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atch Efficiency

검색결과 116건 처리시간 0.037초

Efficiency of the Korean Bottom Survey Trawl for Snow Crab Chionoecetes opilio

  • Choi, Jung Hwa;Somerton, David A.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15권4호
    • /
    • pp.337-343
    • /
    • 2012
  • The Korean bottom trawl survey was conducted using a trawl designed by the National Fisheries Research and Development Institute (NFRDI). The capture efficiency and size selectivity of this trawl for snow crab Chionoecetes opilio was investigated by experimental tows. An auxiliary sampling net (underbag) was attached beneath the trawl net to capture crabs escaping under the trawl footrope. Experimental tows were made by the same vessel speed (3.4 knots) as in the bottom trawl survey, but toing time was shortened from the standard 30 min to 10 min to reduce possible trawl distortion due to the high catch rate of mud and debris in the underbag. In averaged over 17 tows conducted between 110-383 m depth, trawl efficiency of both males and females combined increased from about 10% at 20 mm (carapace width) to about 70% at 100 mm, with a width of 50% capture equal to 78 mm.

연안 낭장망어업의 어획성능과 소형어 혼획에 관한 연구 (A Study on Fishing Efficiency and By-Catch of Small Fish of Winged Stow Net Fishery)

  • 김주성;이주희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8권1호
    • /
    • pp.92-107
    • /
    • 1996
  • 1982~1989년간의 연안어업 자원조사 보고서, 1993년 연안어업의 자원이용 실태 평가 보고서와 설문조사한 자료 등을 이용하여 연안 낭장망어업의 어획성능과 소형어의 혼획실태 및 남획의 대처방안에 대하여 연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낭장망어업의 허가처분 실태는 1993년도에는 연안어업 873건, 구획어업 146건이었으나 1994년 수산업법이 개정된 이후에는 연안어업 757건, 구획어업 302건으로 연안어업 건수가 감소된 반면 구획어업 건수는 증가하였다. 2. 낭장망어업의 경영체당 순이익은 1991년도를 기준으로 할 때, 안강망과 해선망에 비교해서 훨씬 높은 수준에 있다. 3. 통당어획량은 1982년부터 1989년까지에서는 점차 증가하였으나, 1990년 이후에는 점차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4. 어종별 혼획율은 큰 변동이 없었으며, 지역별로는 서해안인 경기, 충남지역에서는 새우류 및 배도라치의 혼획율이 높았으며 남해안인 전북, 전남, 경남지역에서는 멸치와 배도라치의 혼획율이 높게 나타났다. 5. 소형어의 어종별 혼획율은 까나리, 멸치, 밴댕이, 배도라치 등은 각각 89.6%, 69.4%, 63.4%, 51.2%로 높게 나타났으나 새우류는 꽃새우 21.7%, 젓새우 18.8%로 적게 나타났다. 6. 월별 혼획율은 멸치, 밴댕이등은 4월과 8~11월에 높았으며 새우류는 4월과 9월에 높게 나타났다. 7. 낭장망어업에 의하여 어획되고 있는 소형어 남획의 대처 방안으로서는 소형어가 가장 많이 어획되는 시기인 4월과 8~11월에는 조업회수를 줄이는 방법, 소형어가 그물코를 통과할 수 있는 만큼의 큰 그물코를 사용하는 방법, 정착성 어류의 서식지가 아닌 조업구역을 설정하는 방법 등이 있다.

  • PDF

통발에 대한 낙지의 입망 행동과 어획성능 (Entering behavior and fishing efficiency of common octopus, Octopus minor to cylindric trap)

  • 박성욱;김현영;조삼광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42권1호
    • /
    • pp.11-18
    • /
    • 2006
  • The behavior patterns of common octopus, Octopus minor to a cylindric trap were examined in the water tank using a video camera in order to know entering mechanism to the trap and to improve it. Fishing efficiency by 2 kinds of traps(A: 3 entrances, B: 2 entrances) was investigated in the coastal area of Deugryang Bay from May to July, 2005. Common octopus tends to approach by swimming more than walking towards trap. When they approached to the trap, they showed much more behaviors that sate at the around than upper part of it. Approaching behaviors of common octopus was more vigorous at nighttime than daytime on the trap, they showed the most vigorous action between 2 am and 4 am of the day. The rate of staying 30 seconds over around the trap was 41.5% in the nighttime. CPUE(g/trap) of common octopus caught by A type trap was 21.4% higher than the B type trap but there was no difference on the significance level of 5% by the ANOVA. Catch rate of common octopus and by-catch species caught by the A type trap were 97.2%, three and 98.7%, two for B type trap, respectively.

