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arbon Source

검색결과 2,755건 처리시간 0.029초

C. I. Reactive Blue 114의 분해에 미치는 혐기성 UASB 반응기 운전조건의 영향 (Effect of Operating Conditions of UASB Reactor on Biodegradation of C. I. Reactive Blue 114)

  • 오유관;이성호;김효섭;박태주;박성훈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619-627
    • /
    • 2000
  • 혐기성 UASB 반웅기를 이용하여 C. I. Reactive Blue 114 생분해를 위한 운전조건을 구하고자 하였다. 운전조건의 중요한 변수로서 염료농도, 탄소원의 종류 및 농도, HRT, 유입 pH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보조탄소원인 포도당은 염료제거에 있어 휘발성 지방산보다 더 우수하였으며, 포도당 $1000{\sim}3000mg/{\ell}$ 범위에서 염료제거율에 거의 영향이 없었다. HRT가 6시간에서 24시간으로 증가하였을 때 염료제거율은 HRT 12시간까지 증가하였으며 그 이상에서는 거의 일정한 값인 40%를 유지하였다. 유입 pH가 6.0~8.0 범위에서 변화하였을 때 유출수 pH는 6.8~7.5로 나타났고, pH 7.0에서 최대 염료제거율을 보였다. 본 연구에서 획득한 최대 염료제거속도는 $52mg/{\ell}{\cdot}day$이었지만 색도 환경기준치를 만족하는 최대 염료부하량은 $46mg/{\ell}{\cdot}day$로 나타났고, 이때의 운전조건은 HRT 12시간, 포도당 농도 $2200mg/{\ell}$이었다.

  • PDF

고도정수처리 공정에서 DOC 분획 특성 및 AOX(FP)와의 관계 (Fractionation of DOC and its Correlation to AOX(FP) in the Advanced ater Treatment Process)

  • 이병천;최경희;최자윤;이철희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1권10호
    • /
    • pp.909-918
    • /
    • 2009
  • 급수시스템에서 박테리아 재성장의 영양원이 되는 DOC를 정수처리 공정에서 효과적으로 저감시키기 위하여 생분해와 흡착으로 구분하여 네 종류의 DOC로 분획하였고 각각의 제거특성을 연구하였다. 네 종류의 분획 DOC는 흡착성을 가지면서 생분해성이 없는 AnBDOC, 흡착성이 없고 생분해성만이 있는 nABDOC, 흡착과 생분해성을 동시에 나타내는 ABDOC, 흡착과 생분해가 되지 않는 nAnBDOC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낙동강 중류에 위치한 정수처리장 원수의 조사결과, ADOC가 BDOC보다 약간 높은 비율로 존재하고 있으며, 오존산화 후에는 분획 DOC 중에서 AnBDOC 농도가 가장 많이 제거되었으며, 제거율은 nAnBDOC가 49.5%로 가장 높았다. BAC 공정으로 제거된 분획 DOC 중에는 ADOC가 약 91%를 차지하고 있으므로 흡착에 의한 제거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고, 잔류하는 TDOC 0.50 mg/L 중에는 ADOC가 0.46 mg/L(67.7%)을 차지하고 있으므로 배수관내 미생물 증식 및 소독부생성물의 생성 방지를 위하여 BAC 공정상에서 EBCT증가, 재생주기 등의 운전조건을 개선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수처리 공정에서 DOC분획 결과로부터 흡착이나 생분해 등으로 제거 가능량을 파악할 수 있으므로 정수처리 공정에 유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염소처리하는 정수처리 공정에서 DOC분획 농도와 밀접한 관계를 가지는 AOX의 분석결과, AOX 7.1 ${\mu}g$/L은 오존산화와 활성탄흡착 공정으로 0.51 ${\mu}g$/L까지 충분히 제거되었다.

된장으로부터 분리된 Bacillus subtilis CBD2의 생육특성 및 amylase 활성 (Amylase activity and characterization of Bacillus subtilis CBD2 isolated from Doenjang)

