins of Valiant PhD(p<0.05). 2;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4 lining conditions in Gallium alloy GF II (p>0.05). 3. When We make a comparison between Gallium alloy GF II and Valiant PhD under same lining conditions, the microleakage value of Gallium alloy GF II showed lower than that of Valiant PhD on occlusal & gingival margin(p<0.05) except for Superbond-lined group(p>0.05).

  • PDF

회전하는 원통형밀폐용기내의 아랫면가열에 의한 이중확산대류에 관한 실험적 연구 (Double-Diffusive Convection Due to Heating from Below in a Rotating Cylindrical Cavity)

  • 강신형;이태홍;이진호
    • 대한기계학회논문집
    • /
    • 제19권7호
    • /
    • pp.1731-1740
    • /
    • 1995
  • Experimental investigations have been made to study the double-diffusive nature of convection of an initially stratified salt-water solution due to heating from below in a rotating cylindrical cavity. The objective is to examine the flow phenomena and the heat transfer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changes in temperature gradient, concentration gradient and rotating velocity of cavity. Thermal and solutal boundary conditions at side wall are adiabatic and impermeable, respectively. The top and bottom plate are maintained each at constant temperature and concentration. The cavity is put into a state of solid body rotation. Like the stationary case, the types of initially-formed flow pattern are classified into three regimes depending on the effective Rayleigh number and Taylor number; stagnant flow regime, single mixed-layer flow regime and successively formed multi-mixed layer flow regime. At the same effective Rayleigh number, the number of initially-formed mixed layer and its growth rate decrease as the effect of rotation increases. The temperature and concentration profiles are both uniform in each layer due to convective mixing in the layered-flow regime, but look both liner in stagnant flow regime and single mixed-layer flow regime. At the interface between adjacent layers, the temperature changes smoothly but the concentration changes rapidly.

유동성 복합레진의 임상적 용도에 관한 검토 연구 (A STUDY ON THE CLINICAL USAGE OF THE FLOWABLE COMPOSITE RESIN)

  • 박소영;정태성;김신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255-261
    • /
    • 2002
  • 유동성 복합레진은 치면 열구 전색이나 작은 교합면 우식의 예방적 레진 수복 및 깊은 와동의 이장재로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대한 임상적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유동성 복합레진이 치면 열구 전색, 예방적 레진 수복, 깊은 와동의 이장의 세 가지 임상적 용도로 적용될 경우, 기존의 재료와 비교한 대체가능성과 타당성을 검토할 목적으로, 각 용도에서의 양재료들이 나타내는 미세누출 양상을 비교분석하였다. 교합면이 건전한 120개의 발거된 대구치를 6개의 군으로 나누어 각 군당 20개색 시편을 구성하였다. 제 1군과 2군에는 각각 Concise와 Tetric flow로 치면 열구 전색을, 제 3군에는 Z-100과 Concise, 제 4군에는 Tetric flow로 예방적 레진 수복을 시행하였으며, 제 5군에는 Vitrebond, 제 6군에는 Tetric flow를 이장재로 이용하여 sandwich technique 수복을 시행하였다. 100회의 열 순환 및 색소 침투후 색소 침투 정도를 관찰하고 미세누출 정도를 판단하여 비교,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열구 전색재인 Concise와 유동성 복합레진인 Tetric flow로 각각 치면 열구 전색을 시행한 경우 미세누출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p>0.05). 2. 복합레진인 Z-100과 열구전색재인 Concise로 예방적 레진 수복을 시행한 군과 유동성 복합레진인 Tetric flow 단일 재료로 수복한 군 간에도 미세누출의 차이는 없었다(p>0.05). 3. 이장재로 Resin-modified glass ionomer cement 인 Vitrebond와 유동성 복합레진인 Tetric flow를 사용하여 sandwich technique으로 복합레진 수복을 시행한 경우에도 양 군간에 미세누출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p>0.05).

  • PDF

수종의 접착제를 사용한 아말감 수복시의 미세 변연 누출에 관한 연구 (MICROLEAKAGE EVALUATION IN AMALGAM RESTORATIONS USED WITH BONDING AGENTS)

  • 최상철;박준일;권혁춘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22권1호
    • /
    • pp.447-463
    • /
    • 199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copal varnish and five bonding agents(Scotchbond Multi-Purpose Plus Dental Adhesive System, Panavia 21, All Bond 2, Superbond D-Liner II plus, Fuji Duet) in reducing microleakage under amalgam restorations. Class V cavity were prepared on both buccal and lingual surface of sixty extracted human molars with cementum margin and were filled with different kinds of liners and amalgam. All teeth were stored at $37^{\circ}C$ in physiologic saline solution. After 1 week they were thermally stressed for 500 cycles between 5 and $55^{\circ}C$ in baths containing 0.5 % basic fuchsin dye. The dye penetrations were observed with a stereomicroscope. Scanning electron micrographs were taken of representative tooth sections from each group to assess the nature of the tooth/liner/amalgam interface. The statistical test were applied to the results using a one way analysis variance (ANOVA) and Duncan's multiple range tes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In all groups, the enamel margin showed significantly lower leakage value than the cementum margin (p<0.05). 2. At the dentin and enamel margins, the leakage value of Copalite-lined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no liner group (p<0.05), but showed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bonding agent lined-groups (p<0.05). 3.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bonding agent lined-groups (p>0.05). 4. On the backscattered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observation, discontinuous gaps were observed between amalgam and dentin in the bonding agent-lined amalgam restorations and the bonding agents appeared to fill the gap space and were mixed with amalgam particles. At the amalgam/tooth interface, unsealed dentin and continuous gaps were found in both unlined and Copalite-lined restorations.