Cumulative DEA/Malmquist Index 기법을 이용한 정부출연 연구기관 연구개발 효율성 변화 분석 (Analysis of the Change in R&D Efficiency in a Government-Funded Research Institute in Korea : Cumulative DEA/Malmquist Analysis Approach)

  • 이수철;이동호
    • 한국경영과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99-111
    • /
    • 2016
  • This paper presents a framework to analyze the change in the research and development (R&D) efficiency of government-funded research institutes (GRIs) in Korea. Cumulative data envelopment analysis/Malmquist index method is utilized to analyze the changes in R&D efficiency of GRIs. Data analysis of the R&D activities of 10 GRIs in Korea Research Council of Fundamental Science & Technology showed that the average R&D efficiency of the 10 GRIs improved from 2009 to 2013. However, the efficiency of a few GRIs decreased in terms of the catch-up index. The proposed framework can help management teams diagnose the current state of R&D activities and determine the efficacy of strategic actions by comparing efficiencies in the past.

태양광 발전 시스템별 직사광선에 의한 발전효율 분석 (Analysis on the power generation efficiency by the direct sunlight)

  • 이재덕;이상봉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8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전력기술부문
    • /
    • pp.89-91
    • /
    • 2008
  • The photovoltaic industry is growing at a tremendous speed. And it can be one of the key factors for success in the photovoltaic business to choose a suitable system, and setting it up right so as to get a maximum efficiency of the site. Therefore, it is regarded to be necessary to research the efficiency of systems to catch maximum photovoltaic energy. In this research, the expected power generation efficiencies are analysed, and compared with each other. This research considered the direct sunlight only, and the angle between the direction of solar panel and sunlight as factors to affect the power generation. Therefore, only rough analyses and estimations are found on 3 systems of fixed system, double-axes tracking system, and horizontal tracking system.

  • PDF

한국거문도 연안에 시설된 세라믹 어초 인접 어장에서의 어획량과 어획종 변동 (Variations of Catch and Fish Species in the Adjacent Fishing Ground of Ceramic Artificial Reefs Constructed on the Coastal Area of Geomun-do, Korea)

  • 박성욱;김대권;이정우;안희춘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40권4호
    • /
    • pp.295-303
    • /
    • 2004
  • 한국 거문도 연안에서 시설된 세라믹 어초의 시설 효과를 구명하기 위하여 2001년부터 2003년까지 어초 시설구, 자연초구 및 비시설구 어장에서 삼중자망에 의한 어획량과 어획종을 조사하였다. 어초 시설구에서의 폭당 어획량은 1,621.9g으로 자연초구와 비시설구에 비해 각각 67.9%, 333.3%많았는데, 이를 Tukey test로 검정한 결과, 어초 시설구와 자연초구에서는 유의차가 없었으며, 어초 시설구와 비시설구와는 유의차가 인정되었다.(p<0.05). 어초 시설구에서 어획된 월 평균 종수는 7.2종으로 자연초구에 비해 7.1% 적었던 반면 비시설구보다 97% 많았는데, ANOVA 분석결과 유의차가 없었다. 어초 시설구의 어획률은 11월에 최대, 5월에 최소치를 보였으며, 이러한 현상은 자연초구, 비시설구에서도 나타났다. 어초 시설구의 우점종은 참동, 말쥐치, 쥐치, 도다리, 거북복 등 암초성이 강한 저서어종이었고, 자연구와 비시설구에서는 저서성 및 회유성 어종이 혼재하였다.

제주도 주변해역 고등어 건착망의 연구 - 4 . 어획량의 특성과 어구의 성능 - (Studies on the Mackerel Pures Seine Operating in the Sea Area of Cheju Island - 4 . The Characteristics of Catch and Ability in Purse Seine -)

  • 박정식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27권4호
    • /
    • pp.247-254
    • /
    • 1991
  • 1982~88년 사이 한국건착망 어업의 망선 48척의 어황일보에 의한 조업해구, 어종별 어획량의 자료를 이용하여 5개 해역별로 어획량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이들 해역중 제주도 연안해역(CC)은 양망회수와 어획량은 많으나 양망당어획량이 타해역보다 적으므로, 조업중 어구의 형상에 대해 계측한 자료를 이용하여 저층류에 의한 망형변화에 대해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건착망의 평균 CPUE는 31.6톤인데 음 10~4월은 평균보다 높고, 음 5~9월은 낮았다. 2. 건착망 어장 5개 해역중 CC해역은 양망회수비 42.4%로서 가장 높고 CPUE는 25.7톤으로 낮았으며, 각 해역별 CPUE는 1%의 유의수준에서 차가 인정되었다. 3. 고등어 CPUE의 계절변동지수는 음 11~1월에 평균 136.3%였고, 음 5~10월에 평균 63.7%였다. 4. 저층류에 의한 역조시 선망권의 직경은 가장 짧았고, 이때 납줄에 의한 포위면적은 더욱 좁아지며 어군의 포위효율은 낮아졌다. 5. 저층류에 의한 납줄의 형상은, 순조의 경우 유향으로 장원형이 되었고, 역조의 경우 유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장원형이 되면서 포위면적이 급히 축소되었으며, 망의 변형은 역조의 경우 가장 심하였다.

