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ardiopulmonary Bypass

검색결과 676건 처리시간 0.031초

체외순환을 사용하지 않은 관상동맥우회술-1례보고- (Coronary Artery Bypass Grafti ng without Extracorporeal Ci rculation One Case Report)

  • 임창영;이헌재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0권3호
    • /
    • pp.326-329
    • /
    • 1997
  • 관상동맥 우회수술은 일반적으로 저체온하에 인공심폐기를 사용하여 체외순환을 하면서 심정지상태에서 시행하는 것이 일반적 인 방법이다. 그러나 선택적 인 병변에 한 하여는 체 외순환을 하지 않고 정상적인 심박동 상태에서 관상동맥 우회 술을 사용하는 방법이 시도되고 있다. 저자들은 우관상동맥에 100%협착을 보이고 경미한 운동시 심한 흉통을 호소한 환자에서 체외순환 없이 관상동맥 우회 술을 성공적으로 시행하였기 에 문헌고찰과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 PDF

우측 소매 전폐 적출술 후 발생한 기관 협착증의 체외 순환을 이용한 수술치험 1례 (Tracheal Reconstruction Using Femoro-Femoral Bypass -A Case Report-)

  • 최필조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7권4호
    • /
    • pp.324-327
    • /
    • 1994
  • Resection and reconstruction of distal trachea or carina have posed tremendous technical challenges for surgeons. Successful outcome depends on thorough preoperative evaluation, careful anesthetic management,strict attention of surgical technique and postoperative care. We report a successful case of revision of tracheal stenosis using femoro-femoral bypass on a 13~year-old boy. The patient complained severe dyspnea about I month following right sleeve pneumonectomy. Preoperative CT scan and intraoperative bronchoscopy showed pin-point tracheal stenosis at a tracheo-bronchial anastomosis site about 1.2cm in length.At operation the lesion was severely adhesed and the lumen was nearly obstructed. The stenotic segment was resected and direct end-to-end anastomosis was done under femoro-femoral bypass for adequate oxygenation. The patient was discharged at postop. 16 days without specific complications and has continued to do well.

  • PDF

고도의 원위부 기관협착 환자에서 경피적 심폐보조장치를 이용한 호흡보조 하에 시행한 기관절제 및 단단 문합술 (Respiratory Support by Performing Percutaneous Cardiopulmonary Support (PCPS) for Tracheal Resection and Reconstruction in Patients with Severe Distal Tracheal Stenosis)

  • 조상호;박인규;이창영;배미경;정경영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2권2호
    • /
    • pp.259-262
    • /
    • 2009
  • 기관 및 폐문부 수술 시 기도확보가 어려운 경우나 폐실질 질환을 동반하여 저산소증 등이 우려될 경우 심폐보조장치의 도움을 받을 수 있다. 국소마취 하에 시행할 수 있는 경피적 심폐보조장치는 고전적인 심폐보조장치를 대신하여 기관호흡으로 호흡유지가 힘든 환자에게 안전하고 손쉽게 적용할 수 있다. 저자들은 고도의 하부 기관협착 환자에서 경피적 심폐보조장치를 이용한 호흡보조 하에 기관절제 및 단단 문합술을 성공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수술 중 발생한 다량의 급성 폐동맥 색전증에 의한 심장 정지의 경피적 심폐 보조를 사용한 성공적 소생 - 1예 보고 - (Successful Resuscitation of Cardiac Arrest with Acute Massive Pulmonary Embolism during Operation Using Percutaneous Cardiopulmonary Support (PCPS) - A case report -)

  • 박경택;김연수;장우익;김창영;류지윤;권성욱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1권2호
    • /
    • pp.273-276
    • /
    • 2008
  • 심장 정지에 있어서 체외 심폐 보조가 1983년도에 도입된 이래로 심장 정지의 치료에 응급 경피적 심폐 보조가 사용되어 왔다. 다량의 급성 폐동맥 색전증은 사망률이 높고, 특히 수술 중 발생한 경우는 외과의와 마취의에게 힘든 문제를 제기한다. 본 증례는 수술 도중에 발생한 다량의 폐동맥 색전증으로 인한 심장 정지에 대하여 효과적인 치료수단으로써 응급 체외 순환기를 사용한 56세의 여자 환자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환자는 와파린을 복용하면서 퇴원하였고, 패동맥 색전증의 재발없이 외래추적 중이다.

