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aryophyllaceae

검색결과 55건 처리시간 0.025초

식물 분류단위 특이적인 칼슘대사의 생리생태학적 특성 (Ecophysiological characteristcs of Plant Taxon-Specific Calcium Metabolism)

  • 추연식;송승달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1권1호
    • /
    • pp.47-63
    • /
    • 1998
  • In order to compare species-specific calcium metabolism, we collected 127 species belonging to 40 different families grown on various habitats including saline, limestone, wetland during the 1996 vegetation period, and analyzed their inorganic ion contents. Plants investigated were divided into 5 groups according to their physiological properties: 1) Chenopodiaceae, Aizoaceae, Caryophyllaceae, Portulacaceae and Phytolaccaceae of Centrospermales and Polygonaceae (Polygonales had a little water-soluble $Ca^{2+}$ but contained high contents of insoluble $Ca^{2+}$ particularly as Ca-oxalate (Chenopodiaceae type), 2) Some plant species such as Rosaceae produced oxalate in amounts insufficient to precipitate all incoming $Ca^{2+}$ and thus contained a surplus of dissolved $Ca^{2+}$ (Rosaceae type), 3) The contents of water-soluble $Ca^{2+}$ in plant species of Crassulaceae. Plantaginaceae, Asclepiadaceae, and Zygophyllaceae were equal to or greater than those of K ($K/Ca{\leq}1$; Crassulaceae type), and 4) K/Ca ratios of Compositae were significantly fluctuated depending on species and soil $Ca^{2+}$ level of their habitats (Compositae type). 5) Certain monocots (Gramineae, Cyperaceae, Juncaceae), in contrast to the dicotyledonous plant families mentioned above, showed a very distinct type of calcium metabolism, that is, the K/Ca ratios of 8~10 were maintained indifferently in the species and their habitat types (Graminae type). These results plants within the same taxon have similar physiological aspects as weel as morphological attributes. To understand calcium metabolism of certain plant species, therefore, it is desirable to approach on the basis of physiological concept (calciotroph or calciophobe) rather than the ecological one (calcicole or calcifuge).

  • PDF

Nineteen new records of plant species including two new genera recorded from the Bhutan Himalayas

  • DORJI, Rinchen;PHUENTSHO, Phuentsho;DORJI, Kencho;TSHEWANG, Sangay;WANGDI, Phuntsho;TOBGAY, Kezang;GYELTSHEN, Nima;GYELTSHEN, Choki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52권3호
    • /
    • pp.173-183
    • /
    • 2022
  • Through the collection of herbarium specimens in Bhutan over the years, new plant species are discovered nearly annually. Thus, this paper reports two new genera and 19 new records of flowering plant species from Bhutan. The new genera include Eurycorymbus of the family Sapindaceae and Homalium of the family Salicaceae. The new records of plant species are Eranthemum erythrochilum (Acanthaceae), Hemidesmus indicus (Apocynaceae), Ilex umbellulata (Aquifoliaceae), Canarium strictum (Burseraceae), Ehretia acuminate (Boraginaceae), Vaccinium sikkimense (Ericaceae), Nothapodytes foetida (Icacinaceae), Machilus edulis (Lauraceae), Grewia asiatica (Malvaceae), Hibiscus fragrans (Malvaceae), Cipadessa baccifera (Meliaceae), Baccaurea javanica (Phyllanthaceae), Canthiumera glabra (Rubiaceae), Homalium napaulense (Salicaceae), Eurycorymbus cavaleriei (Sapindaceae), Acmella radicans (Asteraceae), Silene latifolia (Caryophyllaceae), Cleome rutidosperma (Cleomaceae), and Cuphea carthagenensis (Lythraceae). Morphological determinations of the genera and species were carried out at the National Herbarium (THIM) of the National Biodiversity Centre of Bhutan. Brief descriptions of the species, phenology, and photo plates are provided in this annotated checklist.

농촌하천 표토내 매토종자의 발아량 및 종구성 (Density and Species Composition of Soil Seed Bank in Rural Stream Topsoil)

  • 김세창;박봉주;김원태;윤용한;조용현;강희경;오현경;신경준;어양준;윤택승;장광은;곽무영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1권11호
    • /
    • pp.1419-1424
    • /
    • 2012
  •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germination characteristics of soil seed bank in rural stream topsoil using seedling emergence method in order to provide data for future ecological restoration of stream utilizing topsoil. There were 24 families, 52 genera, 61 taxa of soil seed bank flora found in topsoil from 6 rural streams. The most frequently found taxa were Compositae (12 taxa) followed by Gramineae (8 taxa), Caryophyllaceae (5 taxa), Cruciferae (4 taxa), Scrophulariaceae, Labiatae, Polygonaceae and Cyperaceae. Plant with the most number of germination was Stellaria aquatica followed by Erigeron annuus, Imperata cylindrica var. koenigii, Poa annua, Cyperus microiria and Veronica undulata. Naturalized plants found were Erigeron annuus, Rumex crispus, Oenothera odorata, Cerastium glomeratum, Bidens frondosa, Erigeron philadelphicus, etc.

