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areer self-efficacy

검색결과 389건 처리시간 0.022초

인문계와 실업계 여고생들의 피임지식과 피임 자기효능감에 관한 비교 (Comparative study on the contraceptive knowledge, self-efficacy according to the career tract of high school female students)

  • 이인숙;조주연
    • 한국학교보건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75-88
    • /
    • 2008
  •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contraceptive knowledge, self-efficacy according to the career tract of high school female students. Methods: This study used a cross-sectional, correlational design using an exploratory survey methodology through self-reported questionnaires. The questionnaires were administered to 369 high school female students using a convenience sampling. Results: In the experience of sexual behaviors(grasping hand, hugging, petting, deep petting, sexual intercourse), technical female high school students showed more experiences than female high school students. In the contraceptive knowledge, the score of high school students' contraceptive knowledge was higher than technical female high school students. In the contraceptive self-efficacy, there was not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echnical female high school students and female high school students. In the female high school student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contraceptive knowledge according to grade, academic record, sex education experience a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contraceptive self-efficacy according to grade, academic record, parents' attitude about acquaintance of the opposite sex. In the technical female high school students, there was not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ontraceptive knowledge according to demographic, sexual behavior, and contraceptive related characteristics bu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contraceptive self-efficacy according to grade, parents' attitude about acquaintance of the opposite sex, contraceptive education experience at school. There was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contraceptive knowledge and contraceptive self-efficacy. Conclusion: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identify the prevalence rate of contraceptive attitude using more reliable variables. A sex education program should be developed for promoting use of contraceptive measure and formation of positive contraceptive attitude among high school female students.

일부 치위생과 학생의 진로결정효능감, 학습몰입, 학업성취도와 학과적응도와의 관계 (The relationship among Career Decision Efficacy, Learning Flow, Academic Achievement, and Department adjustment in Some Dental Hygiene Students)

  • 최규일;이다현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1호
    • /
    • pp.299-305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치위생과 학생들의 학과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았다. 주요 변인으로 진로 결정 효능감, 학습몰입, 자기 주도 학습 능력, 메타인지, 성적을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은 참여의사를 밝힌 200명의 학생들이 자기기입식 설문 조사를 실시하고, 최종 설문지 181부를 SPSS 18.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는 진로 결정 효능감, 학습몰입, 성적 세 가지 요인이 학과적응, 전공만족도, 전공확신도, 전공애착도에 영향을 미쳤으며, 진로 결정 효능감, 성적 두 가지 요인이 전공비전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부 치위생과 학생의 학과 적응을 돕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학업성취도 향상 및 학습몰입이 일어날 수 있는 학습법, 교육환경과 같은 지원체계의 마련이 필요하다. 또한 진로 결정 효능감을 높이기 위한 진로 및 취업 관련 교육적 지원도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간호대학생의 전공선택 동기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전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Nursing Students' Major Selection Motivation on their Career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and Major Satisfaction)

  • 허은주;김은정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1권12호
    • /
    • pp.59-69
    • /
    • 2021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전공선택 동기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전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경남 J시의 일개 대학의 간호대학생 3-4학년 3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다. 최종 285부를 SPSS 25.0 프로그램으로 분석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은 본인 성격과 학교만족도가 유의한 차이가 있으며, 전공만족도는 학교만족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전공선택 동기,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전공만족도는 모두 유의한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전공선택 동기의 내재적 동기와 외재적 동기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전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모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전공만족도의 하위요소를 구분하여 전공선택 동기의 영향을 검정한 결과, 교과만족과 인식만족은 내재적 동기와 외재적 동기 모두 유의하였으나 관계만족은 내재적 동기만 유의하였다. 따라서 간호대학생의 전공선택 동기를 높여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전공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전략이 필요할 것이다.

벤처창업진로상담 프로그램의 효과분석 (Analysis of Venture Business Career Counseling Program Effectiveness)

  • 정운경;변상해
    • 벤처창업연구
    • /
    • 제9권4호
    • /
    • pp.111-118
    • /
    • 2014
  • 본 연구는 벤처분야에 취업 또는 창업에 대해 고민하는 대학생들에게 진로상담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변화를 측정함으로써 진로상담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진로성숙, 진로자기효능감, 진로장벽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실시하였다. A에 소재한 대학 재학생들 중에서 60명을 선정한 후 각각 30명씩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구분하였다. 격주 1회 총 8회기의 진로상담 프로그램을 실시하였으며, 본 연구에서 나타난 주요 결과를 요약하여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벤처창업진로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한 대상자들은 참여하지 않은 이들보다 진로성숙이 향상되었다. 따라서 진로상담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진로성숙 향상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둘째, 벤처창업진로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한 대상자들은 참여하지 않은 이들보다 진로자기효능감이 향상되었다. 따라서 진로상담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진로자기효능감 향상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셋째, 벤처창업진로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한 대상자들은 참여하지 않은 이들보다 진로장벽이 감소되었다. 따라서 진로상담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진로장벽 감소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 PDF

