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ations

검색결과 1,332건 처리시간 0.029초

Stoichiometry and Stability of Complexes Formed between 18-Crown-6 as well as Digenzo-18-Crown-6 Ligands and a Few Metal Ions in Some Non-aqueous Binary Systems Using Square Wave Polarography

  • A. Nezhadali, Gh. Rounaghi;M. Chamasaz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21권7호
    • /
    • pp.685-689
    • /
    • 2000
  • The complexation reaction between Pb2+,TI and Cd2+ions and macrocyclic ligands, 18-crown-6 ( 18C6) and dibenzo- 18-crown-6 (DB 18C6), was studied in dimethylsulfoxide (DMSO)-nitromethane (NM) and dimethyl-formamide (DMF)-nitromethane binary system s by square wave polarography (SWP) technique. The stoichiometry and stability of the complexes were determined by monitoring the shifts in half-waves or peak potentials of the polarographic waves of metal ions against the Iigand concentration. In most cases, the stability constants of complexes increase with increasing amounts of the nitromethane in mixed binary solvents used in this study. The complexes formed between 18C6 and DB18C6 and these metal cations in all cases had a stoichiometry of 1 : 1. The results obtained show that there is an inverse relationship between the formation constant of complexes and the donor number of solvents based on a Gatmann donocity scale and the stability constants show a high sensitivity to the composition of the mixed solvent systems. A linear behavior was observed for variation of log Kf of I8C6 complexes vs the composition of the mixed solvent systems in NM/DMSO and NM/DMF,but a non-linear behavior was observed in the case of DB 18C6 complexes in these binary systems. In most of the systems investigated, the Pb2+ cation forms a more stable complex with the 18C6 than other two cations and the order of selectivity of this Iigand for cations is: Pb2+ > TI+,Cd2+.

The Transport of Organic Cations in the Small Intestine: Current Knowledge and Emerging Concepts

  • Kim, Moon-Kyoung;Shim, Chang-Koo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29권7호
    • /
    • pp.605-616
    • /
    • 2006
  • A wide variety of drugs and endogenous bioactive amines are organic cations (OCs). Approximately 40% of all conventional drugs on the market are OCs. Thus, the transport of xenobiotics or endogenous OCs in the body has been a subject of considerable interest, since the discovery and cloning of a family of OC transporters, referred to as organic cation transporter (OCTs), and a new subfamily of OCTs, OCTNs, leading to the functional characterization of these transporters in various systems including oocytes and some cell lines. Organic cation transporters are critical in drug absorption, targeting, and disposition of a drug. In this review, the recent advances in the characterization of organic cation transporters and their distribution in the small intestine are discussed. The results of the in vitro transport studies of various OCs in the small intestine using techniques such as isolated brush-border membrane vesicles, Ussing chamber systems and Caco-2 cells are discussed, and in vivo knock-out animal studies are summarized. Such information is essential for predicting pharmacokinetics and pharmacodynamics and in the design and development of new cationic drugs. An understanding of the mechanisms that control the intestinal transport of OCs will clearly aid achieving desirable clinical outcomes.

저에너지 충돌 탄뎀 질량분석법을 이용한 올리고당의 연결부위 연구: 금속양이온의 첨가가 미치는 영향 (Linkage Positions of Oligosaccharides by Low Energy Collision Tandem Mass Spectrometry: Effect of the Addition of Metal Cations)