경북지방(慶北地方)의 묘지(墓地)에 분포(分布)하는 잡초종(雜草種) (Weeds Identified in the Buryingplaces of the Kyungpook Probince)

  • 김길웅;신동현;권순태;박상조;이성중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64-172
    • /
    • 1993
  • 1992년(年) 6월(月)과 9월(月)에 경북지방(慶北地方)의 묘지에 분포하는 잡초(雜草)를 조사하여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묘지에서 조사된 잡초종(雜草種)은 53과 196종으로 그 중 일년생(一年生) 31종, 울년생(越年生) 38종, 다년생(多年生) 127종이었다. 2. 묘지에서 조사된 잡초종(雜草種)을 과별(科別)로 보면 국화과 34종, 벼과 27종, 콩과 17종, 장미과 10종, 백합 미나리아재비과 8종, 석죽 배추과 7종, 꿀풀 마디풀과 6종, 돌나물 사초과 4종 그리고 나머지 41과에서 1~3종의 잡초(雜草)가 조사되었다. 3. 경북지방(慶北地方)의 묘지에서 우점(優占)하는 초종은 띠, 쑥, 제비꽃, 개망초, 망초, 산딸기, 꿀풀 등이었다.

  • PDF

뿌리를 통하여 흡수된 Paraquat에 대한 잡초종(雜草種)들의 반응(反應) (Study on the Response of Weed Species to Paraquat Absorbed Through Root System)

  • 강병화;심상인;이상각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1-12
    • /
    • 1995
  • 제초제(除草劑) paraquat는 대표적(代表的)인 비선택성(非選擇性) 제초제(除草劑)로서 식물체(植物體)내에서 광합성(光合成)의 전자(電子)흐름을 방해 하여 독성(毒性)을 나타낸다. 본(本) 실험(實驗)은 paraquat를 뿌리를 통해 흡수시킨 후 잡초종(雜草種)들의 반응(反應)을 통하여 조사하였다. 1. Paraquat에 대한 저항성(抵抗性)은 식물종의 생태적(生態的) 특성(特性)과 깊은 관계가 있었다. 일반적으로 일년생(一年生)보다는 다년생(多年生)이나 월년생식물(越年生植物)의 저항성(抵抗性)이 크게 나타났다. 2. 꿀풀과와 석죽과 십자화과의 식물들이 비교적 paraquat에 저항성(抵抗性)을 보였으며, 반면에 화본과의 식물들이 비교적 감수성(感受性)을 나타내었다. 3 꿀풀과의 쥐깨풀은 강한 저항성을 나타냈고, 대부분의 종(種)이 감수성(感受性)을 보인 화본과와 국화과에 있어서도 참새피와 지칭게 등은 강한 저항성(抵抗性)을 나타냈다. 4. Paraquat는 발아(發芽)에도 영향을 주였으나, 발아(發芽)시기의 반응(反應)과 성식물(成植物)의 반응(反應)과는 일치하지 않는 경향이었다.

  • PDF

한국 미기록 귀화식물인 노랑도깨비바늘(Bidens polylepis S.F.Blake)과 비누풀(Saponaria officinalis L.) (Newly Recorded Naturalized Species in Korea, Bidens polylepis and Saponaria officinalis)

  • 이유미;이혜정;박수현;최형선;오승환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240-246
    • /
    • 2010
  • 인천광역시(영종도)와 울산광역시에서 2종류의 미기록 귀화식물을 발견하였다. Bidens polylepis S. F. Blake는 노랑도깨비바늘(신칭)로 인천광역시 운북동 운북교 부근과 울산광역시 삼남면 취서산, 상북면 샘물산장 부근에 많은 개체가 넓은 지역에 분포하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동일한 속의 유사분류군들과는 설상화(ray-flower)의 크기가 큰 특징으로 구분되고, 노랑도깨비바늘속이며 설상화가 노란색인 특징에 따라 국명을 신칭 하였다. Saponaria officinalis L.는 비누풀로 인천광역시 운서동 젓개마을의 두 장소에서 귀화된 것을 확인하였다. 비누풀의 암술대는 2개, 꽃받침은 깊게 갈라지지 않으며, 잎 기부에는 부속체가 있는 특징으로 석죽과의 다른 분류군들과 구분된다.