고등학생들을 위한 이공계 진로동기 검사도구 개발 및 타당화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Instrument for Measuring High School Students' STEM Career Motivation)

  • 신세인;하민수;이준기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75-86
    • /
    • 2016
  • 이공계 진로동기는 지속가능한 과학기술 인력의 양성에 있어 핵심적 역할을 하며, 과학학습동기에도 큰 영향을 미친다고 알려져 왔다. 이 연구의 목적은 학생들의 이공계 진로동기를 측정할 수 있는 검사 도구를 개발 및 타당화하는데 있다. 검사도구 개발의 첫 번째 절차로 사회인지진로이론(SCCT)에 기초하여 고등학생들의 이공계 진로동기의 7개의 구인인 교육, 직업가치, 이공계 교과 자아효능감, 이공계진로 자아효능감, 이공계 진로에 대한 흥미, 부모의지지, 이공계 진로 동기로 설정하였다. 각 구인들을 측정할 수 있는 예비문항의 개발 후 고등학교 1학년 학생 767명에게 투입하였다. 학생들의 응답 자료를 바탕으로 라쉬모델 분석, 탐색적 요인분석과 구조방정식 분석을 바탕으로 한 확인적 요인분석과 다중집단 요인분석을 수행하였다. 결과적으로 Messick(1995)이 제안한 6가지 측면의 타당도 중 내용 타당도, 실제적 타당도, 구조적 타당도, 일반화 타당도가 검증되었다. 또한 구조방정식 분석을 통해 이공계 진로동기의 구인간의 연결 구조를 확인하였다. 개발된 이공계 진로동기 검사도구는 고등학교 1학년 직업진로지도에 유용한 도구로 사용될 것으로 전망된다.

임상간호사의 전문직 자아개념, 자기효능감과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rofessional Self-Concept, Self-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in Clinical Nurses)

  • 이승희
    • 성인간호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10-20
    • /
    • 2008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s of professional self-concept and self-efficacy on job satisfaction an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among them in clinical nurses. Methods: The subjects were nurses who were working for three general hospitals in Seoul and Gangwon province for two month starting in July 2007. Three questionnaires were used. One was job satisfaction and the others were professional self-concept and self-efficacy. The data were analyzed by SPSS/PC ver 12.0. Results: The mean score of job satisfaction was 2.99 (range: 1-5). The mean score of professional self-concept and self-efficacy were 2.71(range: 1-4) and 3.49(range: 1-5), respectively. Differences of job satisfaction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differences in age, marital status, level of education, clinical career, annual salary, and shift pattern. With respect to job satisfaction, the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were .43 for professional self-concept and .29 for self-efficacy. The multiple regression revealed that the significant predictor of job satisfaction was professional self-concept. Conclusion: This study showed that a strong professional self-concept improves job satisfaction, so professional self-concept improvement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to improve job satisfaction and to improve the quality of nursing.

  • PDF

공대 여학생의 전공 관련 심리적 특성의 탐색 (Examination of Psychological Correlates of Woman Engineering Students)

  • 정윤경;오명숙;김지현
    • 공학교육연구
    • /
    • 제11권4호
    • /
    • pp.34-45
    • /
    • 2008
  • 국내 공과대학 여자 졸업생의 전공분야 진출이 낮은 원인을 탐색하기 위하여 공과대학 여학생의 전공진로 장벽과 관련된 심리적 특성을 파악하고 이를 남학생과 비교하였다. 전국 8개 대학 1,968명의 남 여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전공에 대한 가치와 기대, 열망, 만족도 및 자기 효능감을 조사하였고 이러한 심리적 특성들이 대학 경험을 통해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조사하기 위하여 학년에 따라 그 수준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전공에 대한 가치에 대해서는 남 여 학생간의 뚜렷한 성차가 발견되지 않았으나 기대, 열망, 만족도 및 자기 효능감 등을 비롯한 대부분의 전공 관련 심리적 특성에서 여학생들이 남학생들에 비해 낮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남학생들의 경우 전공에 대한 기대, 열망, 만족도, 자기효능감 등이 공과대학 경험과 교육을 통해, 학년이 증가 할수록 일관되게 증가하는 반면 여학생들의 경우 거의 변화하지 않거나 오히려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따라서 이와 같은 공대 여학생들의 심리적 특성을 개선하기 위한 교육 환경 개선 노력이 제안되었다.

