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areer Orientations

검색결과 20건 처리시간 0.022초

한국 MIS요원의 주요 경력지향유형과 유형별 직무요소들의 가치 부여 차이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ajor Career Orientations of Korean MIS Personnel and the Differences in the Values of Job Factors between Career Orientations)

  • 이재범;김경규;김익균
    • Asia pacific journal of information systems
    • /
    • 제7권1호
    • /
    • pp.49-66
    • /
    • 1997
  • Matching individual career desire and career path is desirable for individual motivation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Some studies reported that major career orientations of MIS personnel are technical and managerial orientation. Furthermore, dual ladder system is based on the same notion above. However, subsequent research conclusions of this issues have been contradictory. Mnwhile, past studies on the work value of MIS personnel are mainly concentrated on the differences between MIS personnel and other occupations. To date, the study on the differences in the values of job factors between major career orientations is ra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major career orientation of Korean MIS personnel and the differences of values of job factors between major orientations. The research result is two conclusions. First, major career orientations of Korean MIS personnel are technical and managerial orientation. Second, both group do not have different values about job property related factors, but managerial orientation group gives high values to the some organization related factors such as company policy, responsibility, authority, salary level and opportunity of promotion.

  • PDF

IT서비스 기술인력의 경력지향성에 따른 교육요구 분석 (An Analysis on Educational Needs by Career Orientations of IT Service Technical Engineers)

  • 박경환;나홍석;오수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9권3호
    • /
    • pp.165-180
    • /
    • 2011
  • 본 연구는 IT서비스 기술인력의 경력지향성에 따른 교육요구 분석을 실시하였습니다. 첫째, IT서비스 기술인력에 대한 5가지 경력지향성 유형을 제시하였다, 둘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연령, 학력)과 직업적 특성(직무, 업무경력, 조직규모, 근속년수)이 IT서비스 기술인력의 경력지향성과 어떠한 관련성이 있는지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IT서비스 기술인력의 5가지 경력지향성 유형이 교육요구와 어떠한 관련이 있는지 살펴보았다. IT서비스 기술인력 133명을 대상으로 한 자료분석 결과, 인구통계 및 직업적 특성은 그들의 경력지향성과 유의한 관련성이 있었으며, 또한 경력지향성 유형은 그들의 교육요구와도 유의한 관련성이 있다는 점을 밝혔다.

대구.경북지역 정보기술 인력의 경력지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career orientations of IT workforce in Daegu-Gyeongbuk regions)

  • 이충권;유상진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4권5호
    • /
    • pp.197-207
    • /
    • 2009
  • 개인의 경력적 지향은 욕구와 가치, 그리고 능력으로 구성되는 경력닻(Career Anchor)에 의하여 영향을 받는다. 본 연구는 대구 경북지역에서 IT인력에 의해 보유된 경력닻을 조사함으로써 경력적 지향을 이해하고자 한다. 특히, 성별, 나이, 근무기간, 그리고 직업명과 같은 요인들이 실제로 IT인력의 경력닻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대구 경북지역에 종사하는 269명의 IT인력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결과는 대구 경북지역 IT종사자들의 경력적 지향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R&D 전문가들의 경력 지향성에 관한 실증적 연구 (The Career Orientations of R&D Professionals : An Empirical Analysis)

  • 차종석;김영배
    • 기술혁신연구
    • /
    • 제6권1호
    • /
    • pp.215-249
    • /
    • 1998
  • This study empirically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areer orientations of R&D professionals and their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ge, tenure, and education level), affiliated organizations (public and private organizations), reward systems. It further explores the contingent effects of the career orientation fit between leader and members on their performance. The results reveal that : 1) five different career orientations (technical, manager, project, technical transfer, and entrepreneur) are empirically distinguished, 2) technical orientation of R&D professionals is higher in public in private sectors, 3) technical, project, and manager orientation a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the education level, while technical transfer and entrepreneur orientation are negatively associated with the education level, 4) manager and technical transfer orientation is positively related with age and tenure, 5) the career orientation fit between leader and member is closely related with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 commitment, and partially related with technical performance, 6) R&D professionals with different types of career orientation exhibit different preference to various rewards.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suggests several practical implications for the design of career ladder, mentoring, and reward systems of R&D professionals.

