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areer-Related Behavior

검색결과 103건 처리시간 0.019초

사회복지학 전공 대학생의 사회복지 자기효능감과 진로결정수준 및 진로준비행동과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Social Work Self-efficacy and Career Decision Level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Social Welfare)

  • 정진희;원미순;이수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7호
    • /
    • pp.228-237
    • /
    • 2013
  • 본 연구는 사회복지학 전공 대학생의 진로결정수준과 진로준비행동이 어떠한지를 살펴보고, 사회복지 자기효능감과 진로결정수준 및 진로준비행동과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검토함으로써 사회복지학 전공 대학생의 진로상담 및 진로지도에 도움을 주고자 하는 목적에서 수행되었다. 이 연구를 위해서 5개 대학의 사회복지학 전공 대학생 502명을 대상으로 사회복지 자기효능감, 진로결정수준, 진로준비행동을 측정하였으며 자료처리는 빈도분석,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 등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첫째, 사회복지학 전공 대학생의 진로결정수준과 진로준비행동의 수준은 보통보다 약간 낮은 수준을 보였다. 둘째, 사회복지 자기효능감과 진로결정수준과는 별다른 유의한 영향을 보이지 않았으나 진로준비행동과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사회복지 자기효능감의 세 하위변인 중 클라이언트 지지 효능감은 진로준비행동과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사회복지 자기효능감은 행동적인 측면인 진로준비행동과 관계가 깊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STEM 전공 대학생의 진로동기, 진로탐색행동에 대한 인식 차이와 영향요인 (Differences in Career Motivation and Career Exploration Behavior Among STEM Students and Their Affecting Factors)

  • 황순희;조성희
    • 공학교육연구
    • /
    • 제27권1호
    • /
    • pp.13-31
    • /
    • 2024
  • In recent times, STEM graduates are confronting a decline in employment rates influenced by economic, social, cultural, and policy-related factors. Career decisions are closely linked to education, college experiences, and university settings. To comprehend the reasons behind the decline in STEM employment, it is essential to explore the relationships among these factors. This study aims to comprehensively examine differences in career motivation and career exploration behavior among 2,393 STEM undergraduates in Korea. Additionally, factors affecting career motivation and career exploration behavior were investigated. The findings indicate significant differences in perceived career motivation and career exploration behavior based on individual backgrounds and university characteristics. And analyzing the data, 37.8% of career motivation is explained by contextual supports, career barriers, individual backgrounds (grade, GPA), university characteristics (major fields, location), field to enter after graduation, and timing of job preparation. For career exploration behavior, 30.1% is explained by contextual supports, career barriers, individual backgrounds (gender, grade, GPA), university characteristics (major field, location), field to enter after graduation, and timing of job preparation. Practical implications underscore the need for tailored educational and policy support, considering individual backgrounds and university characteristics, to effectively address challenges faced by STEM graduates in the evolving employment landscape.

대학생의 진로타협과 진로관련 변인들의 관계 탐색 (A Search of Relationship of Career Compromise and Career Related Variables of University Students)

  • 남광석;문은미
    • 직업교육연구
    • /
    • 제37권5호
    • /
    • pp.79-100
    • /
    • 2018
  • 본 연구는 대학생의 진로타협이 진로관련 변인들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학생 278명을 대상으로 진로타협,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결과기대, 직업희망, 진로동기, 진로관여행동의 수준을 측정하는 설문을 실시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2.0을 활용하여 신뢰도 분석, 기초 통계 분석, 상관 분석, 회귀 분석을 실시하였고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결과기대 및 직업희망이 높을수록 진로타협 수준은 낮아졌으며, 그 상대적 영향력은 직업희망이 가장 컸다. 또한 진로타협 수준이 높을수록 진로동기와 진로관여행동이 모두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우리나라 대학생들의 진로타협은 진로관련 요인들과 부정적인 영향을 주고받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진로상담자는 진로지도 및 상담 시 대학생들이 진로타협 상황에 효율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도울 필요가 있다는 점을 밝혔다는 데 의의가 있다.

