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CLINICAL USAGE OF THE FLOWABLE COMPOSITE RESIN

유동성 복합레진의 임상적 용도에 관한 검토 연구

  • Park, So-Young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College of Dentistry, Pusan National University) ;
  • Jeong, Tae-Sung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College of Dentistry, Pusan National University) ;
  • Kim, Shin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College of Dentistry, Pusan National University)
  • 박소영 (부산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
  • 정태성 (부산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
  • 김신 (부산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 Published : 2002.05.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microleakage pattern of flowable composite resin to sealant, composite resin used in preventive resin restoration and glass ionomer cement used as liner. 120 extracted sound human molars were divided into 6 groups : group 1 and 2:sealant ; group 3 and 4:preventive resin restoration ; group 5 and 6:sandwich technique restoration. For the experimental groups(group 2, 4 and 6), flowable composite resin(Tetric flow) was used. For the control group, Concise was used as sealant material(group 1), Z-100 with Concise were used as preventive resin restoration(group 3), and Vitrebond was used as cavity liner(group 5). All the restorations were thermocycled and the degree of dye penetration was evaluated with stereomicroscope. The microleakage of each group was measured and statistically analyzed.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were as follows : 1. In group 1 and 2,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microleakage between Concise and Tetric flow(p>0.05). 2. In groups of preventive resin restorations,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microleakage between Z-100 with Concise and Tetric flow(p>0.05). 3. The microleakage of Vitrebond and Tetric flow used as liner show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p>0.05).

유동성 복합레진은 치면 열구 전색이나 작은 교합면 우식의 예방적 레진 수복 및 깊은 와동의 이장재로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대한 임상적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유동성 복합레진이 치면 열구 전색, 예방적 레진 수복, 깊은 와동의 이장의 세 가지 임상적 용도로 적용될 경우, 기존의 재료와 비교한 대체가능성과 타당성을 검토할 목적으로, 각 용도에서의 양재료들이 나타내는 미세누출 양상을 비교분석하였다. 교합면이 건전한 120개의 발거된 대구치를 6개의 군으로 나누어 각 군당 20개색 시편을 구성하였다. 제 1군과 2군에는 각각 Concise와 Tetric flow로 치면 열구 전색을, 제 3군에는 Z-100과 Concise, 제 4군에는 Tetric flow로 예방적 레진 수복을 시행하였으며, 제 5군에는 Vitrebond, 제 6군에는 Tetric flow를 이장재로 이용하여 sandwich technique 수복을 시행하였다. 100회의 열 순환 및 색소 침투후 색소 침투 정도를 관찰하고 미세누출 정도를 판단하여 비교,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열구 전색재인 Concise와 유동성 복합레진인 Tetric flow로 각각 치면 열구 전색을 시행한 경우 미세누출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p>0.05). 2. 복합레진인 Z-100과 열구전색재인 Concise로 예방적 레진 수복을 시행한 군과 유동성 복합레진인 Tetric flow 단일 재료로 수복한 군 간에도 미세누출의 차이는 없었다(p>0.05). 3. 이장재로 Resin-modified glass ionomer cement 인 Vitrebond와 유동성 복합레진인 Tetric flow를 사용하여 sandwich technique으로 복합레진 수복을 시행한 경우에도 양 군간에 미세누출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p>0.05).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