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areer identify

검색결과 510건 처리시간 0.022초

뷰티전공 대학생들의 진로 의사결정유형이 진로준비행동 및 전공만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areer Decision Making Types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Major Satisfaction of Beauty Major College Students)

  • 이재은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2권2호
    • /
    • pp.221-230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뷰티 전공 대학생의 진로 의사결정 유형을 확인하고, 진로 준비 행동과 전공 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분석을 통해 진로 준비 행동의 향상을 목적으로 한다. 2021년 11월 1일부터 30일까지 진행하였고, 질문지는 총 485부를 분석 자료로 활용하였다. 연구 방법으로 빈도 분석,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상관관계 분석, 다중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로 첫째 진로 의사결정 유형이 진로 준비 행동과 전공 만족에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나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합리적 진로 의사결정 유형은 의존 및 직관적 유형과 상관 관계가 있었으며, 진로 준비 행동으로 시간 노력, 능력 활동, 정보수집의 진로 준비 행동과 전공 만족으로 수업 만족, 교과 만족에서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셋째 진로 의사결정 유형 중 합리형과 의존형이 진로 준비 행동의 하위요인인 능력 활동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간호사 경력개발에 관한 국내 연구 동향 분석 (The analysis of trends in domestic research on career development of nurses)

  • 최현주;정귀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3호
    • /
    • pp.325-336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사를 대상으로 한 경력개발 관련 국내 연구의 최신 동향을 탐색하여 향후 간호 보건 분야에서 경력관련 논문의 이론적 접근과 실천적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시행하였다. 연구 대상은 2008년부터 2017년까지 10년간 국내 학술지에 실린 간호사 경력개발 관련 연구였다. 검색 데이터베이스 RISS 및 KISS등을 통해 검색어를 '간호', '간호사', '경력', '경력개발', '경력개발 프로그램', '경력관리'로 하여 검색된 논문 중 최종 29편의 논문을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분석은 전체적인 동향분석을 위해 연도별, 출처별, 연구설계 및 대상자 별로 살펴보았고, 주제 별 경향성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내용분석방법을 채택하였다. 내용분석 결과 상위 범주로 경력개발과 경력개발결과로 나뉘었고, 경력개발의 하위범주로 조직 경력관리, 개인경력관리 경력개발결과의 하위범주로 경력성과로 나뉘었다. 하위범주인 개인경력관리는 경력탐색, 경력계획, 경력정체, 경력단절로 구성되어 있었고, 조직경력관리는 CLS개발 및 적용, CLS 인식도 조사, 경력개발 모형구축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경력성과는 경력몰입, 조직몰입, 이직의도, CLS 적용 후 변화, 경력만족, 경력변경의도 순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그리고 가장 많이 다룬 주제는 경력성과 중 경력몰입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앞으로 경력개발 관련 간호연구의 방향성은 개인 차원과 조직차원의 욕구를 부합시킨 통합적인 연구가 필요하며, 또한 대상자, 연구설계와 연구주제에 있어서의 다양성이 요구된다.

대학생의 진로 결정과 진로 선택 동기, 진로 역량의 인과적 관계 (The Causal Relationship among Career Decision-making, Motivation for Career Choices, Career Capabilities of Undergraduate Students)

  • 김은정;이태원;성행남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26권4호
    • /
    • pp.73-89
    • /
    • 2021
  • 대학생 시기에 진로에 대한 목표를 설정하고, 진로를 결정하는 것은 인생에서 매우 중요한 과업 중 하나다.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의 진로 선택 동기와 진로 역량 및 진로 결정의 구조적 관계를 조사 분석하여 대학생들의 진로 결정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와 같은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부산 소재 4년제 D대학에 재학중인 학생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하였다. 총 326부의 자료가 최종 분석에 사용되었으며, SPSS 25와 AMOS 25를 이용하여 경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 결과는 첫째 내재적 진로 선택 동기와 외재적 진로 선택 동기는 각각 진로 역량인 진로 성찰과 진로 관리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진로 역량인 진로 성찰과 진로 관리는 진로 결정 구성 요인인 진로 결정 구체성과 진로 결정 확신성에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내재적 진로 선택 동기와 외재적 진로 선택 동기는 진로 역량인 진로 성찰과 진로 관리를 매개하여 진로 결정 구체성과 확신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보면 대학생의 진로 결정의 구체성과 확신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학생들의 진로 성찰 역량과 진로 관리 역량을 증진 시킬 필요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불확실한 고용환경의 변화와 높은 청년 실업률과 함께 직업의 종류가 매우 다양해지고 고도로 전문화되면서 대학생이 자신에게 적합한 진로 결정에 대한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다. 현 상황에서 본 연구의 결과는 대학에서의 진로 상담과 진로 지도에 활용할 수 있는 대학생의 진로 결정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미취학 자녀를 둔 종합병원 간호사의 경력몰입에 미치는 융합적 영향요인 (Converged Influencing Factors on the Career Commitment of General Hospital Nurses with Preschool Children)

