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ausation Classification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15초

동태적 분석 및 설계를 위한 인과지도 작성법의 한계와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oretical Improvement of Causal Mapping for Dynamic Analysis and Design)

  • 정재운;김현수
    • 한국시스템다이내믹스연구
    • /
    • 제10권1호
    • /
    • pp.33-60
    • /
    • 2009
  • This study explores the limitation in making a causal model through an existing case and proposes an alternative plan to improve a theoretical system of causation modeling. To make a dynamic and actual model, several principles are needed such as reality based analysis of system structures and dynamics, consistent expression of causations, conversion of numerical formulas to causal relations, classification and arrangement of variables by size of concept, etc. However, it is hard to find cases to apply these considerations from existing models in System Dynamics. Therefore, this study verifies errors of derived models from literatures and proposes principles and guides that should be considered to make a sound dynamic model on a causal map. It contributes to making an opportunity for exciting public opinion to improve theory about causal maps, yet it has limitation that the study does not advance forward to the experimental step. For future study, it plans to make up by classifying and leveling causal variables, developing a dynamic BSC model.

  • PDF

Chronic Subdural Hematoma in the Aged, Trauma or Degeneration?

  • Lee, Kyeong-Seok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59권1호
    • /
    • pp.1-5
    • /
    • 2016
  • Chronic subdural hematomas (CSHs) are generally regarded to be a traumatic lesion. It was regarded as a stroke in 17th century, an inflammatory disease in 19th century. From 20th century, it became a traumatic lesion. CSH frequently occur after a trauma, however, it cannot occur when there is no enough subdural space even after a severe head injury. CSH may occur without trauma, when there is sufficient subdural space. The author tried to investigate trends in the causation of CSH. By a review of literature, the author suggested a different view on the causation of CSH. CSH usually originated from either a subdural hygroma or an acute subdural hematoma. Development of CSH starts from the separation of the dural border cell (DBC) layer, which induces proliferation of DBCs with production of neomembrane. Capillaries will follow along the neomembrane. Hemorrhage would occur into the subdural fluid either by tearing of bridge veins or repeated microhemorrhage from the neomembrane. That is the mechanism of hematoma enlargement. Trauma or bleeding tendency may precipitate development of CSH, however, it cannot lead CSH, if there is no sufficient subdural space. The key determinant for development of CSH is a sufficient subdural space, in other words, brain atrophy. The most common and universal cause of brain atrophy is the aging. Modifying Virchow's description, CSH is sometimes traumatic, but most often caused by degeneration of the brain. Now, it is reasonable that degeneration of brain might play pivotal role in development of CSH in the aged persons.

해양사고조사를 위한 인적 오류 분석사례 (A Case Study of Marine Accident Investigation and Analysis with Focus on Human Error)

  • 김홍태;나성;하욱현
    • 대한인간공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137-150
    • /
    • 2011
  • Nationally and internationally reported statistics on marine accidents show that 80% or more of all marine accidents are caused fully or in part by human error. According to the statistics of marine accident causes from Korean Maritime Safety Tribunal(KMST), operating errors are implicated in 78.7% of all marine accidents that occurred from 2002 to 2006. In the case of the collision accidents, about 95% of all collision accidents are caused by operating errors, and those human error related collision accidents are mostly caused by failure of maintaining proper lookout and breach of the regulations for preventing collision. One way of reducing the probability of occurrence of the human error related marine accidents effectively is by investigating and understanding the role of the human elements in accident causation. In this paper, causal factors/root causes classification systems for marine accident investigation were reviewed and some typical human error analysis methods used in shipping industry were described in detail. This paper also proposed a human error analysis method that contains a cognitive process model, a human error analysis technique(Maritime HFACS) and a marine accident causal chains, and then its application to the actual marine accident was provided as a case study in order to demonstrate the framework of the method.

인류세 맥락화하기: 포항 '촉발지진'의 사회적 구성 (Situating the Anthropocene: The Social Construction of the Pohang 'Triggered' Earthquake)