  • 양수진;이대훈;박혜미;정희경;박창수;홍주헌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286-293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식품산업에 적용 가능한 amylase의 발굴을 위하여 된장으로부터 amylase를 생산하는 균주를 분리하였고, 분리된 미생물들의 동정을 통하여 GRAS 미생물로 부터 생산되는 amylase에 대한 효소 특성을 규명하였다. 그 결과 균주 유래 16S ribosomal RNA 유전자 염기서열에서 B. subtilis로 동정되어 본 균주를B. subtilis CBD2로 명명하였다. B. subtilis CBD2 균주의 생육에 미치는 배지 성분에 대한 특성을 검토한 결과 본 균주는 pH 7.0, NaCl 3%, glucose 10%에서 가장 높은 균 생육 특성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본 균주의 amylase 생산에 미치는 탄소원의 영향을 검토한 결과, 본 균주는 soluble starch, corn starch, maize amylopectin 및 wheat starch 중에서 soluble starch를 탄소원으로 사용하였을 때 가장 높은 amylase 생산성을 나타내었다. B. subtilis CBD2유래 amylase의 활성에 미치는 반응조건을 검토한 결과 본 균주 유래 amylase는 pH 8.0 그리고 $50^{\circ}C$에서 가장 높은 효소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기질특이성에 대한 검토에서는 corn starch>wheat starch>soluble starch>maize amylopectin 순으로 효소 활성을 나타내었다. B. subtilis CBD2가 생성하는 amylase 효소와 corn starch 기질 반응에 대한 전분 분해능 및 당 생성율 변화에서는 24시간에서 가장 높은 전분 분해능 및 당 생성율을 나타내어 corn starch를 이용한 효소 반응은 24시간이 가장 적절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분리된 균주는 GRAS 미생물인B. subtilis이었으며 본 균주 유래의 amylase 특성을 활용한다면 향 후 식품산업에 있어서 전분 분해 관련 분야에 유용하게 이용될 것으로 기대되어진다.

Bacillus subtilis B0021가 생산하는 Gelatin 분해성 Proteolytic Enzyme 생산의 최적의 연구 (A Study on the Optimum Conditions of Gelatin-Degrading Proteolytic Enzyme Production from Bacillus subtilis B0021)

  • 백대헌;이항우복성해
    • KSBB Journal
    • /
    • 제10권4호
    • /
    • pp.374-385
    • /
    • 1995
  • Gelatin 분해성 proteolytic enzyme 생성균인 B. subtilis 80021가 생산하는 세포외 단백칠 분해효소 생산을 위한 영양 요구성과 배양조건을 검토한 결과 는 다음과 같다. 영양요구성은 1.5%(w/v) glucose와 2.5% (w/v) yeast extract에서 효소활성도가 최고치를 나타내였고 metalion은 $Co^{2+}, Zn^{2+}$효소생성의 저해제로 작용한 반면 $Fe^{2+}와 Mn^{2+}$에서는 촉진제로 작용 하여 최고 3.5배 효소생산생이 증가하였다. 아미노산 첨가 영향에서는 대부분의 아미노산이 효소활생 을 촉진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였다. 배지의 최적초기 pH는 7.0 부근이며 배양온도는 $35^{\circ}C$에서 효소에 따 라 다소 차이는 였었으나 배양시간 30시간 정도에서 최고의 효소생산성을 나다내었고 30°C에서는 42시간째에 효소활성도가 최고치를 나타내였다. Tannic acid 첨가에 대한 만백질 분해효소 생산에서는 발효 애지에 tannic acid 첨가시 완전한 효소생산 저해제로 작용하였으며 salicin을 탄소원으로 한 salicinase assay에서는 온도 빛 배양시간에 관계없이 효소활성 을 보이지 않았고 복합탄소원 이용에 대한 amylase assay에서는 $35^{\circ}C$, 36시간째에 최대의 효소활성을 나타내였고 Invertase assay에서는 $35^{\circ}C$, 30시간째 에 최대 효소활성도 2.5unit/ml을 나타내였다. 또한 gelatin 가수분해능에서는 45% (w/v)의 gelatin 용 액의 점도가 발효조효소액에 의해 96% (mPas)의 정도저하를 가져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PDF

쪽 염료 니람으로부터 Comamonas sp.와 Microbacterium sp.의 분리 및 특성분석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Comamonase sp. and Microbacterium sp. from Deep Blue Sediment Dye of Polygoum tinctoria, Niram)

  • 장성은;이남근;이유리;최미성;정용섭
    • KSBB Journal
    • /
    • 제28권1호
    • /
    • pp.60-64
    • /
    • 2013
  • Two strains were isolated from the traditional Deep Blue Sediment Dye of Polygoum tinctoria, Niram, and temporarily named Niram A and Niram B, respectively. The phylogenetic analysis revealed that strain Niram A and B were closely related to the members of the genus Comamonas and Microbacterium, respectively. Strain Niram A exhibited the highest 16S rRNA gene sequence similarity to C. aquatica LMG $2370^T$ (98.06%). Strain Niram B showed 100% homology with M. oxydans DSM 20578T and M. maritypicum DSM $12512^T$. The growth of the strain Niram A and B was not inhibited in Niram medium containing high calcium concentration without free sugar as carbon source. The reducing Niram is greenish. Therefore, the reducing ability on the Niram of the strains Niram A and B were determined with the color difference of the $a^*$ values of Niram fermented-fluids. The $a^*$ value indicates the level of redness (positive value) or greenness (negative value). The green color is increasing towards the negative value. In all samples fermented for 10 days, the $a^*$ values among samples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However, samples fermented for 15 days have an appreciable change. After fermentation for 15 days, the control Niram sample had $-3.96{\pm}0.02$ of the $a^*$ value. On the other hand, the Niram samples fermented with the strain Niram A and B showed $-4.20{\pm}0.02$ of the $a^*$ value and $-7.86{\pm}0.03$ of the $a^*$ value, respectively. In the reducing ability on the Niram, the strain Niram B was significantly better than the strain Niram A.

