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arbon Dioxide Separation

검색결과 191건 처리시간 0.028초

병류흐름의 중공사 분리막에 의한 이산화탄소 분리 수치 해석 (Numerical Analysis for Separation of Carbon Dioxide by Hollow Fiber Membrane with Cocurrent Flow)

  • 이용택;송인호;안효성;이영진;전현수;김정훈;이수복
    • 멤브레인
    • /
    • 제16권3호
    • /
    • pp.204-212
    • /
    • 2006
  • 이산화탄소에 대한 가소화 안정성 및 이산화탄소/질소의 분리특성이 탁월한 폴리이서술폰(PES)중공사 분리막에 의한 이산화탄소 분리특성을 수치해석으로 알아보고자 하였다. 공정변수에 따른 이산화탄소 분리 거동을 예측하기 위하여 공급 기체와 투과기체가 같은 방향으로 흐르는 병류 흐름에 대한 분리막 공정 지배 방정식을 5차 Runge-Kutta-Verner 방법을 사용하여 Compaq Visual Fortran 6.6 소프트웨어를 이용 공정모사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수치해석을 수행한 결과, 이산화탄소 투과특성에 영향을 주는 가장 중요한 인자로서 공급 이산화탄소 분압, 투과측과 분리막 내부의 압력비 그리고 공급 기체가 분리막 내부에 머무르는 체류 시간임을 알 수 있었다.

바이오가스의 $CH_4$, $CO_2$의 분리방법 연구 (A Study for Separation of $CH_4$ and $CO_2$ from Biogas)

  • 이택홍;김재영;장세훈;이효석;최익환
    • 한국수소및신에너지학회논문집
    • /
    • 제21권1호
    • /
    • pp.72-79
    • /
    • 2010
  • This paper is studying the selective separation of methane and carbon dioxide which are the main ingredients of biogas. Adsorption performance of molecular sieve 13x for carbon dioxide seems to be reasonable. In this experiments carbon dioxide contains about 3~5 ppm of methane and it is impossible to obtain high purity carbon dioxide. Applying the low temperature technique, it is possible to separate methane and carbon dioxide from bio gas. PRO II simulation shows results a small change of liquefaction temperatures and no difference with the used thermodynamic models. Applying low temperature technique, It is possible to separate carbon dioxide and methane from biogas.

아민 차수에 따른 고체 흡수제의 이산화탄소 분리 특성 (Characteristics of Carbon Dioxide Separation for Solid Absorbents According to Amine Order)

  • 장현태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61권4호
    • /
    • pp.619-626
    • /
    • 2023
  • 건식 이산화탄소 분리공정에서 아민 구조체의 운전 특성을 규명하기 위하여 1차 아민과 2차 아민 구조체를 합성하였다. TSA 조건에서 1차 아민과 2차 아민 건식 포집 분리제의 분리 특성을 연구하였다. (3-Aminopropyl) triethoxysilane을 1차 아민 전구체로 가교제로 이용하여 가교 결합된 2차 아민 전구체를 합성하였다. 합성된 2차 아민 전구체를 Tetraethyl orthosilicate를 구조배양제로 사용하여 2차 아민 고체상 이산화탄소 분리제를 합성하였다. 1차 및 2차 아민 구조체의 TSA 공정조건에서 이산화탄소 분리 특성을 비교하였다. 1차 아민에 흡수된 이산화탄소 분리는 170 ℃ 이상에서 완전히 이루어지나 이산화탄소에 의하여 아민이 우레아로 전환되며, 아민기 손실이 발생되었다. 아민 손실이 낮은 130 ℃ 재생시 1차 아민 분리제의 공정 운전성능(working capacity)은 본 구조체의 경우 2% 이하로 나타났다. 2차 아민이 낮은 재생온도에서 높은 이산화탄소 분리능을 나타내었다. 이산화탄소 2% 흡수 분위기와 100% 재생분위기에서 약 6.5%의 공정 운전 성능을 예측할 수 있었다.