잔디육묘 이식재배법에 관한 연구 : Ⅴ. 월년생 잡초의 특성 (Study on Transplanting Cultural Methods of Turf Seedling : V. Growth Characteristics of Biennial Weeds in Lawn)

  • 이명선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23-127
    • /
    • 2009
  • 실생묘 이앙으로 새로이 조성된 잔디밭에 발생되는 월년생 잡초의 종류 및 그 방제를 위한 특성을 조사한바 그 요지는 다음과 같다. 1. 발생잡초 종은 십자화과 및 국화과가 각각 29.4%이고, 석죽과 23.5%, 벼과 11.8%,꿀풀과 5.9%의 순위였다. 2. 발생 시기별로는 10월에 47.1%, 11월에 41.2%, 9월과 12월에 각각 5.9%를 나타내는 순위를 보인다. 3. 개화시기별로는 5월에 58.8%, 4월 23.5%, 3월 11.8%, 6월 5.9% 순위를 보였다. 4. 초장별로는 20-40 cm에 속하는 것이 47.1%, 20 cm 미만이 23.5%, 40-60 cm에 속하는 것이 17,6%, 60cm이상에 해당되는 것이 11.8%를 나타나고 있었다.

마니산(강화군)의 관속식물상 (Floristic Study of Manisan (Ganghwa-gun) in Korea)

  • 김중현;박성애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21권6호
    • /
    • pp.27-53
    • /
    • 2018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flora of Manisan (Ganghwa-gun) from April of 2017 to August of 2018. The vascular plants identified during the 12 round field surveys were a to total of 508 taxa: 107 families, 306 genera, 456 species, 7 subspecies, 43 varieties, 1 form, and 2 hybrids. The largest families were as follows; Asteraceae (66 taxa), Poaceae (59 taxa), Fabaceae (25 taxa), Cyperaceae (25 taxa), Rosaceae (22 taxa), Liliaceae (20 taxa), Polygonaceae (17 taxa), Lamiaceae (14 taxa), Ranunculaceae (13 taxa), and Caryophyllaceae (13 taxa). Among these plants, 169 taxa were recoeded for the first time from this region. The six taxa of Korean endemic plants including Clematis brachyura Maxim., Viola seoulensis Nakai, Carex brevispicula G. H. Nam & G. Y. Chung, C. erythrobasis H. $L{\acute{e}}v$. & Vaniot, Hemerocallis hakuunensis Nakai, and Lycoris flavescens M. Y. Kim & S. T. Lee were found in this region. The vascular plants on the red list according to IUCN evaluation basis were found to be two taxa: Near Threatened (NT) species of Wikstroemia trichotoma (Thunb.) Makino, and Not Evaluate (NE) species of Tylophora floribunda Miq., respectively. The floristic regional indicator plants found in this area were 26 taxa comprising three taxa of degree IV, four taxa of degree III, seven taxa of degree II, and 12 taxa of degree I. In addition, the alien plants were identified as 49 taxa and the percentage of naturalized index (NI) was 9.7%, and urbanization index (UI) was 15.3%, respectively.

환경오염(環境汚染) 진단(診斷) 지표식물(指標植物)로서 잡초종(雜草種)의 활용(活用)에 관(關)한 연구(硏究) (Application of Weed Species as the Diagnostic Indicator Plants of Environmental Pollution)