납사타르피치의 연소 및 수증기 가스화 반응특성 (Characteristics of Steam Gasification and Combustion of Naphtha Tar Pitch)

  • 김욱영;손성모;강석환;강용;김상돈;정헌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45권6호
    • /
    • pp.604-610
    • /
    • 2007
  • 납사타르피치의 연소 및 수증기 가스화의 반응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납사타르피치를 탄소원으로 사용하여 열중량분석을 수행하였다. 반응의 활성화에너지, 반응차수, 빈도인자 등을 구하기 위하여 Friedman 방법과 Ozawa-Flynn-Wall 방법이 사용되었다. Friedman 방법을 사용하여 반응전환에 따른 연소의 활성화에너지를 구하였는데, 0.2~0.6 정도의 전환이 일어났을 때는 활성화에너지가 41.6~68.1 kJ/g-mol이었다. 0.9~1.0 정도의 전환이 일어났을 때는 183.1~191.2kJ/g-mol이었다. 그리고 수증기 가스화에 대해서는, 0.2~0.6 반응전환에서 활성화에너지는 31.9~44.9 kJ/g-mol이었다. 0.8~0.95 전환에서는 70.6~87.8 kJ/g-mol이었다. 이러한 결과로 미루어보아 반응은 탈휘발화와 연소 또는 가스화 반응의 두 단계로 진행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Gluconobacter uchimurae GYS15 균주로부터 생산되는 Biocellulose의 특성 확인 (Characteristics of Biocellulose by Gluconobacter uchimurae GYS15)

  • 이영선;김재영;차미연;강희철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247-255
    • /
    • 2016
  • 화장품 소재로서 천연고분자 물질인 Biocellulose (BC)를 형성하는 균주를 선발하여 초산생성 균주를 선발하였다. SM 배지를 통하여 초산 생성 균주 1종을 선발하고 형태학적인 분석을 통하여 간균형태의 그람음성균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균주의 동정을 위하여 16S rDNA 유전자 분석을 통하여 계통도를 분석한 결과 Gluconobacter uchimurae (G. uchimurae)와 높은 상동성을 나타내어 G. uchimurae GYS15 균주로 명명하였다. 선발된 균주는 pH 5, $25^{\circ}C$ 조건의 환경적 요인에서 14일간 배양하였을 때 가장 높은 생육을 나타내었다. 또한 탄소원으로 glucose 이외에 이당류인 sucrose와 fructose를 첨가 하였을 때 가장 높은 생육활성을 보였고 최적의 염농도와 질소원은 0.5% NaCl과 malto extract로 확인하였다. 확인된 조건 하에서 G. uchimurae GYS15 균주를 배양하여 얻어진 BC의 물성을 확인하였다. 전자 주사현미경을 통하여 확인된 표면구조는 높은 표면적을 갖는 초미세망상구조로서 다공성 구조를 나타내었다. 이로 인해 수분의 경우 $8.6{\pm}0.38$배, 유분의 경우 $6.6{\pm}0.51$배까지 재흡수 되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따라서 BC의 이러한 구조적 특성을 이용하여 마스크팩 등의 다양한 화장품 소재로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공공용 업무시설의 신재생에너지시스템 최적화 연구 (A Study on the Optimization of New Renewable Energy Systems in Public-Purpose Facilities)