  • 육은순
    • 대한화학회지
    • /
    • 제40권8호
    • /
    • pp.557-564
    • /
    • 1996
  • 각기 다른 양이온$(Na^+, Li^+, K^+, NH_4^+)$을 구조이성질체인 일련의 합성 올리고당에 첨가함으로써, 양이온의 결합정도가 올리고당의 연결위치에 따라 달라지리라는 것을 FAB CAD MS/MS(Fast Atom Bombardment Collision Activated Dissociation Mass Spectrometry/ Mass Spectrometry)를 이용하여 안정성 측면에서 연구하였다. 알카리 양이온화된(cationized) 올리고당들은 양성자화(protonated)된 형태보다 더 큰 안정성을 나타내어 -40 eV의 충돌 에너지 수중에서 연결부위와 작용기들이 분절된 스펙트럼형태를 보인 반면, 양성자화된 올리고당은 -10 eV에서 에서 같은 정도의 분절을 보였다. 첨가된 양이온 중, 칼륨 양이온이 첨가된 올리고당이 다른 것에 비해 안정화되어 triple quadrupole기종의 허용에너지 조건하에서는 분절이온을 생성하지 않는다. 다른 양이온화된 올리고당들은 충돌기체인 argon의 압력이 0.8mTorr 상태에서 양이온의 종류에 따라$Nap^+>Li^+>NH_4^+$순으로 안정성을 나타내었다. 올리고당과 결합하는 금속양이온들은 질소를 포함하고 있는 아미노당에 위치하며, 이는 아미노당을 포함하는 분절이온마다 각 양이온에 해당하는 만큼의 질량이 이동된 분절피크들이 나타나는 것으로 설명 가능하다. 또한 양이온화된 것이 양성자화된 것보다 더 큰 안정성을 지니는 이유는 금속 양이온과 아미노당의 N-acetyl 작용기 및 fucose의 산소 사이에 크라운에테르 형태의 결합을 형성하는 것으로 설명할 수 있다. 이 때 참여한 금속 양이온의 크기 및 연결위치-이성질 부분의 구조적 형태에 따라 결합정도의 차이를 보여 각기 다른 분절스펙트럼의 형태를 나타내며 안정성면에서도 1-6>1-4>1-3 연결위치의 순으로 나타났다.

  • PDF

토양의 유효태 인산과 치환성 양이온의 다성분동시추출 분석방법 비교 (Comparison of Multi-element Extraction Methods to Determine Available Phosphate and Exchangeable Cations of Korean Soils)

  • 김명숙;양재의;김유학;윤정희;장용선;곽한강;하상건;현병근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192-200
    • /
    • 2009
  • 과학영농과 친환경농업이 대두되면서 토양검정량이 급속하게 증가하고 이에 대처하기 위해 신속하게 분석할 수 있는 분석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신속 간편하게 분석할 수 있는 다성분동시 추출방법으로 개발된 Mehlich III법, Mod. Morgan법, Kelowna 법과 국내에서 사용 중인 유효태 인산 분석법인 Lancaster법, 치환성 양이온 분석법인 1M $NH_4OAc법으로 분석되는 분석치들 간의 상관관계를 검토하기 위하여 토양특성이 다양한 우리나라 농경지 115개소에서 토양을 채취하여 여러 가지 방법으로 화학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다성분동시추출 분석방법인 Mehlich III법, Mod. Morgan법, Kelowna법과 기존의 유효인산 분석방법인 Lancaster법과 치환성 양이온 분석방법인 1M $NH_4OAc법으로 추출한 분석치는 모두 고도로 유의한 직선적인 상관관계에 있었다. 유효인산은 Mehlich III법, Mod. Morgan법, Kelowna 법과 Lancaster법으로 추출되는 분석치간에 결정계수($R^2) 의 크기는 Mehlich III법($0.979^{***}$) > Kelowna법 ($0.977^{***}$) > Mod. Morgan법($0.553^{***}$)의 순으로 Mehlich III 법 이상관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Lancaster 법보다 토양 중의 인산을 평균적으로 28% 많이 추출하였다. 치환성 양이온에서도 화산회 토양에서 추출되는 나트륨 성분을 제외하고는 Mehlich III 법으로 추출되는 분석치가 1M $NH_4OAc법으로 추출되는 것과 가장 상관이 높았다. 따라서 ICP를 이용하여 유효인산과 치환성 양이온의 분석은 다성분동시추출방법인 Mehlich III법이 이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국내 유통 중인 먹는샘물 원수의 이온류 수질 특성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the Ion Water Characteristics of Raw Water in the Domestic Natural Mineral Water)