  • 강병화;심상인;이상각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46-69
    • /
    • 1996
  • 본(本) 실험(實驗)은 오염원(汚染源)에 대한 식물종(植物種) 간(間)의 반응(反應) 차이(差異)를 파악(把握)함으로서 식물(植物)을 이용(利用)한 환경오염(環境汚染)의 모니터링 방법(方法) 확립(確立)을 위한 기초(基礎) 자료(資料)를 얻고자 실시(實施)하였다. 독성산소(毒性酸素)의 유발원(誘發源)으로 paraquat, 질소독성(窒素毒性)의 유발원(誘發源)으로 ammonium, 그리고 중금속(重金屬) 오염원(汚染源) cadmium을 처리(處理)하여 식물종(植物種)의 반응(反應) 조사(調査)하였다. 꿀풀과(科)와 십자화과(十字花科), 석죽과(科) 식물(植物)들은 paraquat에 대한 내성(耐性)을 보였으며 화본과(禾本科)와 국화과(菊花科)의 식물(植物)들은 비교적(比較的) 감수성(感受性)을 나타냈다. 꿀풀과(科)의 쥐깨풀, 십자화과(十字花科)의 장대나물과 개갓냉이, 국화과(菊花科)의 지칭개와 미국쑥부쟁이, 화본과(禾本科)의 참새피는 특히 강(强)한 내성(耐性)을 보인 종(種)이었다. Paraquat에 대한 내성(耐性)은 월동(越冬) 능력(能力)과 관련이 있었으며, 일년생(一年生)보다는 월년생(越年生) 식물(植物)이나 다년생(多年生) 식물(植物)이 강(强)한 내성(耐性)을 나타내었다. Ammonium에 대한 반응(反應)을 보면, 화본과(禾本科)의 식물(植物)들이 내성(耐性)을 보였으며 콩과(科)나 석죽과(科)의 식물(植物)들이 감수성(感受性)을 나타내었다. 내성(耐性)을 보인 식물(植物)은 돌피, 미국개기장, 금강아지풀, 명아주, 까마중 등이었으며 쥐깨풀, 벼룩이자리, 들깨 등은 감수성(感受性)을 나타냈다. Cadmium에 대한 반응(反應)은 바랭이, 녹두, 개비름 등이 강(强)한 내성(耐性)을 보였고, 별꽃아재비, 질경이, 미국돼지풀, 참새피 등은 감수성(感受性)을 나타내었다. 특히 콩과 식물(植物)에서 감수성(感受性)이 크게 나타났다. 오염원(汚染源)이 발아율(發芽率)에 주는 영향(影響)은 성식물(成植物)에 주는 피해(被害)와는 큰 관련(關聯)이 있지는 않았다. 특히 오염원(汚染源)의 피해는 유아(幼芽)보다 유근(幼根)에 있어서 심하였다.

  • PDF

한국산 개별꽃속의 분류학적 연구 (A taxonomic study of the genus Pseudostellaria in Korea)

  • 조현;김무열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9권2호
    • /
    • pp.145-178
    • /
    • 2019
  • 본 연구는 한국에 분포하는 개별꽃속의 종간 유연관계를 형태학적인 측면에서 재검토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보현개별꽃(Pseudostellaria ${\times}$ bohyeonsanensis)과 설악개별꽃(P. ${\times}$ seoraksanensis)은 꽃받침 가장자리와 중륵에 털이 있고 꽃잎은 5장이며 개화기 이후 줄기가 덩굴성으로 되는 특징을 덩굴개별꽃(P. davidii)과 공유하나, 보현개별꽃은 소화경이 길고, 설악개별꽃은 소화경의 길이가 짧아 구별되며 둘다 종자 결실을 못한다. 태백개별꽃(P. okamotoi var. longipedicellata)은 결실기 소화경의 길이와 줄기 기부까지 굽는 특징, 폐쇄 소화경의 길이가 길다는 점에서 지리산개별꽃과 유사하나 괴경이 가는 방추형이고, 소화경에 털이 없고, 꽃잎이 5-9장이라는 점에서 구별된다. 가거개별꽃(P. palibiniana var. gageodoensis)은 꽃의 수와 위치, 꽃잎의 수, 소화경의 길이 등에서 큰개별꽃과 유사하나 소화경에 1-2줄의 털이 있고, 꽃받침 길이와 너비, 꽃잎의 길이와 너비가 더 크고, 개화기에 줄기 기부에서 가지가 분지되는 특징을 보인다. 비슬개별꽃(P. ${\times}$ biseulsanensis)은 태백개별꽃과 개별꽃의 중간형으로 괴경과 연결된 지상부 개체가 하나이고 정단부에 꽃이 한개만 피며, 꽃잎은 요두 또는 결각상이며, 소화경에 1줄의 털이 있고, 종자가 결실되지 않는다. 정영개별꽃(P. ${\times}$ segeolsanensis)은 지리산개별꽃과 큰개별꽃의 중간형으로 괴경과 연결된 지상부 개체가 다수이고, 정단부에 꽃이 한개 피며, 소화경에 털이 1-2줄 있고, 종자 결실된다는 점에서 비슬개별꽃과 구별된다. 따라서 한국산 개별꽃속 식물은 이번 연구를 통해 8종 4교잡종 2변종 5품종으로 정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