  • 이용호;서상현;조영흠;황정하
    • 한국태양에너지학회 논문집
    • /
    • 제33권5호
    • /
    • pp.95-104
    • /
    • 2013
  • This study set out to devise an optimized system to take into account life cycle cost(LCC) and ton of carbon dioxide($TCO_2$) by applying the weighted coefficient method(WCM) to "public-purpose" facility buildings according to the mandatory 5% and 11% of new renewable energy in total construction costs and anticipated energy consumption, respectively, based on the changes of the public obligation system. (1) System installation capacity is applied within the same new renewable energy facility investment according to the mandatory 5% of new renewable energy in total construction costs. Both LCC and $TCO_2$ recorded in the descending order of geothermal, solar, and photovoltaic energy. The geothermal energy systems tended to exhibit an excellent performance with the increasing installation capacity percentage. (2) Optimal systems include the geothermal energy(100%) system in the category of single systems, the solar energy(12%)+geothermal energy(88%) system in the category of 2-combined systems, and the photovoltaic energy(12%)+solar energy(12%)+geothermal energy(76%) system and the photovoltaic energy(12%)+solar energy(25%)+geothermal energy(63%) system in the category of 3-combined systems. (3) LCC was the highest in the descending order of photovoltaic, geothermal and solar energy due to the influences of each energy source's correction coefficient according to the mandatory 11% of new renewable energy in anticipated energy consumption. The greater installation capacity percentage photovoltaic energy had, the more excellent tendency was observed. $TCO_2$ recorded in the descending order of geothermal, photovoltaic and solar energy with the decreasing installation capacity of photovoltaic energy. The greater installation capacity percentage a geothermal energy system had, the more excellent tendency it demonstrated. (4) Optimal systems include the geothermal energy(100%) system in the category of single systems, the photovoltaic energy(62%)+geothermal energy(38%) system in the category of 2-combined systems, and the photovoltaic energy(50%)+solar energy(12%)+geothermal energy(38%) system and the photovoltaic energy(12%)+solar energy(12%)+geothermal energy(76%) system in the category of 3-combined systems.

Candida muscorum의 Amylase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ies on the Amylase Produced by Candida muscorum)

  • 박윤중;윤한교;손천배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7권4호
    • /
    • pp.243-249
    • /
    • 1975
  • 분리보존중(分離保存中)인 Candida muscorum의 밀기울 고체배양(固體培養)에 있어서의 amylase 생성조건(生成條件)과 그 amylase(조효소(粗酵素))의 성질(性質)에 대(對)하여 검토(檢討)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밀기울 고체배양(固體培養)에 있어서 amylase의 최적생산조건(最適生産條件)은 가수량(加水量) 75%, 배양온도(培養溫度) $25^{\circ}C$, 배양기간(培養期間) $4{\sim}7$일(日)이었다. 2. 밀기울에 ${(NH_4)}_2SO_4$$NH_4Cl$을 0.5% 첨가(添加)한 배지(培地)에서는 액화효소(液化酵素) 및 당화효소(糖化酵素)의 생성(生成)이 약(約) 20% 증가(增加)되었으며, $NO_3$태질소화합물(態窒素化合物) 첨가배지(添加培地)에서는 효소(酵素) 생성(生成)이 저해(沮害)되었다. 3. Amylase 생성(生成)에 있어서 탄소원(炭素原) 첨가효과(添加效果)는 없었다. 4. 실험균주(實驗菌株)의 액화효소(液化酵素)의 작용최적(作用最適) pH는 4.2, 작용최적온도(作用最適溫度)는 $60{\sim}65^{\circ}C$, 안정(安定) pH 범위(範圍)는 $3.2{\sim}6.8$, 내열성(耐熱性)은 $65^{\circ}C$이하(以下)(15분간(分間) 처리(處理))이었다. 5. 실험균주(實驗菌株)의 당화효소(糖化酵素)의 작용최적(作用最適) pH는 4.5, 작용최적온도(作用最適溫度)는 $55^{\circ}C$, 안정(安定) pH범위(範圍)는 $3.8{\sim}6.2$, 내열성(耐熱性)은 $45^{\circ}C$이하(以下)(15분간(分間) 처리(處理))이었다.

  • PDF

지방분해효소 생산균 Pseudomonas sp. OME 의 분리 동정 및 배양조건 최적화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Lipolytic Enzyme Producing Pseudomonas sp. OME and Optimization of Cultural Conditions)

  • Kumar, G.Satheesh;Reddy, T. Kiran;Madhavi, B.;Teja, P.Charan;Chandra, M.Subhosh;Choi, Yong-Lark
    • 생명과학회지
    • /
    • 제20권5호
    • /
    • pp.662-669
    • /
    • 2010
  • 폐식용유에서 지방분해효소를 생산하는 세균을 분리하였고, PIBWIN 세균동정 방법으로 생리 생화학적 특성을 조사하여 확인한 결과 Pseudomonas sp. OME로 동정하였다. 여러 기질로 지방분해효소 생산을 조사한 결과 올리브유에서 6.1 U/ml의 생산력을 나타내었다. 물리적 인자인 배양시간, 온도. pH 및 올리브유와 효모 추출액의 영양인자에 의한 지방분해효소 생산 조건을 조사 하였다. 효소의 분비는 배양시간. 올리브유 와 효모 추출액의 농도에 강한 영향을 받았으며, RSM을 이용한 최적화는 이들 인자를 가지고 조사하였다. RSM을 이용한 지방분해효소 생산은 배양시간. 올리브유와 효모 추출액의 농도가 48 hr, 0.3 g, 및 0.9 ml에서 최적 생산조건을 나타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