  • 이이내;안경희;민병대;양미희;최인철;정현미;박주현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32권5호
    • /
    • pp.442-449
    • /
    • 2016
  •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to establish a foundation for the provision of safe drinkable water. The raw water of natural mineral water was analyzed to determine the quantities of anions (F-, Cl-, NO3-N-, and SO42- ) and cations (Ca2+, K+, Mg2+, and Na+) during the former and latter half of 2016. Analysis of the current quality of the raw water of natural mineral water among domestic manufacturers showed average anions contents of 0.46mg/L of fluorine, 8mg/L of chlorine ion, 1.5mg/L of nitrate nitrogen, and 12mg/L of sulfate ion. While the fluorine content was greater than the water quality criterion of 2.0mg/L at four points, the fluorine level was overall stable. The average cations contents included 21.3mg/L of calcium, 1.0mg/L of potassium, 3.4mg/L of magnesium, and 9.6mg/L of sodium. The chemical characteristics were compared among the major ions, and the results are presented in a piper diagram. The content ratio of cations was in the order of Ca2+> Na+>Mg2+>K+, whereas that of anions was in the order of SO42->Cl->NO3-N->F-. While the cations were slightly scattered, the anions were generally concentrated except for at a few points. The Ca-Na-HCO3 type was dominant overall in water sources from diorite, gneiss, and granite, while the Na-Mg-Ca-HCO3-Cl type was dominant in basalt sources. Mineral water manufacturers source their water under various conditions, including in-hole casing, excavation depth, and contact state of bedrock; even within the same rocky area, some differences in the water quality type can occur. When the depth of the water source was taken into account, the mean anions contents of F-, Cl-, NO3-N-, and SO42- were similar, with no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depth. Of the cations, K+ and Na+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across all the tubular wells, whereas Ca2+ and Mg2+ decreased in content with depth.

담배식물(植物)의 엽서별(葉序別) 이온균형(均衡) 비교(比較) (Comparision of Cation-Anion Balance in Leaves on the Stalk Positions of Young Tobacco Plant)

  • 이윤환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223-229
    • /
    • 1986
  • 1. 질산염영양액(窒酸鹽營養液)으로 관수(灌水)하여 재배(栽培)한 담배식물(cv. NC82)의 엽서별(葉序別) 이온균형(均衡)을 조사(調査)한 결과(結果) 무기양(無機陽)이온과 무기음(無機陰)이온의 총량(總量)은 출엽순서별(出葉順序別)로 차이(差異)가 있어 하위엽(下位葉)에서는 무기양(無機陽)이온이 무기음(無機陰)이온보다 3배(倍)이상 차이(差異)(5차엽(次葉))를 보이나 상위(上位)의 어린잎(10차엽(次葉))에서는 1.3배(倍)로 떨어졌다. 2. 양(陽)이온의 대부분은 $K^+$, $Ca^{{+}{+}}$, $Mg^{{+}{+}}$이었으며 K+Ca는 출엽(出葉)된 모든 잎에서 양(陽)이온의 80%정도로 일정한 비율이 유지되었다. 그 구성비율(構成比率)은 오랜잎일수록 $Ca^{{+}{+}}$ 높고 엽령(葉齡)이 커질수록 증가(增加)하나, 어린잎 쪽에서는 $K^+$의 비율이 높으며 엽령(葉齡)에 따라 점차 낮아지는 경향이었다. 3. 양(陽)이온총량(總量)은 무기음(無機陰)이온과 유기산(有機酸) 음(陰)이온으로 이온균형(均衡)이 유지(維持)되었으며 하엽(下葉)에서는 유기산(有機酸) 음(陰)이온에 의존(依存)한 이온균형(均衡)이 무기음(無機陰)이온보다 컸으나 상엽(上葉)으로 갈수록 점차 반대 경향으로 나타났다. 4. 이온총량(總量)이 큰 하엽(下葉)에서는 양음(陽陰)이온 총량(總量) 차이(差異)가 나타났으나 상엽(上葉)에서는 균형(均衡)이 거의 유지(維持)되었다. 하엽(下葉)의 이온총량차(總量差)는 일부(一部) 유기산석회염(有機酸石灰鹽)이 침전(沈澱)되어서 수산(蓚酸)이 검출되지 않았기 때문인 것 같다.

