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ar Detection

검색결과 350건 처리시간 0.027초

도플러 레이더 기반 차량 운전자의 심박 및 호흡 신호 검출 기법 연구 (Detection Scheme of Heart and Respiration Signals for a Driver of Car with a Doppler Radar)

  • 윤영욱;이정표;김진명;김영억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6권1호
    • /
    • pp.87-95
    • /
    • 2020
  • 연구목적: 본 논문에서는 도플러 레이더를 활용하여 차량 운전자의 호흡과 심박을 추정하는 알고리즘을 제안하고 실험을 통해 연구의 가능성을 확인한다. 연구방법: 본 논문에서는 검출 신호의 peak 주파수 값과 가중치를 활용하는 weighted peak detection 기법을 제안한다. 정지 상태와 주행 상태에서의 실험을 통해 제안하는 두 알고리즘의 정확도를 분석한다. 연구결과: 제안하는 알고리즘을 통해 정지 상태에서 측정된 호흡과 심박 검출 정확도는 각각 95%, 96% 이상의 결과를 보였다. 또한 실제 주행 실험에서도 각 72%, 84% 이상의 정확도를 보여 주행 시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결론: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생세 신호 검출 기법은 차량 운전자의 호흡이나 심장 이상을 자동으로 검출함으로 운전자 본인 및 대형 교통사고를 예방하는 기술로 활용이 가능하다.

Number Plate Detection with a Multi-Convolutional Neural Network Approach with Optical Character Recognition for Mobile Devices

  • Gerber, Christian;Chung, Mokdong
    • Journal of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s
    • /
    • 제12권1호
    • /
    • pp.100-108
    • /
    • 2016
  • In this paper, we propose a method to achieve improved number plate detection for mobile devices by applying a multiple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CNN) approach. First, we processed supervised CNN-verified car detection and then we applied the detected car regions to the next supervised CNN-verifier for number plate detection. In the final step, the detected number plate regions were verified through optical character recognition by another CNN-verifier. Since mobile devices are limited in computation power, we are proposing a fast method to recognize number plates. We expect for it to be used in the field of 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s.

차량 잡음 환경에서 엔트로피 기반의 음성 구간 검출 (Voice Activity Detection Based on Entropy in Noisy Car Environment)

  • 노용완;이규범;이우석;홍광석
    • 융합신호처리학회논문지
    • /
    • 제9권2호
    • /
    • pp.121-128
    • /
    • 2008
  • 정확한 음성 구간 검출은 음성 인식 및 음성 코딩 그리고 음성 통신 시스템 등과 같은 음성 어플리케이션의 성능에 큰 영향을 미친다. 본 논문에서는 실제 운전하고 있는 상태에서 다양한 차량 노이즈 환경의 음성 구간 검출 방법을 제안한다. 기존의 음성 구간 검출은 시간 에너지, 주파수 에너지, 영 교차율, spectral entropy 등 다양한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잡음 환경에서 급격하게 성능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었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spectral entropy를 기반으로 하여 MFB(Mel-frequency Filter Banks) spectral entropy, 기울기 FFT(Fast Fourier Transform) spectral entropy, 기울기 MFB spectral entropy를 이용한 음성 구간 검출 방법을 제안한다. MFB는 멜 스케일과 FFT를 곱한 것으로 멜 스케일은 인간이 소리를 인지할 때 주파수에 대해 비선형적인 스케일이며 음성의 특징을 잘 반영한다. 제안한 MFB spectral entropy 방법은 다양한 차량 잡음 환경에서 음성 및 비음성 분별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실험 결과 93.21%의 음성 구간 검출율을 나타내었다. 이는 기존의 spectral entropy 방법과 비교할 때 MFB를 이용한 음성 구간 검출 방법이 3.2%의 검출율이 향상되었다.

  • PDF

마이크로파 검지기술을 이용한 교통신호위반단속시스템 구현에 관한 연구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Traffic Signal Enforcement System Using Microwave Detection Technology)

  • 권근범;김란숙;노정자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2001년도 하계종합학술대회 논문집(5)
    • /
    • pp.147-150
    • /
    • 2001
  • This paver has presented the architecture and function of the traffic signal enforcement system to detect and capture a image of the violating car in the street intersection. Also in the paper, the algorithm and method of detecting the violation car have been presented and the microwave detection method has been explained. And then this paper has showed the operation software interface for system and presented the experiment data carried out in the field.

  • PDF

변화 주목 기반 차량 흠집 탐지 시스템 (Change Attention-based Vehicle Scratch Detection System)

  • 이은성;이동준;박건희;이우주;심동규;오승준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27권2호
    • /
    • pp.228-239
    • /
    • 2022
  • 본 논문에서는 카셰어링 서비스(car sharing service)에서 차량 상태 무인 검수를 위한 흠집 탐지 딥 러닝 모델을 제안한다. 기존의 차량 상태 검수 시스템은 대여 전, 후 사진에서 각각 흠집을 탐지하는 딥 러닝 모델과 탐지된 두 흠집 영상을 수작업으로 대조하여 새롭게 발생한 흠집을 탐색하는 두 단계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수동작업이 필요한 두 단계 모델을 한 단계로 줄이는 무인 흠집 탐지 모델을 위성영상에서 변화를 탐지하는 딥 러닝 모델에 전이 학습을 적용하여 구축한다. 그리고 광택 처리된 자동차 표면의 휘도가 비등방성이고 비전문가인 이용자가 일반 카메라로 촬영하기 때문에 정반사(specular reflection)가 흠집 탐지 성능에 크게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정반사광으로 발생하는 오탐지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정반사광 성분을 제거하는 전처리 과정을 적용한다. 이용자가 휴대폰 카메라로 촬영한 데이터에 대해 제안하는 시스템은 주관적인 측면과 정밀도(precision), 재현율(recall), F1, Kappa 척도면에서 각각 67.90%, 74.56%, 71.08%, 70.18%로서 높은 일치도를 보인다.