Removal of iron oxide scale from boiler feed-water in thermal power plant by high gradient magnetic separation: field experiment

  • Akiyama, Yoko;Li, Suqin;Akiyama, Koshiro;Mori, Tatsuya;Okada, Hidehiko;Hirota, Noriyuki;Yamaji, Tsuyoshi;Matsuura, Hideki;Namba, Seitoku;Sekine, Tomokazu;Mishima, Fumihito;Nishijima, Shigehiro
    • 한국초전도ㆍ저온공학회논문지
    • /
    • 제23권3호
    • /
    • pp.14-19
    • /
    • 2021
  • The reduction of carbon dioxide emissions becomes a global issue, the main source of carbon dioxide emissions in the Asian region is the energy conversion sector, especially coal-fired power plants. We are working to develop technologies that will at least limit the increase in carbon dioxide emissions from the thermal power plants as one way to reduce carbon dioxide emissions. Our research aims to reduce carbon dioxide emissions by removing iron oxide scale from the feedwater system of thermal power plants using a superconducting high-gradient magnetic separation (HGMS) system, thereby reducing the loss of power generation efficiency. In this paper, the background of thermal power plants in Asia is outlined, followed by a case study of the introduction of a chemical cleaning line at an actual thermal power plant in Japan, and the possibility of introducing it into the thermal power plants in China based on the results.

용존이산화탄소부상(DCF) 공정의 입자분리 특성과 부상효율 (Particle Separation and Flotation Efficiency by Dissolved Carbon Dioxide Flotation Process)

  • 곽동희;김성진;정흥조;박양균;유영훈;이영동
    • 상하수도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471-478
    • /
    • 2011
  • A series of laboratory experiment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particle separation efficiency and flotation characteristics using $CO_2$ bubbles. The primary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feasibility of $CO_2$ bubbles as an applicable unit of flotation process in tap-water and wastewater treatment plant. The fundamental measurements were conducted to characterize the $CO_2$ bubble from the physical viewpoint in water including bubble size distribution and rising velocity under various operational conditions. In addition, the removal efficiency of solid was experimented using the lab scale plant applied $CO_2$ bubbles, namely the dissolved carbon dioxide flotation (DCF) process. The DCF process using carbon dioxide bubble, which is an advantage as the decrease and the reuse of Green-House gas, can be a promising technology as an water treatment process. On the other hand, the further research to decrease the bubble size distribution of $CO_2$ is required to enhance the particle separation efficiency.

Polyethersulfone 중공사 분리막에 의한 이산화탄소 분리 : 실험과 수치해석 비교 (Carbon Dioxide Separation by Hollow Fiber Membrane of Polyethersulfone : Comparison of Experimental Results with Numerical Analysis Data)

  • 이용택;송인호;안효성;전현수;정헌규;김정훈;이수복
    • 멤브레인
    • /
    • 제17권2호
    • /
    • pp.134-139
    • /
    • 2007
  • 동일 운전 조건에서 폴리이서술폰 중공사 분리막을 이용하여 혼합 기체로부터 이산화탄소 분리 실험과 수치해석으로 얻어진 결과를 비교하였다. 순수한 기체의 투과도로부터 구한 이상 선택도를 활용한 예측값과 실험값이 많은 차이 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이산화탄소 투과도와 선택도를 혼합 기체 분리 실험 결과로부터 구한 후 공급 이산화탄소 몰 분율, 공급 압력과 투과측 압력의 함수로서 투과도와 선택도를 얻을 경우 수치해석 예측값과 실험값이 잘 일치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아민기 개질 탄소를 이용한 이산화탄소 분리 특성 (Characteristics of carbon dioxide separation using amine functionalized carbon)