  • PDF

부식산(腐植酸)-중금속(重金屬) 착화합물형성(錯化合物形成) 반응(反應)에 대한 Mechanism (Mechanisms of Humic Acid-Heavy Metal Complexation)

  • 이정재;장상문;최정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14-122
    • /
    • 1995
  • 토양유기물(土壤有機物)에 의한 중금속(重金屬)의 흡착(吸着)현상을 구명(究明)하기 위하여 이탄토(泥炭土)에서 humic acid를 분리정제(分離精製)하여, humid acid-metal complex 생성반응(生成反應)에 대한 mechanism을 조사(調査)하였다. 1. Humic acid-metal complex의 흡광도(吸光度)는 장파장영역(長波長領域)에서 단파장영역(短波長領域)으로 갈수록 Zn-HA > Cd-HA > Cu-HA의 순(順)으로 증가(增加)하였다. 2. Humic acid의 carboxyl group과 phenolic OH group들이 중금속(重金屬) ion들과 반응(反應)하여 complex를 생성(生成)하였으며 그 생성량(生成量)은 Cu > Zn ≧ Cd의 순(順)이었다. 3. Humic acid-medal complex의 안정도(安定度) 상수(常數)는 pH가 증가(增加)함에 따라 增加하였으며 1차(次) 안정도(安定度) 상수(常數)는 Zn>Cd>Cu 순(順)이었고, 2차(次) 안정도(安定度) 상수(常數)는 Cu>Zn>Cd의 순(順)이었으며, 總安定도 常數는 Cu>Zn>Cd의 순(順)이었다. 4. Humlc acid와 중금속(重金屬)ion들 상호(相互) 간(間)의 평균결합수(平均結合數)는 pH가 증가(增加)함에 따라 Cu>Zn>Cd의 順으고 增加하였다. 5. Humic acid에 의한 중금속(重金屬) ion들의 complex생성과정(生成課程)에서 barboxyl group만이 관여(關與)하는 것과 car-boxyl gruup 및 phenolic OH group이 동시(同時)에 관여(關與)하는 두가지 흡착(吸着)mechanlsm을 제안할 수 있었다.

  • PDF

화훼작물이 재배된 온실 또는 노지재배지의 토양 화학성 비교 (Comparison of Soil Chemical Properties in Greenhouse or Open Field Where Flower Crops were Cultivated from 2018 to 2020)

  • 권혜숙;허성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5권5호
    • /
    • pp.675-685
    • /
    • 2022
  • 2018년부터 2020년까지 화훼작물의 시설 및 노지재배지의 토양 화학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시설재배지 토양의 pH는 3년간 적정 범위 유지되었고, 노지토양도 적정 범위로 유지되었다. 유기물 함량은 두 토양에서 모두 적정 범위로 유지되었고, EC의 경우 시설토양은 적정 기준보다 높았으나, 노지토양에서는 적정 기준 범위로 유지되었다. 유효인산은 시설토양에서 2018년에 560 mg/kg가장 높았으나 매해 낮아져 2020년에 적정 기준 범위로 낮아졌고, 노지재배지 토양은 매해 적정 범위에 유지되었다. 치환성 양이온은 시설재배지 토양에서 3년간 표준 범위보다 높게 유지되어 영양 불균형이 극심하였고, 특히 치환성 칼슘과 마그네슘의 유의성이 높았다. 그러나 노지재배지 토양에서는 치환성 칼슘과 마그네슘이 적정 범위보다 약간 높은 수준이었다. 주성분 분석을 통해서 시설재배지 토양의 치환성 양이온을 비롯해 유효인산, EC가 높은 문제점이 드러났으며, 노지재배지는 시설재배지보다는 상대적으로 낮은 값의 유효인산, EC, 치환성 양이온 분포를 보였다. 그러나 노지재배지 토양의 pH는 변동성이 너무 크고 pH가 높은 토양의 비율이 시설재배지보다 높았다. 또한, 노지재배지 토양은 시설재배지보다 유기물 함량이 낮으므로 유기물 시용에 더욱 적극적으로 노력해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제주도 교래휴양림 지역의 대기질의 음이온 및 양이온의 분포와 변이성 (Variation and Distribution of Anions and Cations in the Aerosols of Gyorae Forests in Jeju Island)