Radiation Detection System for Prevention of Illicit Trafficking of Nuclear and Radioactive Materials

  • Kwak, Sung-Woo;Chang, Sung-Soon;Yoo, Ho-Sik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제35권4호
    • /
    • pp.167-171
    • /
    • 2010
  • Fixed radiation portal monitors (RPMs) deployed at border, seaport, airport and key traffic checkpoints have played an important role in preventing the illicit trafficking and transport of nuclear and radioactive materials. However, the RPM is usually large and heavy and can't easily be moved to different locations. These reasons motivate us to develop a mobile radiation detection system.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report our experience on developing the mobile radiation detection system for search and detection of nuclear and radioactive materials during road transport. Field tests to characterize the developed detection system were performed at various speeds and distances between the radioactive isotope (RI) transporting car and the measurement car. Results of measurements and detection limits of our system are described in this paper. The mobile radiation detection system developed should contribute to defending public's health and safety and the environment against nuclear and radiological terrorism by detecting nuclear or radioactive material hidden illegally in a vehicle.

자동차의 자기 주행차선 검출을 위한 시각 센싱 (Vision Sensing for the Ego-Lane Detection of a Vehicle)

  • 김동욱;도용태
    • 센서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37-141
    • /
    • 2018
  • Detecting the ego-lane of a vehicle (the lane on which the vehicle is currently running) is one of the basic techniques for a smart car. Vision sensing is a widely-used method for the ego-lane detection. Existing studies usually find road lane lines by detecting edge pixels in the image from a vehicle camera, and then connecting the edge pixels using Hough Transform. However, this approach takes rather long processing time, and too many straight lines are often detected resulting in false detections in various road conditions. In this paper, we find the lane lines by scanning only a limited number of horizontal lines within a small image region of interest. The horizontal image line scan replaces the edge detection process of existing methods. Automatic thresholding and spatiotemporal filtering procedures are also proposed in order to make our method reliable. In the experiments using real road images of different conditions, the proposed method resulted in high success rate.

차량 번호판 검출을 위한 2단계 합성곱 신경망 접근법 (Number Plate Detection with a 2-step Neural Network Approach for Mobile Devices)

  • 크리스찬 거버;정목동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4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879-881
    • /
    • 2014
  • A method is proposed to achieve improved number plate detection for mobile devices by applying a two-step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CNN) approach. Supervised CNN-verified car detection is processed first. In the second step, we apply the detected car regions to the second CNN-verifier for number plate detection. Since mobile devices are limited in computing power, we propose a fast method to detect number plates. We expect to use in the field of 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s (ITS).

차량용 사고 상황 감지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Motor Vehicle Emergency Situation Detection System)

  • 강문설;김유신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7권11호
    • /
    • pp.2677-2685
    • /
    • 2013
  • 차량에서 수집된 차량 운행 데이터는 차량에서 발생한 영상 데이터 및 센싱 데이터가 그대로 기록된 것이기 때문에 외부에서 차량에서 일어나는 일을 분석하여 판단할 수 있는 객관적인 데이터로 이용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차량의 움직임 및 운전자의 조작 상태를 감지하고 분석하여 실제 도로 상황에서 차량 충돌 사고가 발생했을 때, 차량의 움직임, 운전자의 각종 조작상태, 충돌 펄스 및 충돌과 관련된 신호들을 감지하고 저장하여 분석하는 사고 상황감지 시스템을 설계 및 구현하였다. 제안한 시스템에서는 충돌 직전 운전자의 반응, 차량의 조작 상태 및 물리적인 움직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이렇게 수집하여 분석한 차량 운행 데이터는 충돌 사고가 발생했을 때, 사고 원인을 규명하고 공정한 사고처리에 이용할 수 있으며, 운전자의 운전 습관을 파악하여 잘못된 운전 습관의 교정 및 유류비 절감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에지 기반 영역확장 기법을 이용한 다양한 크기의 번호판 검출 (Detection of Various Sized Car Number Plates using Edge-based Region Growing)

  • 김재도;한영준;한헌수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및응용
    • /
    • 제36권2호
    • /
    • pp.122-130
    • /
    • 2009
  • 기존의 번호판 검출 기법들은 대부분 일정한 거리와 방향에서 촬영되어 번호판의 크기가 유사하고, 배경이 단순한 차량 전면 영상에 적용되는 한계를 가지고 있어서 번호판의 위치가 변하거나 조명 혹은 크기의 변화에 매우 취약하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기존 기법들의 문제점들을 극복하기 위하여 에지기반 영역확장 기법을 사용하는 번호판 검출기법을 제안한다. 1단계에서는 입력영상에서 예지영상을 얻고 번호판의 기하학적 특성을 갖는 에지 영역들을 검출하여 이들을 번호판 검색영역으로 정한다. 검색영역의 에지들을 기반으로 주변의 화소들을 색상을 기반으로 영역확장을 통해 분할하여 번호판의 기하학적 특성을 만족하는 영역들을 번호판 후보영역으로 정한다. 후보영역들은 자동차의 조명등과 같은 구조물과의 위상특성을 고려하여 최종결정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기법은 번호판의 문자가 검출되지 않는 경우에도 번호판 위치의 검출이 가능하고 특히 작은 크기의 번호판 검출에 유리하며, 크기와 상관없이 번호판을 검출할 수 있음을 실험을 통해 입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