  • 차왕석;임병준;김준수;이성연;박태준;장현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2권4호
    • /
    • pp.17-24
    • /
    • 2021
  • 새로운 이산화탄소 분리용 흡착제 개발은 흡착속도, 소수성, 상용 흡착제보다 낮은 재생온도 등을 고려하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CO2를 분리하기 위하여 아미노실란이 그라프팅된 활성탄을 합성하였다. 아민 작용기 전구체로 methyltrimethoxysilane(MTMS) and 3-Aminopropyl-triethoxysilane(APTES)을 사용하여 그라프팅하였다. APTES를 그라프팅 활성탄이 MTMS을 사용한 것보다 우수한 흡착 특성을 나타내었다. 온도 및 이산화탄소 분압에 따른 흡착 특성으로 이산화탄소 분리 메커니즘을 규명하였다. 이산화탄소의 흡수/흡착능은 25 ℃에서 아민 그라프팅 활성탄과 활성탄과 비슷하지만 아민 그라프팅 활성탄이 75 ℃에서 더 높게 나타났다. 아민 작용기 그라프팅 활성탄은 이산화탄소 분압이 1 % 인 조건에서 활성탄보다 더 우수한 흡수능을 나타내었다. 아미노실란 그라프팅 활성탄은 물리적 흡착 특성을 지닌 화학적 흡수 메카니즘을 나타내었다. 아민 작용기가 부여되어 개질된 고체상 흡수/흡착제는 이산화탄소 흡착/흡수 공정만 아닌 재료 관련 산업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고성능 복합 재료이며, 개발된 흡착제는 흡수/흡착 및 분리 관련 산업 공정에 적용될 수 있다.

온실기체 분리회수를 위한 막분리기술 연구 동향 (Research Trend of Membrane Technology for Separation of Carbon Dioxide from Flue Gas)

  • 김정훈;임지원;이수복
    • 멤브레인
    • /
    • 제12권3호
    • /
    • pp.121-142
    • /
    • 2002
  • 본 총설에서는 지구온실기체인 배가스내의 이산화탄소의 분리기술중 가장 잠재성이 큰 막분리기술에 관해 기술하였다. 고분자막에 대한 기체투과(용해확산)이론과 이산화탄소/질소의 물리적인 특성을 배경으로, 많은 문헌에서 발표된 고분자소재의 투과데이터를 분석하고 이를 통해 고분자막의 물리화학적인 구조와 이산화탄소/질소의 투과선택성의 상관관계를 설명하였다. 상업적으로 기체분리에 가장 널리 사용되는 중공사막모듈의 및 분리막공정의 동향에 대해 소개하였다. 마지막으로 국내외에서 발표된 이산화탄소/질소 분리막에 대한 현재까지의 연구동향과 앞으로의 전망에 대해 기술하였다.

심냉 증류를 통한 전자급 고순도 이산화탄소의 분리 공정에 대한 전산 모사 연구 (A Computer Simulation Study on the Separation Process for Electronic Grade, Highly Pure Carbon Dioxide through a Cryogenic Distillation)

  • 박일수;문흥만;조정호
    • 한국수소및신에너지학회논문집
    • /
    • 제34권1호
    • /
    • pp.83-89
    • /
    • 2023
  • In this study, a computer simulation work has been performed for the separation of electronic grade highly pure carbon dioxide more than 7 N purity through a cryogenic distillation process. For the cold utility as a cooling medium for a condenser of the cryogenic distillation column, propylene was utilized as a refrigerant in the vapor-recompression refrigeration cycle. Through this work, it was concluded that the cryogenic distillation column with two stage compression and refrigeration cycle were essential to obtain a highly-pure liquefied CO2.

이산화탄소 5 ton/day 흡수분리 Pilot Plant 운전 특성 (The Operational Characteristics of CO2 5 ton/day Absorptive Separation Pilot Plant)

  • 오민규;박소진;한근희;이종섭;민병무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0권1호
    • /
    • pp.128-134
    • /
    • 2012
  • 석탄화력 발전소의 연소 배가스를 시간당 1,000 $Nm^3$을 처리할 수 있는 이산화탄소 분리용 pilot plant를 설치하여 화학흡수제인 mono-ethanolamine(MEA)과 2-amino-2-methyl-1-propanol(AMP)를 이용해서 운전특성을 연소 배가스 유량과, 흡수용액 순환유량을 주 실험변수로 분석하였다. MEA 20 wt%를 기준으로 연소 배가스 유량이 100 $m^3/hr$ 감소할수록 이산화탄소 제거율이 평균 6.7% 증가하였으며 흡수용액 순환유량이 1,000 kg/hr 증가에 따라 이산화탄소 제거율은 약 2.8% 상승하였고 $110^{\circ}C$ 재가열기 온도에서 90% 이상의 이산화탄소 제거효율을 나타냈다. MEA가 AMP보다 높은 제거효율을 보였고 MEA(20 wt%) 실험에서 이산화탄소의 제거율이 75.5%인 ASPEN plus의 모사 결과보다 10% 높은 85.5%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