모야모야 환자에게서의 인공심폐기를 이용한 개심술 -1예 보고- (Cardiac Surgery Using CPB in Moyamoya Disease - A Case Report-)

  • 이기복;김응중;신윤철;박종운;이원진;박진흥;손정환;지현근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6권10호
    • /
    • pp.772-775
    • /
    • 2003
  • 모야모야 질환은 원위부 내경 동맥과 근위부 뇌동맥들의 폐쇄성 내피 이형증으로 특징지워는 뇌혈관 질환으로, 아직까지 정확한 병인이 밝혀지지 않은 질환이다. 상기 질환은 양측 내경 동맥의 원위부에 부분적인 협착이나 폐쇄를 야기하게 되고, 이러한 뇌혈관의 해부학적인 변이는 뇌의 기저부에 매우 미세한 혈관들의 문합을 형성하게 하는데, 이러한 신생 혈관들이 뇌혈관 조영검사상 구름처럼 보인다 하여 ‘Moyamoya’라 불리운다. 모야모야 환자군들에게서 관상 동맥 질환 등으로 인한 개심술의 시행은 매우 드물다고 알려져 있으며, 이러한 환자군들에서의 인공심폐기를 이용한 개심술은 수술 중, 그리고 수술 후 허혈성 뇌질환 등의 위험성이 매우 높다고 보고되고 있다. 본 교실은 모야모야 환자에서 심방중격결손 폐쇄와 관상동맥우회술을 인공심폐기를 이용한 개심술을 시행하여 성공적으로 치료하였기에 간략한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체외순환을 이용한 심장수술시 혈청 Interleukin-6, Tumor Necrosis Factor-$\alpha$와 Troponin-T의 시간대별 변화 (Sequential changes of Interleukin-6, Tumor Necrosis Factor-$\alpha$, and Troponin-T During Open Heart Surgery with Cardiopulmonary Bypass)

  • 류지윤;최석철;곽기오;최국렬;김송명;조광현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2권11호
    • /
    • pp.971-977
    • /
    • 1999
  • Background: Immunologic and inflammatory responses of cardiopulmonary bypass(CPB) influence postoperative mortality and morbidity with multiple organ injury. It has been reported that ischemia/reperfusion induced-myocardial injury during CPB is causative of release of inflammatory cytokines such as interleukin-6(IL-6) and tumor necrosis factor-$\alpha$ (TNF-$\alpha$).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ct the time course of the activated cytokine and troponin-T(TnT), and to examine the correlation between such parameters during CPB. Material and Method: The serial samples were collected from arterial blood via radial arterial catheter in 23 patients who are underwent open heart surgery (OHS) with CPB, the IL-6, TNF-$\alpha$ and TnT were checked. Result: \circled1 IL-6, TNF$\alpha$- and TnT concentration increased significantly during CPB with a peaking level of CPB-off (p 0.05). \circled2 IL-6 had highly positive correlation with aortic cross clamping time and total bypass time(r=0.80, 0.78; p 0.05, respectively). \circled3 There was no correlation among IL-6, TNF-$\alpha$ and TnT. Conclusion: In conclusion, these data showed that elevated production of serum IL-6 during CPB was attributable to ischemia/reperfusion induced-myocardial damage. IL-6 will become a new and sensitive biological marker in assessment of myocardial damage during OHS with CPB. However, further studies will be needed to apply IL-6 in more patient population.

