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egetation of Arundinaria munsuensis Population |
Jang, Hyung-Tae
(Daehan Nursery)
Lee, Ji-Hye (Dept. of Environment and Forest Resources, Graduate School,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Park, Chong-Min (Dept. of Forest Environmental Science, Chonbuk National University) Kim, Nam-Choon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Dankook University) Park, Won-Je (Guro District Office) Song, Ho-Kyung (Dept. of Environment and Forest Resources,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1 | Ter Braak, C. J. F. 1987. CANOCO a FORTRAN program for canonical community ordination by [partial] [detrended] [canonical] correspondence analysis, principal components analysis and redundancy analysis (version 2.1). TNO Institute of Applied Computer Science, Statistics Department, Wageningen, The Netherlands. |
2 | 차윤정․전승훈. 2002a. 전남 백운산 지역 낙엽활엽수에서 벌채 후 서로 다른 임분 유형에서 자라는 조릿대(Sasa borealis)의 형태 및 생리적 특성. 한국임학회지 91(3) : 396-404. |
3 | 차윤정․전승훈. 2002b. 벌채적지에서 조릿대 임분의 식생 구조 및 산림식생 발달에 미치는 조릿대의 영향.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6(2) : 149-159. |
4 | 龜山 章. 2003. 生態工學. Soft Science사. |
5 | 吉田 寬. 고정현. 2005. 일본에 있어서 파종공에 의한 법면녹화와 자연회복녹화.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지 8(2) : 76-89. |
6 | Braun-Blanquet, J. 1964. Pflanzensozioloe. 3. Auflage. Wien, New York. 865pp. |
7 | Dierssen, K. 1990. Einfuhrung in die Pflanzensoziologie. Akademie-Verlag Berlin. |
8 |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1971-2001. Meteorological an annual report.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
9 | Lee, Yong No. 1988. New taxa Korean flora (6).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28(1) : 25-39. |
10 | Muller-Dombois, D., and H. Ellenberg. 1974. Aims and methods of vegetation ecology. John Wiley and Sons, 547pp. |
11 | Bicklhaupt, D. H., and E. H. White. 1982. Labo- ratory manual for soil and plant tissue analysis. SUNY Coll. Envir. Sci. and For., Syracuse, N.Y. pp.67. |
12 | Binkley, D. 1994. The influence of tree species on forest soils-processes and patterns. In : Trees and Soil Workshop Proceedings, Lincoln University, Christchurch, New Zealand, 28 Feb.-2 Mar. 1994. |
13 | Black, C. A., D. D. Evans, L. E. Ensminger, J. L. White and F. E. Clark. 1965. Methods of Soil Analysis. Part I : Physical and Mineralogical Properties, Including Statistics of Measurement and Sampling. Am. Soc. Agr., Madison, Wl. pp.770. |
14 | Hill, M. O. 1979. DECORANA A FORTRAN Program for Detrended Correspondence Analysis and Reciprocal Averaging. Ithaca, N.Y. Cornell Univ. Press. |
15 | Hiura, T., J. Sano and Y. Konno. 1996. Age structure and response to fine-scale disturbance of Abies sachalinensis, Picea jezoensis, Picea glehnii, and Betula ermanii growing under the influence of a dwarf bamboo under story in northern Japan. Can. J. For. Res. 26 : 589-597. |
16 | Miller H. G., and R. L. Donahue. 1990. Soil. An introduction to soils and plant growth. Prentice-Hall. N.J. |
17 | Nakashizuka, T. 1998. Regeneration of beech (Fagus crenata) after simultaneous death of under growing dwarf bamboo (Sasa kurilensis). Ecol. Res. 3 : 21-35. |
18 | Peters, R., T. Nakashizuka and T. Ohkubo. 1992. Regeneration and development in beechdwarf bamboo forest in Japan-. For. Ecol. and Mang 55 : 35-50. DOI ScienceOn |
19 | Sanborn, P. 2001. Influence of broadleaf trees on soil chemical properties : A retrospective study in the sub-boreal spruce zone, British Columbia, Canada. Plant and Soil 236 : 75-82. DOI ScienceOn |
20 | Starr, J. L., Parkin, T. B., and Meisinger, J. J. 1995. Influence of sample size in chemical and physical soil measurements. Soil Science Society of America Journal 59 : 713-719. DOI ScienceOn |
21 | 김군보. 1997. 지리산 반야봉의 구상나무림에서 타감작용에 의한 치수성장 저해.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p.43. |
22 | 김윤식․고성철․오병윤. 1981. 한국식물의 분포도에 관한 연구(V). 참나무과의 분포도. 고려대학교 이공논집. pp.93-133. |
23 | 김은식. 1994. 환경변화와 고산지대 수목생장 쇠퇴현상과의 상관성 해석. 한국과학재단연구보고서. pp.88. |
24 | 김정언․임양재. 1989. 청량산 도립공원의 현존식생. 자연보존 68 : 32-48. |
25 | 김정언․임양재․양권열. 1989. 소백산 국립공원 남동사면의 현존식생. 중앙대학교 기초과학연구소 3 : 101-114. |
26 | 김지홍․양희문. 1996. 조릿대 밀생 천연활엽수림의 임분 구조에 관한 연구. 강원대학교 임과대학 연습림연구보고 16 : 26-41. |
27 | 송호경․전기성․김남춘․박관수․권혜진․이지혜. 2007. 백두대간 도로 절토비탈면의 녹화수종 선정. 환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지 10(3) : 52-59. |
28 | 김창환. 1992. 덕유산 국립공원 삼림식생의 구조와 2차 천이에 관한 연구. 원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p.156. |
29 | 박관수․이수욱. 1990. 삼림토양내의 유기물함량이 토양 입단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임학회지 79(4) : 367-375. |
30 | 송종석․송승달․박재홍․서봉보․정화숙․노광수․김인선. 1995. 서열법과 분류법에 의한 소백산 신갈나무림에 대한 식물사회학적 연구. 한국생태학회지 18 : 63-87. |
31 | 우보명․권태호․김남춘. 1993. 임도비탈면의 자연식생 침입과 효과적인 비탈면 녹화공법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임학회지 85(3) : 347-359. |
32 | 이미정. 2007. 우리나라 주요 참나무림의 군락구조분석 및 생태적 식재모델연구. 충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p.173. |
33 | 이우철․백원기․김문기․1994. 설악산 신갈나무림의 식물사회학적 연구. 한국생태학회지 17 : 319-331. |
34 | 이우철․임양재. 1978. 한반도 관속식물의 분포에 관한 연구. 한국식물분류학회지 8 : 1-33. |
35 | 이종석. 2010. 유망자생화훼 및 관상수목의 개발과 상업화연구. 서울여자대학교 교육과학기술부. pp.24. |
36 | 이창복. 1980. 대한식물도감. 향문사. |
37 | 임양재․김정언. 1992. 지리산의 식생, 중앙대학교 출판부. pp.467. |
38 | 임양재․백순달. 1985. 설악산의 식생. 중앙대학교 출판부. pp.200. |
39 | 장형태. 2011. 문수조릿대의 보존생물학적 연구. 단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pp.57. |
40 | 정진현․구교상․이충화․김춘식. 2002. 우리나라 산림토양의 지역별 이화학적 특성. 한국임학회지 91(6) : 694-700. |
41 | 정태현․이우철. 1965. 한국 삼림식물대 및 적지적수론. 성균관대학교 논문집 10 : 329-43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