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ation exchangeable capacity (CEC)

검색결과 58건 처리시간 0.029초

논토양 화학특성 변화와 양분공급력과의 관계 (Dependence of Nutrient Supplying Capacity on Chemical reactions of Paddy Soil)

  • 김유학;김명숙;강성수;전희중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2권Spc호
    • /
    • pp.33-39
    • /
    • 2009
  • 논토양에서 지속가능한 농업생산 및 환경보호를 위한 양분관리는 토양의 화학반응들에 따른 지표들을 활용하는 것이다. 이 연구는 동일비료 영년시험 결과와 2000년부터 2002년까지 수행된 논토양 유형별 질소수준 시험 결과 등을 토대로 하여, 논토양의 화학작용 및 이와 관련된 양분공급력 지표들을 조사하였다. 논토양의 화학작용은 영양성분의 흡탈착 및 유기물질의 분해를 통한 수소, 전자, 이산화탄소의 생성작용과 이들 물질에 의한 화학작용 등으로 구성되었다. 이러한 토양의 화학작용을 고려한 양분공급력 지표들은 다음과 같았다. 질소의 공급력 지표는 토양유기물 또는 토양단백질이었으며, 인산의 공급력 지표는 유효인산함량이었고, 칼륨의 공급력 지표는 양이온교환용량과 치환성 양이온함량이었다. 한국에서는 논토양의 시비 추천식은 이러한 양분공급력 지표들을 사용하여 설정한 것으로 나타나 환경을 보전하면서 농업생산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노각나무(Stewartia koreana)군락의 식생구조와 생태특성 (Vegetation Structures and Ecological Properties of Sterwartia koreana Community)

  • 권혜진;송호경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7권3호
    • /
    • pp.296-304
    • /
    • 2008
  • 우리나라 노각나무 자생지 가운데 8개 지역을 대상으로 식물사회학적 방법으로 군락을 분류하고, 방형구법을 사용하여 구배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노각나무군락은 고로쇠나무하위군락, 소나무하위군락, 사람주나무하위군락, 노각나무전형하위군락으로 구분되었다. 노각나무는 주로 계곡 주변에 국지적으로 분포하였으며, 토양특성은 유기물, 전질소, 유효인산, 치환성 K, 치환성 Ca, 치환성 Mg, 양이온치환용량(CEC)의 함량이 14.31~34.27%, 0.33~0.77%, 7.83~22.88(mg/kg), 0.23~1.07(me/100g), 0.29~2.93(me/100g), 0.33~1.49(me/100g), 10.47~22.48(me/100g)이며, pH는 4.65~4.96으로 약산성토양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고로쇠나무하위군락은 해발고가 가장 높고, 전질소, 치환성 Ca, Mg의 함량이 높은 입지에 분포하였으며, 소나무하위군락은 해발고가 가장 낮고, 전질소, 치환성 Ca, Mg의 함량이 가장 낮은 입지에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토양(土壤)의 화학성(化學性)이 옥수수 수량(收量)에 미치는 영향(影響) (Field Survey on Soil Chemical Properties as Influenced on Corn Yield)