  • 김기흥
    • 과학기술학연구
    • /
    • 제19권3호
    • /
    • pp.51-117
    • /
    • 2019
  • 본 논문은 2017년 11월 15일에 발생했던 포항지진의 원인을 둘러싼 과학자 사회의 논쟁을 과학기술학적으로 분석하며 이 현상이 인류세의 현상인가에 대해서 논의한다. 2017년 포항지진은 엄청난 경제적 손실과 정신적인 트라우마를 남겼다. 포항지진의 원인을 둘러싸고 과학자 사회는 크게 두 가지 입장으로 분화되었다. 포항지진이 보여준 특이성과 비정상성으로 인해 일부 과학자들은 이 지진이 북부 포항지역에서 진행 중이었던 지열발전소의 액체주입이 그 원인이 되었다고 주장하는 지열발전소에 의한 '유발지진론'의 관점이 제기되었다. 다른 연구자들은 2011년 3월에 발생했던 동일본 대지진으로 인한 지각변동과 이로 인해 생성된 응력에서 찾으면서 '자연발생론'을 주장했다. 이 두 관점은 주요한 논쟁의 대상이 되었으며 2019년 3월 20일 정부조사연구단의 최종연구결과가 나오기 전까지 치열하게 경쟁했다. 정부조사연구단은 포항지진의 원인이 당시 불안정성이 증가하던 상황에서 지열발전소의 액체주입이 '촉발'이 되었다는 "촉발지진"으로 규정하게 된다. 즉, 포항지진은 과거에 유례를 찾기 힘들었던 인간의 지층에 대한 직접적 기술적 개입으로 발생한 재난이었다. 포항지진이 보여준 재난의 성격과 인간이 만들어낸 자연적 재난은 최근 지질학계뿐 아니라 사회과학 분야에서도 확산되고 있는 새로운 개념인 "인류세"의 개념을 이용하여 분석한다. 포항지진이 과연 인류세적 현상인가에 대한 질문에 대해 답을 하면서 인류세의 문제를 어떻게 바라볼 것인가에 대해 논의하게 될 것이다. 본 논문의 핵심쟁점은 인류세의 재난적 상황이 전 지구적으로 확산되는 단일한 거대담론적 현상으로 이해할 것인가 아니면 상황에 따라 변동하고 구성되는 현상인가의 여부를 확인하게 될 것이다. 특히 인류세의 개념을 과학기술학 분야에 적용하여 재난적 상황에 대해 다루고 있는 브뤼노 라투르와 이자벨스텡거스의 가이아 이론에 대해 비판적으로 논의할 것이다. 본 논문은 인류세적 현상은 불가피하게 특정 맥락에서 상황적으로 이해되어야 한다는 점을 보이게 될 것이다.

해양사고 원인을 분류하기 위한 공통단어의 축소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duction of Common Words to Classify Causes of Marine Accidents)

  • 임정빈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109-118
    • /
    • 2017
  • 주제어(key word, KW)는 해양사고의 주요한 원인을 간단하게 표현하기 위한 단어들의 집합으로 해양안전심판원의 심판관들이 작성한다. KW는 심판관들의 서로 다른 주관적인 견해 때문에 일관성 유지가 어렵고, KW의 수가 너무 많은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최적화된 최소의 공통단어(common word, CW)를 이용한 체계적인 KW 구축 프레임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체계적인 KW 구축 프레임 개발에 필요한 CW을 도출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파레토(Pareto) 분포함수와 파레토 지수를 이용한 최적의 최소 CW 도출방법을 제안하였다. 총 2,642개의 KW을 수집한 후, 수집한 KW의 세부 단어와 이들의 빈도를 갖는 데이터 세트에서 총 56개의 특징적인 CW를 식별하였다. 56개의 특징적인 CW를 이용한 단어 축소실험을 통해서 평균 58.5%의 축소율을 획득하였고, 축소율에 따라서 추정한 CW는 파레토 차트로 검증하였다. 이를 통해서 체계적인 KW 구축 프레임 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환경규제 지역과 규제저항 분석 - 평창을 사례로 - (The Analysis of Environmental Protection Sector and Regulation Resistance -A Study on Pyeongchang-)

  • 배선학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41권6호
    • /
    • pp.701-713
    • /
    • 2006
  • 이 연구는 개발가능성이 높은 지역이 규제지역으로 설정되어 있을 때 규제지역과 규제지역의 주변으로 규제저항이 발생할 것이라는 전제에서 출발한다. 그리고 이에 대한 분석은 GIS를 활용한 공간분석 방법으로 수행하였으며, 평창을 연구지역으로 하였다. 평창의 환경관련 규제현황을 조사하여 환경규제지도를 제작하고, 평창지역 전체의 상대적 개발 가능성 정도를 등급화 하였다. 그리고 이렇게 제작된 규제지도와 개발가능성등급도를 이용하여 상대적인 규제저항 정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평창의 환경관련 규제 비율은 남한강 유역권 전체의 규제 비율 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개발 가능성이 높은 지역과 환경 규제지역을 중첩하여 분석한 결과 읍면단위에서는 도암면과 진부면의 규제저항이 높을 것으로 예상되었다. 그리고 평창의 신규건물(1999년 $\sim$ 2005년) 입지와 환경규제와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개발가능성 등급이 높고 규제지역과 인접한 지역에 집중적으로 분포(신규건물의 약 66%가 규제지역으로부터 500m 이내 지역에 분포)하였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지방정부와 주민에게 직접적인 이익을 제공하지 못하는 규제권역 설정 위주의 환경정책은 난 개발과 그에 따른 환경파괴라는 내재된 문제를 지니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