간호학과 학생의 진로준비행동 영향요인: 체계적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Factors influencing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nursing students: A systemic review and meta-analysis)

  • 김선녀;방미선;신해윤;손수경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225-237
    • /
    • 2020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ystematically review and conduct meta-analysis on factors affecting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Korean nursing students. Methods: Related articles published in Korean and English were collected based on search terms and converted into a numerical database. Data extraction, quality assessment and analysis including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were completed. Results: The review included 27 studies. There were 25 factors influencing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Korean nursing students. Factors were categorized into four sub-factors: personal, contextual, cognitive-emotional, and goal-related. In the meta-analysis of 27 articles the total effect size (ESr) was .34. The effect sizes of the four sub-factors were .37 for individual factors, .25 for situation factors, .34 for cognitive and emotional factors, and .41 for target factors. The main factors were .53 for career-related efficacy, .43 for self-leadership, and .43 for career decision level. Conclusion: Nursing students with high career-related efficacy and self-leadership are more likely to demonstrat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Based on these results, educational institutions for nursing students must improve students' self-leadership and career effectiveness through education so that they can set career goals.

근속연수, 구조적 경력정체 및 대인 일탈행동간의 관계: 간호사를 대상으로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Tenure, Structural Career Plateau, and Interpersonal Deviant Behavior: Focusing on Nurses)

  • 박오원
    • 아태비즈니스연구
    • /
    • 제14권3호
    • /
    • pp.103-114
    • /
    • 2023
  •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tenure, structural career plateau, and interpersonal deviant behavior for nurses. Moreover, this study also investigated moderating role of proactivity on the effect of organizational tenure on structural career plateau. Design/methodology/approach - This study utilized 448 nurses working at three different types of hospital.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EFA) and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to verify the hypotheses. Findings - The results showed that organizational tenure is positively related to structural career plateau and structural career plateau is positively related to interpersonal deviant behavior. However, moderating effect of proactivity is not significant. Research implications or Originality - Nurses are critical to the competitiveness of hospital organizations considering the proportion of manpower and the role of nurses. One of the important factors that decrease the motivation of nurses is structural career plateau. This study analyzed the antecedent and consequence of structural career plateau. In addition, practical implications for resolving the problem of structural career plateau were provided.

대학생의 비교과 만족도,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 of college students' Extracurricular Curriculum satisfaction and career decision self-ef icacy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 권영애;이효숙
    •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20권1호
    • /
    • pp.99-107
    • /
    • 2024
  •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of 330 students participating in the extracurricular curriculum program at K University in Chungcheongbuk-do to analyze the impact of extracurricular satisfaction and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e main results and implications are as follows. First, the positive perception of participation in extracurricular curriculum programs had a significant impact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Second, high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was related to activ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It is necessary to provide continuous career program support, provide counseling tailored to the needs of each student, and establish a systematic career diagnosis system. This study is limited to extracurricular curriculum program participants and has limitations in generalization. Comparative and analytical research is needed by measuring the performance of various educational programs conducted in universities. It is necessary to support the development and operation of various extracurricular curriculum programs that reflect the needs of society and students and to prepare continuous quality management measures.

진로장벽탐색 집단상담이 여대생의 진로장벽 인식과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The Career Barriers Exploration Counseling Program」 on the Perceived Career Barriers and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Women's College Students)

  • 김종운;박성실
    • 직업교육연구
    • /
    • 제29권3호
    • /
    • pp.209-230
    • /
    • 2010
  • 본 연구는 여대생들을 대상으로 진로장벽탐색 집단 상담을 실시하여 여대생들의 진로장벽인식을 완화하고 진로준비행동을 높이기 위해 진로장벽 집단상담의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프로그램은 국내에서 연구된 진로상담 프로그램들을 참고하고, 한국 여성개발원 및 직업능력 개발원의 진로자료를 참고하여 개발되었다. 또한 진로장벽과 진로준비행동의 관련 변인들을 연구한 선행연구 및 진로상담 관련 문헌들을 참고하였는데, 무엇보다 Gottfredson(1981)의 진로발달이론을 참고하여 프로그램의 내용을 재구성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각각 여대생 10명을 대상으로 사전검사를 실시하였으며 프로그램 종료 직후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를 분석하기 위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후 검사 점수에 대한 차이를 확인하는 공분산 분석(ANCOVA)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실험 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진로장벽 인식 전체에서 사후 검사 점수가 현저히 낮은 것을 볼 수 있었고, 진로준비행동은 통제집단에 비해 실험 집단이 사후 검사 점수가 현저히 높은 것을 볼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실시된 진로장벽탐색 집단상담은 여대생의 진로장벽수준을 완화하고, 진로준비행동 수준은 높이는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간호대학생들의 간호전문직관 관련요인에서 진로준비행동의 매개효과 (Mediating Effect of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n Nursing Professionalism Related Factors of Nursing Students)