  • 신철우;김정제;허범량;윤정희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73-178
    • /
    • 1984
  • 옥수수 수량(收量)과 토양(土壤)의 화학적특성(化學的特性)과의 상관관계(相關關係)를 검토(檢討)하여 옥수수 재배지토양(栽培地土壤)의 토양화학성(土壤化學性) 개량(改良) 기준(基準)을 설정(設定)할 목적(目的)으로 16개(個) 옥수수 시범재배포장(示範栽培圃場)을 대상(對象)으로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옥수수 수량(收量)과 토양화학성(土壤化學性)과의 상관관계(相關關係)에서 $pH\;r=0.706^{**}$, $Av.\;P_2O_5\;r=0.675^{**}$, $Ex.\;K\;r=0.697^{**}$, $Ex.\;Ca\;r=0.763^{**}$, $Ex.\;Mg\;r=0.626^{**}$, $CEC\;r=0.803^{**}$, $Av\;SiO_2\;r=0.670^{**}$, $B.S\;r=0.729^{**}$로 정(正)의 상관관계(相關關係)를 나타내었으나 유기물(有機物) 및 전질소함량(全窒素含量)과는 유의성(有意性)이 인정(認定)되지 않았다. 2. 옥수수에 대한 토양중(土壤中) 적정무잔성함량(適正無棧成含量)(1,000kg/10a생산기준(生産基準))은 pH5.6, Av $P_2O_5$, 327ppm, Ex. K0.39me/100g, Ex. Ca 5.5me/100g, Ex. Mg1.3me/100g, Ex. Al 0.44me/100g, CEC 11.5me/100g, Av. $SiO_2$, 116ppm. B.S 58%로 추정(准定)되었다. 3. 토양중(土壤中) 치환성(置換性)알루미늄함량(含量)은 옥수수 수량(收量)뿐만 아니라 토양산도(土壤酸度), 유효인산(有效燐酸), 치환성가리(置換性加理), 치환성석회함량(置換性石灰含量)과도 유의성(有意性)있는 부(負)의 상관관계(相關關係)를 나타내었다.

  • PDF

문수조릿대 개체군의 식생 (Vegetation of Arundinaria munsuensis Population)

  • 장형태;이지혜;박종민;김남춘;박원제;송호경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15-25
    • /
    • 2012
  • Arundinaria munsuensis population were classified into Lespedeza maximowiczii dominant population and Spiraea prunifolia for. simpliciflora dominant population in the habitat of Jiri Mt. In the study sites, soil organic matter, total nitrogen, available phosphorous, exchangeable K, exchangeable Ca, exchangeable Mg contained, cation exchange capacity, and soil pH were ranged from 14.52~16.13%, 0.57~0.59%, 5.57~10.24 (mg/kg), 0.44~0.49 ($cmol^+/kg$), 0.62~0.92 ($cmol^+/kg$), 0.31~0.32 ($cmol^+/kg$), 28.26~32.44 ($cmol^+/kg$) and 4.33~4.48 respectively. DCCA ordination analysis showed that Lespedeza maximowiczii dominant population dwells where pH, exchangeable Ca and exchangeable Mg content are high and Spiraea prunifolia for. simpliciflora dominant population is placed where CEC, total nitrogen and organic matter content are high.

Soil Properties in Two Forest Sites in Cox's Bazar, Bangladesh

  • Akhtaruzzaman, Md.;Osman, K.T.;Sirajul Haque, S.M.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31권4호
    • /
    • pp.280-287
    • /
    • 2015
  • Soil samples were collected from three depths (0-10 cm, 10-40 cm and 40-80 cm) of two forest sites including one plantation dominated by teak with some other minor species and another degraded natural forest in Cox's Bazar, Bangladesh to compare their soil properties. Some vegetation parameters were also studied. For this study $10{\times}10\;m$ and $2{\times}2\;m$ quadrats were used for the tree and undergrowth parameters, respectively. Soil samples were also collected from these quadrats. Between the two forest types, the highest levels of organic carbon, total nitrogen, available phosphorus, exchangeable bases and cation exchange capacity (CEC) were found in soils of the plantation. The soils were acidic in nature and exchangeable Al concentrations were low. Teak dominated forest plantation had higher soil fertility index (SFI) than the degraded natural forest site. Steps for reforestation and appropriate protection are needed to improve the situation.