  • 신방식;임동호;이근광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7호
    • /
    • pp.384-395
    • /
    • 2018
  • 본 연구는 교래자연휴양림 지역을 A와 B 지역으로 나누어서 대기질의 음이온과 양이온수를 측정하여 일별 그 분포와 변이에 대한 연구가 목적이었다. 이온수 측정은 이온수 측정기로 2017년 6월 28일-7월 13일 사이에 실시하였다. A지역의 5개 지점의 전체 평균 음이온수는 $734.5ions/cm^3$, 양이온 수는 $463.3ions/cm^3$, 대기온도는 $25.51^{\circ}C$, 습도는 81.6%, 풍속은 0.28 m/sec, 해발 고도는 455.7 m 이었다. B지역의 4개 지역 전체 측정한 평균 음이온수는 $780ions/cm^3$, 양이온수는 $379.55ions/cm^3$, 대기온도는 $27.6^{\circ}C$, 습도는 80%, 풍속은 0.1 m/sec, 측정지역의 해발고도는 477 m 이었다. 교래지역 A와 B전체의 음이온수의 평균치는 $757.5ions/cm^3$, 양이온수의 평균치는 $419.41ions/cm^3$이었다. 이온의수는 시간별로 측정별로 변이성이 높았다. 음이온수가 양이온수보다 평균 $275.73ions/cm^3$ 만큼 더 높게 유지되었다. A와 B점의 음이온과 양이온수의 측정치를 Pearson 분산분석에서는 음이온 측정지점별 및 측정지점 내의 분석이 유의하게 나타났으며(p<.001), 양이온의 측정지점별 및 측정지점 내의 분석에서도 유의하게 나타났다(p<.001). 음이온과 양이온수의 지역별 평균측정치 간의 상관관계분석에 서 r=.386으로 유의한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었다(p<.001). 결론적으로 상기 음이온과 양이온 함량의 시간적 분포와 변이를 나타낸 결과는 교래자연휴양림의 대기질의 성분과 변화에 대한 기초정보를 제공하고 있다고 본다.

철, 알루미늄 수산화물에 의한 중금속 Ion의 흡착 (Adsorption of Heavy Metal Cations by Fe and Al Hydroxides)

  • 이정재;장상문;최정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05-113
    • /
    • 1995
  • 토양(土壤)의 구성성분(構成成分) 중 많은 부분(部分)을 차지하고 있는 철(鐵) 및 알루미늄의 수산화물(水酸化物)에 의한 중금속(重金屬)ion들의 흡착(吸着) mechanism을 구명(究明)하기 위하여, 무정형(無晶型) Fe 및 Al 수산화물(水酸化物), Goethite 및 Gibbsite에 의한 중금속(重金屬)ion들의 흡착(吸着) mechanism을 조사(調査)하였다. 1. 철(鐵) 및 알루미늄의 수산화물(水酸化物)에 의한 중금속(重金屬)ion들의 흡착등온선(吸着等溫線)은 Langmuir식(式)에 잘 부합되었으며, 이들의 최대흡착량(最大吸着量) 및 흡착(吸着)에너지는 무정형(無晶型) 수산화물(水酸化物)이 결정형(結晶型) 수산화물(水酸化物)보다 또 알루미늄 수산화물(水酸化物)이 철수산화물(鐵水酸化物)보다 많았다. 2. 중금속(重金屬)ion별(別) 최대흡착량(最大吸着量) 및 흡착(吸着)에너지는 Cu>Zn>Cd의 순(順)으로 CEC, 비표면적(比表面積) 및 하전밀도(荷電密度)와 정(正)의 상관(相關)이 인정(認定)되었다. 3. Goethite 및 Gibbsite에 의한 중금속(重金屬)ion들의 첫번째 흡착(吸着) mechanism은 $Cl^-$를 수반하는 nonspecific adsorption으로 1 Mole의 중금속(重金屬)ion이 흡착(吸着)되는데 대하여 표면(表面) aquo group이나 hydroxo group으로 부터 1 Mole의 H가 탈착(脫着)되었으며, 회응비율(灰應比率)은 pH가 증가(增加)할수록 감소(減少)되고 흡착(吸着)된 중금속(重金屬)ion들은 치환성양(置煥性陽)ion에 의하여 재치환(再置換)될 수 있었다. 4. Goethite 및 Gibbsite에 의한 중금속(重金屬)ion들의 두번째 흡착(吸着) mechanism은 $Cl^-$을 수반하지 않는 specific adsorption으로 1 Mole의 중금속(重金屬)ion이 흡착(吸着)되는데 대하여 표면(表面) aquo group이나 hydroxo group으로부터 2 Mole의 $H^+$가 탈착(脫着)되었으며. 흡착반응(吸着反應)의 비율(比率)은 pH가 증가(增加)할수록 증가(增加)되었으며 흡착(吸着)된 중금속(重金屬)들은 置換性 陽ion에 의하여 再置煥되지 않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