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areer Anchor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22초

경력 닻의 유형이 경력만족과 경력몰입에 미치는 영향 연구 (A Study on the Influence of Career Satisfaction and Commitment on Career Anchor Style)

  • 박희동;박민생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31권3호
    • /
    • pp.97-116
    • /
    • 2012
  • 경력은 한 개인이 일생을 두고 일과 관련하여 얻게 되는 경험 및 활동에서 지각된 일련의 태도와 행위이다. 종업원은 경력을 형성하는 단계에서 직무관련 경험을 축적함에 따라 경력 닻을 형성하게 되는데 조직에서는 경력개발활동에서 경력 닻에 따른 종업원의 필요와 욕구를 만족시켜 조직역량 강화와 조직유효성을 증대시켜야 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따라서 이 연구는 종업원의 경력개발과정에서 경력 닻의 유형이 경력만족과 경력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실증분석에서는 국내 299명의 종업원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활용한 조사를 실시하였고, 영향관계에 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경력 닻의 유형 중 기술/기능적, 안전/안정적, 순수도전적, 생활방식 경력 닻은 경력만족에 정(+)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관리적, 창조적, 자율/독립적, 봉사/헌신적 경력 닻은 경력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경력 닻의 유형이 경력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기술/기능적, 관리적, 안전/안정적, 봉사/헌신적 경력 닻은 경력몰입에 정(+)의 영향관계가 검증되었으나 창조적, 자율/독립적, 순수도전, 생활방식 경력 닻은 경력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커리어 앵커 활용 초등학생 진로교육모형 구안 (The Development of a Career-Anchor Based on Career Education Model for Elementary Schools)

  • 홍광표;박수홍;최창환;강석권;심다희
    • 직업교육연구
    • /
    • 제30권4호
    • /
    • pp.179-202
    • /
    • 2011
  • 본 연구는 커리어 앵커를 활용하여 초등학생의 진로교육모형을 구안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문헌연구 및 커리어 앵커 관련 교육 프로그램 사례 분석을 통하여 모형의 초안을 도출하고 그것에 대해 전문가 형성평가를 거쳐 모형의 최종안을 구안하였다. 최종 구안된 모형은 핵심가치, 프로세스, 지원요소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인 모형의 프로세스는 '자기 모습 찾기' ${\rightarrow}$ '커리어 앵커에 따른 학습내용 선정하기' ${\rightarrow}$ '커리어별 학습하기' ${\rightarrow}$ '부족한 커리어 극복하기' ${\rightarrow}$ '평가하기'의 순서로 구성되며 각 단계마다 학습자를 위한 활동 내용과 지원요소에 대한 내용을 제공하였다. 본 연구는 선행 진로교육 관련 연구와 달리 커리어 앵커를 통하여 자신의 참 모습을 발견할 수 있고, 다양한 환경 변화에 대응하여 탄력적인 교육이 가능하며, 학교 현장에서 즉시에 바로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지원요소를 통하여 교사와 학생이 손쉽게, 체계적으로 교육을 진행할 수 있도록 구안되었다.

임상간호사의 경력 닻, 직무배태성, 경력동기 및 재직의도와의 관계 분석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Anchors, Job Embeddedness, Career Motivation, and Retention Intention of Clinical Nurses)

  • 오재우;김미란
    • 산업융합연구
    • /
    • 제21권7호
    • /
    • pp.105-114
    • /
    • 2023
  • 본 연구는 임상간호사를 대상으로 경력 닻, 직무배태성, 경력동기 및 재직의도 간의 관계를 이해하고 재직의도에 영향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2022년 11월 1일부터 2022년 12월 30일 사이에 C 및 G 지역 종합병원의 간호사 155명을 대상으로 수행되었다. 간호사의 재직의도는 직무배태성 및 경력동기와 정적으로 상관관계가 있었다. 간호사의 재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직무배태성으로, 총 설명력은 25%였다. 간호사의 직무배태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인 간호사의 경력 닻 유형을 파악하기 위해 연구 대상을 다양화한 반복 연구와 경력 닻 유형을 고려한 간호인력 경력 관리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후속 연구를 제안한다.

대구.경북지역 정보기술 인력의 경력지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career orientations of IT workforce in Daegu-Gyeongbuk regions)

  • 이충권;유상진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4권5호
    • /
    • pp.197-207
    • /
    • 2009
  • 개인의 경력적 지향은 욕구와 가치, 그리고 능력으로 구성되는 경력닻(Career Anchor)에 의하여 영향을 받는다. 본 연구는 대구 경북지역에서 IT인력에 의해 보유된 경력닻을 조사함으로써 경력적 지향을 이해하고자 한다. 특히, 성별, 나이, 근무기간, 그리고 직업명과 같은 요인들이 실제로 IT인력의 경력닻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대구 경북지역에 종사하는 269명의 IT인력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결과는 대구 경북지역 IT종사자들의 경력적 지향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간호대학생의 커리어앵커와 경력개발을 위한 교육요구 분석 (Analysis of Educational Needs for Career Anchor and Career Development of Nursing Students)