울릉도 섬현삼(Scrophularia takesimensis Nakai) 개체군의 식생과 토양특성 (Vegetation and Soil Properties of Scrophularia takesimensis Population in Ulleung Island)

  • 한경숙;김무열;서강욱;권혜진;송호경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24-31
    • /
    • 2010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analyze vegetation and soil characteristic, and ordination of Scrophularia takesimensis population, Ulleung Island. The Scrophularia takesimensis population was classified into Aster spathulifolius for. oharai dominant population, Vitis amurensis dominant population and Scrophularia takesimensis typical population. The Scrophularia takesimensis population was located in elevation of 1m to 6m, in Ulleung Island. In the study sites, soil organic matter, nitrogen, available phosphorous, exchangeable potassium, exchangeable calcium, exchangeable magnesium and exchangeable sodium concentration, and cation exchange capacity, and soil pH were 9.1~19.1%, 0.19~0.52%, 87.1~196.7mg/kg, 2.0~2.8cmol+/kg, 5.4~5.9cmol+/kg, 5.9~8.8cmol+/kg, 4.4~4.8cmol+/kg, 20.3~26.7cmol+/kg, and 6.8~8.0, respectively. The Vitis amurensis dominant population was mainly found in the high percentage of total nitrogen, organic matter, CEC in comparison with Aster spathulifolius for. oharai dominant population.

고추냉이(Wasabia japonica (Miq.) Matsum.) 개체군의 식생과 토양특성 (Vegetation and Soil Properties of Wasabia japonica Population)

  • 김무열;소순구;한경숙;이지혜;박관수;송호경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2권5호
    • /
    • pp.530-535
    • /
    • 2008
  • 본 연구는 울릉도 고추냉이 개체군의 식생과 토양특성, 분포서열법을 분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고추냉이 개체군은 서면의 해발고 440m에서 570m 사이와 나리분지의 해발 340m 부근에 분포하고 있다. 고추냉이 군락지의 토양은 유기물함량 15.01%, 전질소함량 0.48%, 유효인산함량 44.19mg/kg, 치환성 K 2.00(me/100g), 치환성 Ca 7.19(me/100g), 치환성 Mg 4.44(me/100g), 양이온치환용량 22.55(me/100g)로 높게 나타났으며, 토양 pH는 6.17로 약산성 토양의 특징을 나타내고 있다. 일색고사리 우점개체군은 좀깨잎나무 우점개체군보다 전질소, 유기물함량, CEC, 치환성 Ca 등이 다소 많은 입지에 분포하고 있는데 반하여 좀깨잎나무 우점개체군은 일색고사리 우점개체군보다 pH가 다소 높은 입지에 분포하고 있었다.

홍도 상록활엽수림의 식생과 토양특성 (Vegetation and Soil Properties of Warm Temperate Evergreen Broad-Leaved Forest in Hongdo, Korea)

  • 이지혜;소순구;서강욱;김무열;송호경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54-61
    • /
    • 2010
  • 홍도 상록활엽수림을 식물사회학적 방법으로 군락을 분류하고, 방형구법을 사용하여 구배분석을 실시하였다. 식물사 회학적으로 군락을 분류한 결과 붉가시나무군락, 굴거리군락, 소사나무군락으로 분류되었다. 토양특성은 유기물, 전질소, 유효인산, 치환성 K, 치환성 Ca, 치환성 Mg, 양이온치환용량(CEC)의 함량이 6.49~13.71%, 0.19~0.46%, 26.19~10.63(mg/kg), 0.24~0.56($cmol^+$/kg), 0.68~3.19($cmol^+$/kg), 0.83~1.82($cmol^+$/kg), 9.74~22.55($cmol^+$/kg) 이며, pH는 4.04~4.14로 약산생토양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소사나무군락은 해발고가 가장 높고, 붉가시나무군학과 굴거리 군락은 다소 낮은 해발고에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붉가시나무군락이 굴거리군락보다 전질소, CEC, 치환성 Ca 함량이 다소 많은 입지에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Changes of Chemical Properties and Correlation under No-tillage Silt Loam Soil with Ridge Cultivation of Plastics Film Greenhouse Condition