  • 소자영;하윤주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5호
    • /
    • pp.341-351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미취학 자녀를 둔 종합병원 간호사들의 양육역량과 양육스트레스를 파악하고, 경력몰입에 미치는 융합적 영향 요인을 규명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방법은 2016년 8월10부터 8월31일까지 G광역시에 소재한 종합병원간호사 214명을 대상으로 수집된 자료는 SPSS/WIN 18.0과 AMOS 18.0 Program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 미취학 자녀를 둔 종합병원 간호사의 양육역량은 양육스트레스에 유의미하게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양육스트레스는 양육역량이 경력몰입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완전매개 효과를 나타냈다. 향후 미취학 자녀를 둔 종합병원 간호사의 경력몰입 증진을 위한 기초자료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양육 관련요인과 함께 직무 관련특성을 포함하여 경력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추후 연구가 필요하리라 본다.

간호 대학생의 감성지능이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Emotional Intelligence on th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Decision Levels of the Nursing Students)

  • 송현영;신소홍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9호
    • /
    • pp.628-640
    • /
    • 2016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감성지능이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하고자 실시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대상자는 대구 경북지역 간호 대학생 3,4학년 223명이며,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2015년 10월 19일부터 10월 30일까지 편의표집 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SPSS 22.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인구사회학적 특성, 감성지능,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결정수준은 기술통계(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를 실시하고, 측정도구의 신뢰도는 Cronbach's ${\alpha}$값을 구하였다.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감성지능,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결정수준의 차이는 t-test와 ANOVA를 하였고, 사후검정은 Scheffe test를 실시하였다. 또한 주요변인 간의 상관관계는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를 산출하여 분석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감성지능이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감성지능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진로결정수준은 정(+)적 상관성을 보였다.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요인은 성별(${\beta}=-.155$), 취업률 동기(${\beta}=-.145$), 감성 활용(${\beta}=.236$), 감성조절(${\beta}=.197$), 타인 감성이해(${\beta}=.157$)가 유의미하였다.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요인은 학년(${\beta}=.273$), 취업률 동기(${\beta}=-.145$), 주위의 권유동기(${\beta}=-.138$), 감성조절(${\beta}=.223$)이 유의미하였다. 따라서 간호학과 선택 시 자신의 의지로 선택할 수 있도록 학교나 가정에서 간호사의 역할이나 임무 등에 대하여 충분하게 조언할 필요가 있다. 또한 학사과정에서 정서적 교육 등의 비중을 높이면 감성지능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상업계 고등학생의 진로적응성, 진로스트레스 및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Career Adaptability, Career Stress, and Psychological Well-bing of Commercial High School Students)

  • 구혜경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1호
    • /
    • pp.449-455
    • /
    • 2023
  • 이 연구는 학생들의 진로적응성에 대한 중요성을 확인하고, 특성화고 학생들의 진로적응성과 심리적 안녕감과의 관계에서 진로스트레스에 대한 매개효과를 분석하고자 한다. 특성화 고등학교들 중에서 경기 및 충청지역 상업계고등학교의 3학년 학생들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진로적응성, 진로스트레스 및 심리적 안녕감과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등학생들의 진로적응성이 높을수록 진로스트레스는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진로스트레스가 낮을수록 학생들의 심리적 안녕감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진로적응성과 심리적안녕감과의 직접적인 효과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상업교육에서의 진로적응성에 대한 지도 및 교육의 중요성을 확인할 수 있으며, 진로적응성을 향상시킬수록 진로스트레스는 감소하고 이로 인해 학생들의 심리적 안녕감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 진로스트레스에 대한 매개효과를 확인할 수 있다.