창업교육이 대학생의 진로에 미치는 효과성 연구 (The Effect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on the Career Path of University Students)

  • 안태욱;박재환
    • 벤처창업연구
    • /
    • 제13권2호
    • /
    • pp.177-192
    • /
    • 2018
  • 대학의 사명은 차세대 국가를 책임질 청년들을 성숙한 사회인으로 성장시키기는데 목적을 가지고 있다. 특히 4차산업혁명시대 대학의 역할은 창의적 인재를 육성하는 것이다. 그럼으로 기존의 주입식교육과 취업중심의 대학 교육 콘텐츠와 교육 방법론에 혁신적인 변화가 요구된다. 높은 청년 실업률 속에서 기존 조직을 혁신하고, 새로운 일자리를 창출을 위해 창업교육이 대학에 확산되고 있다. 하지만 이제까지는 대학 창업교육의 효과를 창업분야 중심으로 연구되어왔다. 그럼으로 창업교육에 대한 다양한 효과 연구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창업교육을 통한 역량 함양이 사회에 진출을 앞두고 있는 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에 어떤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실증분석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표본은 2016년 8월부터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지역별 5개 대학교를 선발하여 창업교육을 수강한 대학생 393명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실증분석에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창업교육을 통해 함양된 협업적의사소통능력, 창의적 문제해결능력은 기업가정신과 자기효능감에 정(+)의 영향을 미쳤고, 기업가정신과 자기효능감은 진로준비행동에 정(+)의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하지만 창업교육에 의한 협업적 의사소통능력, 창의적문제해결능력, 효율적 업무행동능력은 진로준비행동에는 직접적인 유의미한 영향이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반면 기업가정신,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검증에서는 협업적 의사소통능력, 창의적 문제해결능력과 진로준비행동 사이에서 긍정의 매개역할을 하고 있음을 검증하였다. 이에 본 연구의 시사점은 대학 창업교육이 진로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효과성을 검증 하였다. 즉, 대학에서 창업교육을 역량 중심의 양적 확대보다는 기업가정신과 자기효능감을 고취 함양시킴으로 진로준비행동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직접효과와 매개효과를 증명하였다. 또한 매개변수(기업가정신, 자기효능감)는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효과와 성과를 창출하기 위한 핵심변수라는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그리고 창업교육의 창의성 역량에 대한 보완과 체계를 잡아 진로준비행동에도 직접적인 유의미한 영향을 미칠 수 있도록 개선 될 필요가 있다는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무엇보다 이러한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서 창업교육에 대한 정성적인 평가지표 개발도 시급하다. 따라서 창업교육은 대학생들의 진로준비를 위해서라도 반드시 필요하다는 의미있는 시사점과 함께 향후 창업교육에 대한 다양한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간호사의 조직몰입 예측요인 (The Prediction Factor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the Nurse)

  • 문숙자;한상숙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72-80
    • /
    • 2009
  • Purpose: This study was designed to identify the prediction factors that influence nurses' organizational commitment. Method: The sample of this study consisted of 526 full-time nurses randomly picked at 19 general hospitals in Korea. The data was analyzed by computer using SPSS 15.0 for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 1)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nurses' organizational commitment levels among the sample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in age, religion, social status, marital status, clinical career, and department satisfaction. 2) Level of nurses' organizational commitment was average 2.70, job satisfaction 2.91, burnout 3.03, empowerment 3.36, autonomy 2.93, and self-efficacy 3.51. 3) Nurses' organizational commitment ha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ith job satisfaction, empowerment, self-regulation, social support, self-efficacy, clinical career, and personnel movement experience. On the other hand, it had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s with occupational stress, burnout, and age. 4) The prediction factors which influence Nurses' organizational commitment were job satisfaction($\beta$=.405), burnout($\beta$=-.282), self-regulation($\beta$=.171), clinical career($\beta$=.135). These factors were approximately 49.6% reliable in explaining nurses' organizational commitment. Conclusion: These results can be used to develop hospitals' management strategies for increasing organizational commitment effectiveness and nursing productivity.

대학생의 주관적 행복감에 대한 영향요인 (Influence on Subjective Happiness of University Students)

  • 이선희;정복례;김순희
    • 한국보건간호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115-126
    • /
    • 2015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influence of job-seeking stress,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self-esteem on subjective happiness of university students.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281 university students in D city. Data were collected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WIN 19.0 using one-way ANOVA, t-test, Pearson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Results: Subjective happiness showed positive association with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self-esteem and negative association with job-seeking stress. Factors that had an influence on subjective happiness were monthly family income (less than two million won ${\beta}$=-.263, p<.001, between two million won and four million won ${\beta}$=-.207, p<.001), major satisfaction (very unsatisfied ${\beta}$=-.221, p<.001, satisfied ${\beta}$=.161, p=.003), gender (female ${\beta}$=-.154, p=.005), subjective health (unhealthy ${\beta}$=-.134, p=.013), and school year (sophomore ${\beta}$=-.123, p=.024). These factors explained 22.6% of the variance in their subjective happiness.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more positiv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self-esteem and more negative job-seeking stress were needed for their subjective happiness. This study also indicated that economic status, major satisfaction, gender, and subjective health were very important in predicting their subjective happiness. Thus, to improve their happiness, it would be necessary to consider both intrinsic factors such as major satisfaction and extrinsic factors such as general characteristic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