  • PDF

체외순환에 의한 혈청 Magnesium의 변화 (The Effect of Cardiopulmonary Bypass on Serum Magnesium)

  • 채헌;노준량;서경필;이영균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9권2호
    • /
    • pp.239-244
    • /
    • 1976
  • Alterations in the serum magnesium level were studied in twenty patients who had open-heart surgery during the period from August 1974 to May 1975. The patients were chosen at random. The operative procedures included repair for congenital heart diseases in fifteen patients and cardiac valve replacement for acquired valvular heart diseases in five patients. The age ranged from 8 to 46 years, with an average of 19 years. None of the patients had a history of gross neuromuscular abnormalities. Cardiopulmonary bypass was carried out using a roller pump and a disposable oxygenator. The prime solution consisted of 2 units of ACD banked blood and approximately an equal volume of non-blood additives in adults, while a relatively smaller volume was added in children. The average flow rate was 2,733 ml per minute. Blood samples for magnesium and arterial blood pH were obtained the day after admission 25 minutes after initiation of the bypass and on the morning the day after operation. Preoperative data were then compared with those obtained during the bypass and postoperatively by a paired test. During the bypass, the serum magnesium level decreased significantly from $1.425{\pm}0.029$ to $1.210{\pm}0.063mEq.$ liter (p<0.001). Also, there was a significant decrease in serum magnesium from $1.425{\pm}0.029$ preoperatively to $1.255{\pm}0.083mEq$. per liter (p<0.001). Also, there was a significant decrease in serum magnesium from $1.425{\pm}0.029$ preoperatively to $1.255{\pm}0.083mEq$. per liter postoperatively (p<0.01). The duration of bypass was less than 90 minutes in 10 patients (group A) and exceeded 90 minutes in the remaining 10 (group B). There was no statistical correlation between the groups A and B ($p{\gg}0.20$). Statistical analyses of the serum magnesium level and arterial blood pH showed no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correlation coefficient; being -0.3485(pre-op), -0.2971(during bypass), and -0.1008(post-op), respectively. In all the patients, no gross neuromuscular abnormalities were found postoperatively. At present, the clinical significance of the serum magnesium level during and after bypass is controversial. In the near future, however, it is expected that improvements in prime solution and heart-lung machine will solve this problem.

  • PDF

심폐바이패스시 혈액응고체계 변화의 혈전탄성검사 분석 - 단일 저용량 아프로티닌 투여 효과 분석 - (Thromboelastographic Analysis of the Coagulation System During Cardiopulmonary Bypass -Analysis of the Effect of Low-Dose Aprotinin)