  • PDF

우리나라 상호금융조합의 효율성 및 생산성 분석 (An Analysis on the Efficiency and Productivity for Major Mutual Financing Cooperatives in Korea)

  • 배세영;김희창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2호
    • /
    • pp.235-247
    • /
    • 2020
  • 우리나라 상호금융조합은 안정적이고 지속가능한 성장과 경쟁력 확보를 위해 효율성 및 생산성을 높이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2012-2018 기간 중 상호금융조합의 효율성과 생산성을 분석하고, 효율성 및 생산성 제고를 위한 시사점을 제시한다. 분석을 위해 기존의 연구에서 사용된 전통적 블랙박스 DEA(Data Envelopment Analysis) 모형에서 벗어나, 단계 및 동태 분석이 보다 세부적으로 가능한 Dynamic-Network Slacks-Based Measure(DNSBM) 모형을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상호금융기관의 평균 효율성은 매우 낮게 나타났으나, 2015년 이후 개선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우리나라 상호금융기관은 예수금과 대출금 확보 등 영업활동에서의 비효율 보다는 안정적인 이자수익의 확보 등 수익성 측면에서의 비효율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대부분의 상호금융기관의 비효율은 투입요소에서 보다는 산출요소에서 비효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넷째, Malmquist 생산성 분석결과, 생산성은 효율성 변화(catch-up)에서 후퇴, 기술변화(frontier-shift)에서 성장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상의 분석결과를 통해 우리나라 상호금융조합은 무수익여신의 관리, 이자수익을 위한 대출확보, 이자수익 외 다양한 수익기반 확보 등의 개선 노력이 필요하다.

An Efficiency Analysis of Fishery Output in Coastal Areas of China

  • Li, Chun-Jie;Jeon, Jun-Woo;Kim, Hyung-Ho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smart convergence
    • /
    • 제9권3호
    • /
    • pp.127-136
    • /
    • 202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easure the productivity of fisheries in China's coastal areas (including inland and marine fisheries) and to analyze the factors influencing the development of fishery economy in each province by comparing regional differences. The input indicators used for efficiency analysis are fish farms, ships and staff numbers, and the output indicators are fish catch and net income. In this paper, we used six years of data from 2013-2018 and DEA-Malmquist index was used to analyze the efficiency of coastal fisheries production in 11 areas of China's coast. According to the analysis from 2013 to 2018, the fishery output efficiency in China's coastal areas has improved to some extent, but most provinces and regions are characterized by technological progress, and the technological efficiency still needs to be further improved. The conclusion can provide reference for the development planning and policy measures of regional fishery industry in China's coastal areas.

중서부태평양수산위원회 보존관리조치가 우리나라 다랑어선망어업에 미친 영향과 향후 대응 방안 (Study on effects and strategies of Korean tuna purse seine fishery affected by conservation management measures of Western and Central Pacific Fisheries Commission)

  • 이미경;이성일;이춘우;김두남;구정은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52권3호
    • /
    • pp.197-208
    • /
    • 2016
  • The WCPFC CMMs related to tropical tunas have been strongly restricting fishing capacity and operating activities of main fisheries, especially purse seine fishery. In terms of changes in fishing trend by implementing relevant measures of FAD set, the number of FAD set by Korean purse seine fleet showed a decreasing pattern with the lowest level of FAD set proportion among major distant water fishing nations. With regards to the FAD closure, there was no significant change in fishing effort but a drop in catch, especially bigeye tuna during the period of FAD closure. Moreover, it showed closely similar trends between the number of FAD set and bigeye tuna catch. In terms of measures related to the high sea area including a ban on fishing on the HSP and limitation of fishing days on the high sea by flag state, proportions of catch and effort on the high sea had sharply declined after implementing those measures. As relevant measures are expected to be strengthened, it should pay attention to change of coastal nations policies and focus on improving fishing efficiency of unassociated school set with multi-pronged effor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