  • 박희숙;최동숙;김효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5호
    • /
    • pp.93-101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들의 간호전문직관 관련요인에서 진로준비행동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실시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대상자는 경북지역에 소재한 대학의 간호학과 학생 1, 2, 3, 4학년 265명이며,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2018년 5월 7일부터 5월 25일까지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2.0 Program을 이용하여 기술통계(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를 실시하고,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regression analysis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진로정체감과 진로태도성숙은 간호전문직관과의 영향관계에서 진로준비행동이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간호전문직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진로태도성숙(${\beta}=.38$), 진로정체감(${\beta}=.17$), 진로준비행동(${\beta}=.14$)이었으며, 이들 변수들의 설명력은 19%로 나타났다. 따라서 간호대학생들의 간호전문직관을 높이기 위해서는 매개효과인 진로준비행동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육방법의 개발 및 적용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그와 더불어 진로와 관련된 구체적이고 실천적 행동인 진로준비행동이 진로관련 다른 변인들에 대해서 어떠한 영향을 받고,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한 구조적 관계에 대한 후속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체육계열 대학생의 전공만족과 진로준비행동 및 진로의식성숙도의 관계 (The Relationship among Major Satisfacti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Career Sense Maturity of Students of Department in Physical Education)

  • 남광우;조건상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1호
    • /
    • pp.497-507
    • /
    • 2017
  • 이 연구는 체육계열 대학생의 전공만족과 진로준비행동 및 진로의식성숙도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구명하는 데 목적이 있었다. 연구목적에 따라 이 연구에서는 2016년 체육계열 대학생을 모집단으로 편의표집방법을 활용하여 총 221명의 표본을 수집하고, 이 자료를 분석에 이용하였다. 분석절차는 통계프로그램인 SPSS Statistics v21과 SPSS Amos v21을 활용하여 빈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상관관계분석, 구조방정식모형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체육계열 대학생의 전공만족은 진로준비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체육계열 대학생의 전공만족은 진로의식성숙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체육계열 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은 진로의식성숙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R&D인력의 경력정체와 조직몰입의 관계 : 연령과 창의적 행동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The Career Plateau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R&D Professionals : Focusing on the Moderating Role of Age and Creative Behavior)

  • 차종석;박오원
    • 기술혁신연구
    • /
    • 제26권4호
    • /
    • pp.122-145
    • /
    • 2018
  • 본 연구는 R&D인력이 경험하는 경력정체를 구조적 정체와 직무내용 정체로 구분하여 조직몰입과 관계를 규명하면서, 추가적으로 개인의 연령 및 창의적 행동특성이 경력정체와 조직몰입의 관계에 미치는 조절효과를 분석하는데 초점을 두고 있다. 국내 정부출연 연구기관에 근무하는 418명의 R&D 인력을 대상으로 실증 분석한 결과, 첫째 구조적 정체와 조직몰입의 관계는 연령에 따라서 차이를 보인다. 즉, 주니어 R&D인력일수록 구조적 정체가 조직몰입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강하게 나타났다. 둘째 직무내용 정체는 조직몰입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개인의 창의적 행동특성에 따라서 차이를 보인다. 즉, 창의적 행동특성이 강한 R&D인력의 경우에 직무내용 정체와 조직몰입의 부정적 관계가 더욱 강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R&D인력의 경력정체 이슈에 관한 이론적인 함의 및 실무적 시사점에 대해 논의하였으며, 끝으로 연구의 한계점 및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