  • 이지안;박수홍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4호
    • /
    • pp.293-300
    • /
    • 2018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직무 유형을 통해서 경력개발을 위한 교육요구는 무엇인지 알아보기 위한 목적으로 실행하였다. 연구목적의 달성을 위하여 먼저 부산 경남 지역에 있는 K 대학과 P 대학의 간호대학생 146명을 대상으로 커리어앵커 질문지를 이용하여 직무 유형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직무 유형 중에서 상위 유형의 경향성을 보이는 간호대학생 28명을 선별하여 4개의 팀으로 나누어 맵을 작성하였고, 작성된 맵의 내용을 기반으로 초점집단인터뷰를 했다. 이는 간호대학생의 실제적 목소리를 통해 경력개발을 위한 교육요구에 대해서 알아보기 위해서이다. 그 결과 첫째, 간호대학생의 커리어앵커 유형은 라이프스타일과 안전 보장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가장 낮은 커리어앵커 유형은 순수한 도전과 관리적 역량이었다. 둘째, 경력개발을 위한 교육요구는 크게 4개의 영역, 전공역량, 실무역량, 인성역량, 자원관리역량으로 범주화하였다. 전공역량은 간호 전문지식 및 기술, 실무역량은 병동 업무처리, 의사소통, 위기대처능력, 인성역량은 협력, 책임인식, 자원관리역량은 시간 관리 능력, 스트레스 관리능력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간호대학생의 경력개발을 위한 교육적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아울러 간호실무 개선을 위한 교육과정개발에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Shu-gyo-ryoku: An Academic and Career Skills' Enhancement Program for Engineering Students at Gunma University

  • Matsumoto, Hiroyuki;Amagai, Kenji;Yuminaka, Yasushi;Keith, Barry
    • 공학교육연구
    • /
    • 제15권5호
    • /
    • pp.14-18
    • /
    • 2012
  • Shu-gyo-ryoku, a program to enhance students' academic and career skills, was begun in the academic year 2011. Under the new program, "Career Planning" and "Career Design" were introduced as part of the liberal arts education for incoming freshmen. Approximately 500 students majoring in engineering enrolled in "Career Planning" in which they study a "curriculum map" and how it relates to their future fields of employment. The curriculum map illustrates the connections between classes and increases students'understanding of the curriculum structure. In small groups, students discussed the curriculum in order to develop sketches of their career paths. In addition, students answered a career anchor test and though several communicative activities, improved their communication skills. A portfolio system was built into the university network to record the learning history of each student. Students are able to check their learning histories and reflect on the change in themselves during their academic careers.

대학생을 위한 공동체 기반 진로교육 앱 설계 (Community-based career education app development for university students)

  • 오동주;김진숙;박수홍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5권2호
    • /
    • pp.387-403
    • /
    • 2021
  • 이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을 위한 공동체 기반 진로교육 앱을 설계하는 것이다. 현재 대학의 진로교육은 다양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첫째, 진로교육이 체제화 되어 있지 않았으며, 둘째, 참여 학생의 만족도가 높지 않고, 셋째, 역량중심 진로교육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대학생을 위한 공동체 기반 진로교육 앱을 설계한다면 대학진로교육 교수자 부족 문제를 해결하고, 진로교육에 참여하는 학생들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해 대학생 대상 요구조사, 문헌분석, 네트워크 텍스트 분석 결과를 통해 핵심가치를 도출하고 래피드 프로토타입의 설계에 따라 앱의 프로토타입을 구안하였다. 앱에 활용될 진로교육 프로그램은 대학생이 학습공동체 단위로 실행할 수 있도록 온라인과 오프라인 활동을 나누어 설계하였다. 1, 2차 사용성 평가와 전문가 평가를 통하여 최종 프로토타입을 설계하고 앱의 화면을 디자인하였다.

대학생들의 주관적 규범이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와 안정지향성의 조절효과 (The Effects of Subjective Norms on the Start-Up Intention: The Mediation Effect of Self-Efficacy and the Moderate Effect of Security Competence)

  • 권인수;김기흥;서문교
    • 벤처창업연구
    • /
    • 제14권4호
    • /
    • pp.91-100
    • /
    • 2019
  • 많은 대학생들이 변화하는 시대의 적응을 어려워하고 진로의 불확실성으로 인해 창업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런 시대적 상황을 반영해 대학생들의 창업에 대한 주관적 규범이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정도를 살펴보면서, 자기 효능감의 매개효과와 안정 지향성의 조절 정도를 살펴보았다. 연구 가설 검증을 위해 서울 소재 대학의 대학생 201명에게 관련 변수에 대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그리고 선행 이론에 근거해서 가설 및 설문 문항들을 만들었으며, 각 변수의 타당도와 신뢰도 및 상관관계 분석도 실시하였다. 가설 분석에는 다중회귀분석을 사용했으며, 그 결과 주관적 규범은 창업 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나타냈다. 다음으로 자기 효능감은 주관적 규범과 창업 의도의 관계를 간접 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주관적 규범이 창업의도에 영향을 미칠 때 안정 지향성은 부(-)의 조절효과를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가 주는 시사점은 창업에 대한 의도를 높이는데 있어서는 준거인들의 창업에 대한 긍정적 인식이 필요하다. 또한 이러한 긍정적 인식은 창업의 자신감과 도전의식에 영향을 미쳐 창업의도에 영향을 주게 된다. 하지만 경력지향성 성향이 조직의 안정적 고용을 선호하는 경우에는 창업 의도에 부정적으로 영향을 주는 것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