  • PDF

정부 출연 연구기관 연구원의 경력지향성에 관한 탐색적 연구 (An Exploratory Study on the Career Orientations of Researchers in Government-Sponsored Research Institute)

  • 차종석;손병호;이병헌
    • 기술혁신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688-714
    • /
    • 2006
  • 본 연구는 정부 출연 연구기관에 종사하는 연구원들의 경력지향성에 관해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연구원들의 경력지향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이, 과제경험, 그리고 조직 경험을 고려하였다. 또한, 경력지향성 차이에 따른 업적평가에 대한 선호, 향후 희망직장이나 산학연협력에 대한 참여의사 등에 대해 검토하였다. 373명의 연구원에 대한 분석결과, 정부 출연 연구기관의 연구원들은 연구 전문가 이외에 다양한 경력경로에 대한 선호를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직급이 올라가고 나이가 들면서 프로젝트 경력경로와 기술사업화 경력경로에 대한 선호가 높아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연구원들의 경력선호도는 연구소의 미션과 수행하고 있는 과제의 성격에 따라서 달라짐을 알 수 있었다. 끝으로 이러한 연구결과에 따른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고, 향후 연구방향과 이 연구의 한계점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 PDF

A Survey of Japanese University Students' Future Use of English Goal Orientations

  • Uehara, Suwako;Richard, Jean-Pierre Joseph
    • 영어어문교육
    • /
    • 제17권3호
    • /
    • pp.213-235
    • /
    • 2011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present preliminary results from an ongoing large-scale study of English-language future goal orientations held by Japanese university students. The work here involves an investigation of learners in multiple disciplines, from five universities, both public and private, in the Kanto-region of Japan, and their perspective on their future use of English. The results summarize written essays on L2-goal orientations. Preliminary results indicate Japanese learners (n = 629) as a whole have disparate L2-learning goals; however, these can be summarized into four broad categories: career, personal life, study, and general; and early findings indicate that most learners (63.56%) are oriented to career or personal goal orientations, while others are oriented to study and general. These early results help us to gain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future goals of Japanese university learners and their views of English usage in the future.

  • PDF

연구원의 경력지향성과 보상의 적합도가 성과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ongruence between Orientations and Reward Systems on the Performance of R&D Professiionals)

  • 박현아
    • 기술경영경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기술경영경제학회 1999년도 제15회 하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140-174
    • /
    • 1999
  • This study proposed the model of research describing the positive impact of fitness between career orientations and reward systems on the performance of R&D professionals. To prove the propositions of the model,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204 professionals in 19 R&D research institutes related with electronics and communication industries provided answers for the questionnaire. The results of the survey were summarized in the following. 1) Career orientations of R&D professionals can be categorized into three dimensions : managerial, technical/professional, and project orientation. 2) The rewards consist of four dimensions : financial, social status, job content, and professional reward. 3) The age and tenure of R&D professionals has the negative impact on the project orientation. 4) The education level of R&D professionals has the positive impact on the professional orientation. 5) The sex was found as insignificant variable career orientation. 6) The person with strong prefers social status rewards to other rewards, the professional orientation is prefer to professional rewards, and the project orientation is prefer to job content rewards. 7) For the professionals with professional and project orientation, the congruence with each reward delivered positive impact on job satisfaction, job involvemen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However it created negative impact on turnover intention and job stress.

  • PDF

AIS 사용자의 경력지향과 직무특성간의 관련성 분석 (Analysis of Relevance between Career Orientations and Job Characteristics of AIS User)