  • 김관민;박계현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0권7호
    • /
    • pp.677-685
    • /
    • 1997
  • 혈전탄성검사(혈전탄성검사, thomboelastography)는 혈전 생성 전 과정에 대한 신속한 정보를 제공해 주는 유용한 측정 방법 중의 하나이며, 많은 수술 과정에서 발생하는 혈액응고 장애의 진단을 용이하게 함으로써 적절한 치료를 가능케 한다. 최근, 단백질분해효소 억제제인 아프로티닌에 의해 심폐바이패스 후의 혈액응고 장애에 의한 출혈 문제가 많이 해결되었지만,그 지혈 작용 기전은 아직 정확히 알려져 있지 않다. 이 연구 는 개심술을 시행 받은 환자들에서 아프로티닌이 심폐바이패스에 의한 혈액응고 체계 변화에 미치는 효과를 혈전탄성검사로 분석하기위하여 시행하였다 20세 이상 성인 개심슬 환자 40명을 2개의 군으로 나누어 시행하였다. 대조군(남 10명, 여8명, 평균연령 53.4세)은 심폐기 충전액에 아프로티닌을 투여하지 않았고, 아프로티닌군(남 14명, 여 8명, 평균연령 50.8세) 은 심폐기 충전액에 아프로티닌 2백만 KIU(kallikrein inhibition unit)를 투여하였다. 이 들을 대상으로, 심폐바 이패스 전, 후( 프로타민에 의한 헤파린 효과 중화 30분 후)에 혈전탄성검사와, 활성응고시간, 프로트롬빈시 간, 활성부분트롬보플라스틴시간, 혈소 \ulcorner수, 섬유소원과 섬유소용해물질 농도 등 일반적인 혈액응고 검사들 을 시행하였다. 일반적인 혈액응고 검사상에서는, 두 군간에는 섬유소용해물질이 대조군에서 심폐바이패스 후 아프로티닌 군 보다 의미 있게 증가한 것(p<0.05)을 제외하고는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혈전탄성검사에서는 혈전형성 시간(K)과 $알파각(\alpha^{\circ})이$ 두 군 모두에서 심폐바이패스 후에 각각 증가 및 감소하였으나(p<0.05), 섬유소용해 지수(LYS60)는 차이가 없었다. 아프로티닌군에서는, 반응시간(R)은 심폐바이패스 후에 감소하였으나(p<0.09) 혈전강도최대치(h4A)는 변화가 없었다. 반면 대조군에서는, 반응시간은 변화가 없었으나 혈전강도최대치는 의미 있게 감소하였다(p<0.05). . 이상의 결과로부터, 심폐바이패스 시 혈액응고 체계의 주된 변화는 혈소판 기능 저하에 의한 혈전 강도의 저하이고, 과도한 섬유소용해의 증가는 일어나지 않으며, 아프로티닌은 심폐바이패스 후의 혈액응고 체계에 서 초기에는 항혈액응고 작용을 갖지만, 심폐바이패스에 의한 혈소판 기능의 저하를 억제하여, 일단.혈전이 형성되기 시작하면 혈전강도를 심폐바이패스 전 상태로 유지하는 효과를 갖는다고 \ulcorner각된다.

  • PDF

쥐 심폐바이패스 모델에서 심정지액 주입용 열교환기를 이용한 직장체온 유지 (Rectal Temperature Maintenance Using a Heat Exchanger of Cardioplegic System in Cardiopulmonary Bypass Model for Rats)

  • 최세훈;김화룡;백인혁;문현종;김원곤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9권7호
    • /
    • pp.505-510
    • /
    • 2006
  • 배경: 쥐를 이용한 심폐바이패스 모델은 시간 및 비용의 절감, 관리의 용이, 큰 실험실의 불필요, 그리고 반복실험의 용이 등 많은 장점이 있으나 기술적인 어려움 또한 크다. 열교환기를 이용한 효율적인 중심체온 유지 및 조절 역시 이러한 문제점 중의 하나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쥐 심폐바이패스 모델을 위해 기존의 상용화된 산화기를 소동물용으로 개조한 뒤 심정지액 주입용 소형 열교환기를 이용하여 충전액을 최소화한 상태에서 인공심폐기에 의한 효율적인 체온 유지가 가능한지를 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수컷 쥐(Sprague-Dawley,평균 530 g) 10마리를 각 5예씩 나누어 열교환기를 사용한 군과 사용하지 않은 군으로 구분하였다. 열교환기는 심정지액 주입용 열교환기를 개조하여 사용하였으며 산화기를 포함한 전체 정지 충전용량은 40 cc였다. 열교환기를 사용하지 않은 군에서는 저혈조 주위에 온수를 순환시켰다. 실험동물 마취 후 동맥 삽관은 대퇴동맥 및 내경동맥에 정맥 삽관은 외경정맥에 시행하고 부분 심폐바이패스(40 ml/kg/min)를 20분간 유지하였다. 두 군간의 비교 분석을 위해 직장 체온을 각각 마취 직후, 동정맥 삽관 후, 심폐바이패스 후 5, 10, 15, 20분에 측정하였다. 심폐바이패스 후 5, 15분에는 헤모글로빈 및 동맥혈 가스분석을 동시에 측정하였다. 결과: 쥐에서의 심폐바이패스 운용은 안정적으로 유지되었으며, 심폐바이패스 후 5분부터 두 군간의 체온 차이는 유의하였다(p<0.01). 20분 후 체온은 각각 $36.16{\pm}0.32^{\circ}C$$34.22{\pm}0.36^{\circ}C$였다. 결론: 본 연구는 소동물 심폐바이패스 모델에서 심정지액 주입용 열교환기를 이용하여 충전액에 대한 영향을 최소화하면서 효율적인 체온유지가 가능함을 증명하였다. 이러한 실험 결과는 향후 저체온 심폐바이패스 운용에 관한 실험 모델로 쥐를 폭넓게 이용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크다.