  • PDF

교차편파 격리도를 개선한 이중선형 편파 시뉴어스 안테나의 설계 및 제작 (Design and Fabrication of a Dual Linear Polarization Sinuous Antenna with Improved Cross Polarization Isolation)

  • 김지흥;유홍균;채명호;김정훈;박범준;박영주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22권2호
    • /
    • pp.123-132
    • /
    • 2018
  • 본 논문에서는 교차편파 격리도(XPI; cross polarization isolation)를 개선한 이중선형 편파시뉴어스 안테나를 설계 및 제작하였다. 제안된 시뉴어스 안테나는 이중선형 편파 발생을 위해 4개의 암(arm) 방사체로 구성되며, 클로펜스타인 테이퍼(Klopfenstein taper) 구조의 광대역 마이크로스트립 발룬을 통해 급전된다. 또한 후방 반사파 감소를 위해 2단 원통형 캐비티 구조를 적용하였다. 캐비티 내부에는 반사파에 의한 성능 저하를 감소시키기 위해 허니컴 형태의 흡수체를 삽입하였다. 설계된 시뉴어스 안테나는 저대역에서의 교차편파 격리도를 개선하기 위해 최외각 암패턴과 캐비티의 림(rim) 사이에 저항을 적용하였다. 제작된 안테나는 저대역에서 교차편파 격리도가 개선되어 편파 측정을 위한 안테나로 적용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다양한 방식으로 적용한 이장재가 2급와동 복합레진 수복의 미세누출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lining application techniques on microleakage in class II composite restorations)

  • 황병문;김주형;박지만;;박은진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30권2호
    • /
    • pp.145-151
    • /
    • 2014
  • 목적: 본 연구는 두가지 다른 방법에 의한 레진강화형 글래스 아이오노머(RMGI) 이장재의 적용이 2급와동 복합레진수복의 미세누출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연구 재료 및 방법: 36개의 발치한 치아에 2급 와동을 형성한 뒤 무작위로 3개의 군으로 나누었다. 1군은 대조군으로 이장재를 적용하지 않았으며, 2군은 치과용 탐침으로 RMGI 이장재 적용, 3군은 특별히 고안된 버로 RMGI 이장재를 적용한 뒤 복합레진은 똑같이 통상적인 방법으로 적층수복하였다. 2% 메틸렌 블루 염색한 뒤 치아장축과 평행하게 순설 방향으로 절단하여 미세누출을 현미경과 컴퓨터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을 하였다. 데이터는 Kruskal-Wallis test와 Mann-Whitney U-test (P < 0.05)로 분석하였다. 결과: RMGI 이장재가 적용된 군은 그렇지 않은 군보다 월등히 적은 미세누출을 보였으며, 특히 특수 고안된 버를 사용한 군의 50%에서는 전혀 미세누출을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2군과 3군의 결과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 결론: 2급와동의 복합레진 수복에서 RMGI 이장재는 그 적용 방법에 관계없이 미세누출을 감소시키는데 효과적인 재료이다.

라이너 플레이트 및 콘크리트 공동을 고려한 원전 격납건물 벽체의 탄성파 전파 해석 (Elastic Wave Propagation in Nuclear Power Plant Containment Building Walls Considering Liner Plate and Concrete Cavity)

  • 김은영;김보영;강준원;이홍표
    • 한국전산구조공학회논문집
    • /
    • 제34권3호
    • /
    • pp.167-174
    • /
    • 2021
  • 최근 국내 원자력발전소의 격납건물 벽체와 Containment Liner Plate(CLP) 사이에서 다양한 크기의 공극이 발견됨에 따라 원전 격납건물의 보수를 위해 내부 공극의 분포와 크기를 정밀하게 평가할 수 있는 진단기법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따라 이 연구에서는 격납건물 벽체에서의 탄성파 전파거동을 계산하는 2차원 유한요소해석 기법을 제시한다. 격납건물 벽체를 기반으로 해석영역을 구성하고 경계면에서의 반사파를 제거하기 위해 수치적 파동흡수 경계층인 perfectly matched layer를 도입하였다. Galerkin 기반 혼합유한요소법을 이용해 2차원 유한영역에서 탄성파 파동방정식의 해를 구하여 충격하중에 대한 격납건물 벽체의 변위와 응력을 계산하였다. 제시한 수치적 기법을 이용하여 격납건물 콘크리트 벽체의 CLP 부착 유무와 공동의 위치 및 크기 변화에 따른 탄성파 전파거동을 살펴보았다. 이 연구의 결과는 원전 격납건물 내부의 공동을 진단하는 탄성파 전체파형 역해석 기법 개발에 활용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