  • 임규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6권11호
    • /
    • pp.15-24
    • /
    • 2006
  • 본 연구의 목적은 AIS(Accounting Information System;이하 AIS로 표기한다.) 사용자의 경력지향과 직무특성간의 적합성이 AIS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있다. 구체적으로 AIS 사용자의 경력지향은 지술지향과 관리지향으로 구분하였으며, AIS 사용자의 직무특성은 직무의 다양성과 직무의 자율성으로 구분하였다. 이 두 요인들의 적합성이 시스템 성과(사용자 만족도, 이용도)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검증해 보고자 하였다. 첫째, AIS 사용자의 경력지향 중에 기술지향과 직무의 자율성간의 적합성이 시스템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AIS 사용자의 경력지향 중에 관리지향과 직무의 다양성간의 적합성이 시스템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AIS 사용자의 경력지향 중에 기술지향과 직무의 자율성간의 적합성이 시스템 이용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AIS 사용자의 경력지향 중에 관리지향과 직무의 다양성간의 적합성이 시스템 이용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창업 의지의 결정요인: 개인특성 및 환경요인 (Determinants of Entrepreneurial Intentions :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Environmental Factors)

  • 윤방섭
    • 산학경영연구
    • /
    • 제17권2호
    • /
    • pp.89-110
    • /
    • 2004
  • 본 연구는 창업의지의 결정요인으로서 개인특성요인과 환경요인의 효과를 살펴보았다. 개인특성요인으로서는 개인의 경력지향성과 창업에 대한 자기유능성을 살펴보았으며, 환경요인으로서는 개인적 환경요인인 사회적 지원세력과 성공적 역할모델, 그리고 사회적 환경요인인 기업가에 대한 사회적인식을 살펴보았다. 경영학 전공의 대학생과 같은 전공의 졸업생을 대상으로 설문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각각 208명과 81명의 자료가 최종 분석에 사용되었다. 분석결과, 경력지향성은 대체적으로 창업의지에 영향을 주었다. 구체적으로, 사업지향성은 창업의지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으며, 안정지향성은 한계적으로 부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그러나 자율지향성은 기대와는 달리 유의한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창업에 대한 자기유능성은 창업의지에 가장 크게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요인이었다. 개인적 환경요인인 사회적 지원과 성공적 역할모델은 응답자들로부터 구분된 변수로 인식되지 못하여, '네트워크 환경'이라는 새로운 변수로 통합하여 분석하였는데, 네트워크 환경은 창업의지에 긍정적 영향을 주었다. 그러나 사회적 환경요인인 기업가에 대한 사회적 인식은 창업의지에 유의한 영향을 주지 못하였다. 마지막으로, 경력지향성, 자기유능성, 네트워크 환경에 대한 본 연구의 결과가 창업을 활성화하기 위한 방안에 시사하는 바가 제시되었다.

  • PDF

창업 의지의 결정요인: 개인특성 및 환경요인 (Determinants of Entrepreneurial Intentions: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Environmental Factors)

  • 윤방섭
    • 한국산학경영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경영학회 2004년도 추계학술연구발표회
    • /
    • pp.23-42
    • /
    • 2004
  • 본 연구는 창업의지의 결정요인으로서 개인특성요인과 환경요인의 효과를 살펴보았다. 개인특성요인으로서는 개인의 경력지향성과 창업에 대한 자기유능성을 살펴보았으며, 환경요인으로서는 개인적 환경요인인 사회적 지원세력과 성공적 역할모델, 그리고 사회적 환경요인인 기업가에 대한 사회적 인식을 살펴보았다. 경영학 전공의 대학생과 같은 전공의 졸업생을 대상으로 설문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각각 208영과 81명의 자료가 최종 분석에 사용되었다. 분석결과, 경력지향성은 대체적으로 창업의지에 영향을 주었다. 구체적으로, 사업지향성은 창업의지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으며, 안정지향성은 한계적으로 부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그러나 자율지향성은 기대와는 달리 유의한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창업에 대한 자기유능성은 창업의지에 가장 크게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요인이었다. 개인적 환경요인인 사회적 지원과 성공적 역할모델은 응답자들로부터 구분된 변수로 인식되지 못하여, '네트워크 환경'이라는 새로운 변수로 통합하여 분석하였는데, 네트워크 환경은 창업의지에 긍정적 영향을 주었다. 그러나 사회적 환경요인인 기업가에 대한 사회적 인식은 창업의지에 유의한 영향을 주지 못하였다. 마지막으로, 경력지향성, 자기유능성, 네트워크 환경에 대한 본 연구의 결과가 창업을 활성화하기 위한 방안에 시사하는 바가 제시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