충전용 농축적혈구의 세척 및 체외순환로의 전순환-초여과법이 개심수술에 의한 사이토카인 형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Packed Red Blood Cell Washing and Circuit Precirculation-Ultrafiltration on the Production of Cytokines by Open Heart Surgery)

  • 전태국;노준량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5권3호
    • /
    • pp.199-208
    • /
    • 2002
  • 배경: 적혈구세척법(체외순환로 충전시 사용되는 농축 적혈구를 헤파린 용액으로 세척하여 충전)은 충전용 농축적혈구액에 포함되어 있는 염증반응 전구 물질 및 각종 손상된 세포 및 미립자들을 제거할 수 있으며, 전순환-초여과법(체외순환전에 체외순환로를 자체 전순환 시킨후 초여과법을 적용)은 체외순환로에 의한 초기 염증반응을 둔화시키고 염증반응 매개체들을 제거할 수 있다 본 연구자는 상기 방법들이 수술시 형성되는 염증반응 매개체중 허혈후 재관류 손상에 관여하는 각종 사이토카인들의 형성을 억제할 수 있을 것이라 가정하여, 실제 임상 환자를 대상으로 상기 방법들을 적용하면서 각종 사이토카인의 체외순환 및 수술 시간에 따른 변화를 측정하여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본 연구자는 심실중격결손증으로 개심술을 받는 48명의 환아를 대상으로 하여, 대조군(C군, n=12), 적혈구 세척군(W군, n=12), 전순환-초여과군(F군, n=12), 혼합군(WF군, n=12) 으로 나누어 적혈구 세척법과 전순환-초여과법을 시행한 후에 체외순환을 적용하면서 tomor necrosis factor-$\alpha$(TNF-$\alpha$)와 interleukin-6 (IL-6) 및 interleukin-8 (IL-8) 등의 체외순환 및 수술 시간경과에 따른 변화를 측정 비교 분석 하였다. 결과: TNF-$\alpha$, IL-6, IL-8 등의 변화는 시간에 따라 각군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01, p=0.001, p=0.005). TNF-$\alpha$의 변화는 대조군(C군), 세척군(W군), 전순환-초여과군(F군) 사이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p=0.264), 혼합군(WF군)에서는 다른 군들에 비해 낮게 측정되었다(p<0.05). IL-6의 변화는 세척군(W군), 전순환-초여과군(F군), 혼합군(WF군) 사이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p=0.053), 각군 모두 대조군(C군)에 비해 낮게 측정되었다(p<0.05). IL-8의 변화는 세척군(W군), 전순환-초여과군(F군), 혼합군(WF군) 사이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p=0.067), 대조군(C군)과 전순환-초여과군(F군) 사이에서도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못하였으나(p=0.086), 세척군(W군)과 혼합군(WF군)에서는 대조군(C군)에 비해 낮게 측정되었다(p<0.05). 결론: 이상의 결과는 적혈구 세척법과 전순환-초여과법이 체외순환을 이용한 개심수술시 사이토카인 형성 억제에 효과가 있음을 구명하였다. 그러나, 상기 방법들을 임상에서 확대적용 하기 위해서는 실질적으로 임상 경과에서 얻을 수 있는 장점에 관한 연구가 추가적으로 시행되어야 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