  • Yang, Seung-Koo;Shin, Gil-Ho;Kim, Hee-Kon;Kim, Hyun-Woo;Choi, Kyung-Ju;Jung, Woo-Jin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8권3호
    • /
    • pp.170-179
    • /
    • 2015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sustainable agriculture of no-tillage technique to minimize tillage problems under rain interception green house condition including recycling of the ridge and the furrow for following cultivation in Korea. Chemical properties in soils were investigated at 3-years after cultivation at conventional tillage [CT; 2-years no-tillage (2009-2010) and 1-year (2011) tillage] and no-tillage [NT; 2009-2011] field. Soil pH maintained between 5.8 and 6.0 irrespectively tillage and no-tillage. Salinity (EC), contents of total nitrogen (TN), cation exchange capacity (CEC), and exchangeable cations (K, Ca and Mg) in soil were remarkably higher in CT than in NT treatment. Salinity (EC), contents of OM, TN, CEC, and exchangeable cations in top soil and subsoil indicated higher deviation in CT than NT treatment. Organic matters and inorganic matters in soil were positive (+) correlation. Suppression of pepper growth and increase of yield were observed in no-tillage soil compared with tillage soil.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no-tillage technique in crop culture could play an important role with respect to chemical properties in silt loam soil.

천연 제올라이트의 수환경 개선용 기능성 소재로의 활용에 관한 연구 (II): 국내산 제올라이트의 중금속 이온 흡착 특성 (Study of Utilization of Natural Zeolites as Functional Materials for Water Purification (II): Adsorption Properties of Heavy Metal Ions by Domestic Zeolites)

    • 한국광물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201-213
    • /
    • 2003
  • 각종 산업폐수에서 심각한 환경문제를 야기시킬 수 있는 중금속(Ag, Pb, Cr, Cu, Zn, Mn) 이온들에 대한 국내산 주요 제올라이트의 흡착 성향 및 능력을 광물 조성 및 특성 분석과 일련의 흡착실험을 통해서 광석 단위로 평가해 보았다. 국내산 제올라이트 광석의 중금속 흡착 반응은 기본적으로는 양이온 교환방식에 의존되지만, 높은 CEC 값이 반드시 보다 많은 중금속 흡착능력을 의미하는 것은 아닌 것으로 나타난다. 제올라이트 광석의 중금속 흡착성향은 광종별로 다소 차이를 보이지만, 일반적으로 흡착선호도에 있어서 $Ag\geq$Pb>Cr, $Cu\geq$Zn>Mn와 같은 흡착 서열을 이루는 것으로 밝혀졌다. 휼란다이트는 Cr을 보다 더 선호하는 성향을 보이는 반면에, 클리놉틸로라이트는 Cu를 더 선호하는 경향을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제올라이트의 광종에 관계없이 Ag와 Pb는 상대적으로 월등한 흡착선호도를 나타낸다. 특히 Ag는 Na에 의한 재용출 과정에서 전혀 유리되지 않을 정도로 제올라이트에 대한 높은 흡착성향을 보인다. 제올라이트 광석의 중금속 흡착능력은 광종별로 현격한 차이를 보인다: 페리어라이트>클리놉틸로라이트>휼란다이트. 이에 비해서 모오데나이트는 CEC 성향으로 보아 클리놉틸로라이트와 비슷한 수준인 것으로 해석된다. 제올라이트의 암모늄 이온에 대한 CEC 값과 중금속 이온 흡착능력은 엄밀히 잘 부합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난다. 또한 제올라이트 광석들의 중금속 흡착능력은 대개 제올라이트의 함량, 즉 광석의 품위에 의존되는 경향을 보이지만, 광석에 따라 그 일반적 추이에서 크게 벗어난 흡착 양상을 보이기도 한다. 이는 제올라이트의 선택적 흡착특성, 중합단층의 존재와 같은 구조적 결함이나 천연상 교환성 양이온의 조성(특히 흡착선호도가 높은 K의 함유도)에 의한 효과로 추정된다. 국내산 제올라이트를 중금속 흡착제거용으로 응용하는 데에는 부존자원의 활용성, 경제성 및 성능을 고려하여 클리놉틸로라이트 계열의 광석을 사용하는 것이 합리적일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