조직지원인식이 주관적 경력성공에 미치는 영향: 경력계획의 매개효과 검증 (The Effect of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on Subjective Career Success: The Mediating Effect of Career Planning)

  • 강예지;이수연;문진희;장지현
    • 유통과학연구
    • /
    • 제14권2호
    • /
    • pp.83-92
    • /
    • 2016
  •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relations among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career planning, and subjective career success (career satisfaction and job satisfaction). In particular, this study focuses on the mediating effect on the career planning between perceived organization and subjective career success. The target cases are employees of a Korean branch of a global company (A), which operates formal career program to support a career development for employees.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December, 2014 to March, 2015. 211 out of 300 questionnaires were returned (response rate 70.3%). After the data cleaning, 209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the data analysis. These data were analyzed through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EF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FA),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The whole process of the data analysis was accomplished using the SPSS 21.0 for windows and the AMOS 21 program. Results -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better the organizational support is perceived, the higher career satisfaction and job satisfaction is. That is, the employees' career and job satisfaction is higher, when they feel themselves received more supporting. Second,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has a positive impact on employees' career planning. This result means that it is important to support employees in their career development. Third, career planning has a positive impact on career satisfaction, but not on job satisfaction. Lastly, it is verified that career planning has a mediating effect between the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and career satisfaction. Not only has the perception of an organizational support a direct impact on career satisfaction, but also an indirect impact through career planning. However, there is not an indirect relationship through career planning, just an direct relationship between the perception of an organizational support and job satisfaction Conclusions -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the major conclusion of the study was as follows: The study provides theoretical values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the fact that the differences of the subjective perception about organizational support exist among employees, and the differences have an impact on their career planning as well as subjective career success. Furthermore, some recommendations for workplace were suggested: The companies should support the career development for employees in organization level. Even though employment instability makes individual workers themselves to be responsible for their own career development, it is an important issue in organizational level that employees' career success could have positive effects on organizational development and success, as well. However, there is a limit in the study that analyzing results cannot be generalized due to the data from a single company. Some recommenda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suggested: First, a comparative study should be conducted with other various companies. Second, a hierarchical analyzing model needs to be applied to substantiate how organizational context influences on subjective career success of employees.

중소병원 간호사의 직무·조직·경력 특성과 이직의도와의 관계에서 일-가정 갈등의 조절효과 (Moderating Effects of Work-family Conflict between Job·Organizational·Career Characteristics and Turnover Intention among Nurses in Small and Medium-sized Hospitals)

  • 최현주
    • 간호행정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297-307
    • /
    • 2015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moderating effects of work-family confli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organizational, career characteristics and turnover intention among nurses working in small and medium-sized hospitals. Methods: A self report questionnaire survey was completed by 286 nurses working in five small or medium-sized hospitals in P city. Data were gathered during October, 2014 and analyzed using the SPSS 21.0 program. Results: Work-family conflict had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s between job, organizational, career characteristics and turnover intention of nurses working in small or medium-sized hospitals. Career commitment was the biggest factor in reducing turnover intention. Conclusion: The results of the study indicate that work-family conflict and career commitment are important factors in turnover intention among nurses working in small and medium-sized hospitals. Therefore, to understand job and organizational career characteristics of nurses in small and medium hospitals, consideration must be given to the role of conflict in the nurses' workplace and homes. Support from the organization focusing on career development, and provision of an innovative system for the environment of small hospitals are needed.

간호학생의 진로정체감과 임상수행능력과의 관계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Identity and Clinical Competency in Nursing Students)

  • 최은희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15-21
    • /
    • 2009
  • Purpos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dentify the level of career identity and clinical competency and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m in nursing students. Method: Subjects were junior students of 2 colleges in Daegu(N=217). A self-rating questionnaire included demographic data, career identity of nursing students and the clinical competency Korean scale. We received consents from teachers and students. The data was analyzed by frequency, percentage, t-test, ANOVA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using the SPSS 12.0 Program. Result: The mean score of career identity was 31.90 points and clinical competency was 145.13. Career identity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ge, satisfaction of college entrance and satisfaction of clinical practice. Clinical competency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ex, marriage, satisfaction of college entrance and satisfaction of clinical practice. The data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career identity and clinical competency.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find affecting factors on career identity of nursing students and to develop objective tools for clinical competency and to improve clinical competency programs.

여대생의 사회적 지지 및 자기 효능감이 진로결정 수준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s of Social Support and Self-Efficacy on Career Decision Level among Female University Students)

  • 김정숙;서리나;탁정미
    • 한국가정과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5-14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 of social support and self-efficacy on career decision level among female university students. Data was collected by questionnaires from 380 students at 3 universities in Jeonnam province and Gwangju city, Korea.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average levels of social support, self-efficacy and career decision were over middle point(2.5point). The best of them was self-efficacy. Second, the lowest level of them by grade was commonly freshman female students.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y major except for soczzzzzial support. Third, the effective sub-variables of social support which have influenced on career decision level were self-esteem support and evaluated support. Forth, the impactive sub-variables of self-efficacy which have influenced on career decision level showed general self-efficacy. Fifth, the significant sub-variables of social support which have influenced on self-efficacy were self-esteem support and material support.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 high levels of self esteem social support and general self-efficacy led students to improve in career decision level. Here showed that the effect by grade or group on study was more clear than that by major.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