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apability 수준

검색결과 555건 처리시간 0.024초

활동능력수준 기반의 공공데이터 품질관리 성숙수준 평가 모델 (Activity Capability Level-based Maturity Evaluation Model for Public Data Quality Management)

  • 김선호;이진우;이창수
    • 정보화정책
    • /
    • 제24권1호
    • /
    • pp.30-47
    • /
    • 2017
  • 정부는 공공데이터의 품질관리 수준을 평가하기 위해 국제표준을 기반으로 공공데이터 품질관리 조직 성숙도 모델을 개발하였다. 그러나 현장에 적용하기에는 평가항목이 너무 많다는 지적에 따라 평가지표 수를 축소한 새로운 모델을 보완 개발하였다. 이를 위하여 프로세스를 통합 및 조정하여 프로세스 수를 축소하였으며 프로세스능력수준이 아닌 새로운 활동능력수준 기반의 평가 방식을 제안하였다. 또한, 공공데이터 품질관리 성숙수준을 다섯 개의 레벨로 표현하는 방식과 1~5 사이의 실수로 표현하는 방식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새로 제안한 모델의 특성을 기존의 조직 성숙도 모델과 비교 분석하였다.

기술수준에 따른 서비스업 혁신 중소기업의 생존기간 비교분석 (Comparative Analysis of Survival Period by Technological Capabilities of Innovative SMEs in the Service Industry)

  • 이준원
    • 중소기업연구
    • /
    • 제43권3호
    • /
    • pp.1-20
    • /
    • 2021
  • 약 22,500개의 서비스업 혁신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기술수준에 따른 생존기간을 분석하였다. 생존기간은 연체 및 부도의 발생으로 정의하였으며, 기술수준은 기술력 우수기업 군집(T1-T4등급)과 혁신금융 적합기업 군집(T5-T6등급)으로 구분하였다. 카플란-마이어 분석을 통해 기술수준에 따른 생존기간을 추정한 결과 연체와 부도 모두에서 T1-T4등급 서비스업 혁신 중소기업의 추정 생존기간이 T5-T6등급 서비스업 혁신 중소기업에 비해 유의하게 큰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기술수준의 생존기간에 대한 영향력이 통제변수를 적용했을 때에도 유지되는지 Cox 비례위험 모형을 통해 확인하였다. 분석 결과 창업기업군(업력 7년 이하)에서는 기술수준이 낮을수록 위험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확인되었지만, 비(非)창업기업군(업력 7년 초과)에서는 기술수준이 생존기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며 기업의 규모와 관련된 변수의 영향력이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기술수준은 서비스업 창업기업군에서 혁신 중소기업의 생존기간에 유의한 영향력이 있는 부가정보로 의미가 있으며, 서비스업 창업기업군의 중소기업 지원정책 및 육성정책 수립 시 기술수준에 대한 반영이 필요하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디지털 포렌식 수준 평가 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velopment of Digital Forensic Capability Evaluation Indices)

  • 박희일;윤종성;이상진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25권5호
    • /
    • pp.1153-1166
    • /
    • 2015
  • 정보통신기술의 급속한 발달로 정보의 디지털화가 가속화되면서 범죄수사뿐만 아니라 기업 및 개인 분쟁에 이르기까지 디지털 포렌식의 활용이 증대되고 있으나 디지털 증거가 갖는 위 변조의 용이성으로 인해 가치를 제대로 인정받지 못하고 있다. 특히, 국내에서는 디지털 포렌식 수행 조직의 수준에 대한 객관적인 검증 제도나 평가 방법이 부재하여 이에 대한 신뢰성 판단을 법관의 심증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 디지털 포렌식과 정보보호 분야의 수준 평가 방법 및 기준을 검토하여 디지털 포렌식 조직, 인원, 기술, 시설 그리고 국내 사법기관에서 적용하고 있는 수행 절차를 중심으로 국내 실정에 적합한 디지털 포렌식 수준 평가 모델 및 지표를 개발 하였다. 이를 통해 디지털 증거의 신뢰성에 관한 사법기관의 판단 기준과 디지털 포렌식 조직의 구성 운영 평가를 위한 기준이 마련될 수 있을 것이다.

국가 사이버 역량 평가 방법론 연구 (A Study on National Cyber Capability Assessment Methodology)

  • 강정민;황현욱;이종문;윤영태;배병철;정순영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22권5호
    • /
    • pp.1039-1055
    • /
    • 2012
  • 세계 각국이 경쟁적으로 사이버 역량 강화를 위하여 다각적인 노력을 경주하고 있는 분위기에 따라 우리나라도 실질적인 국가 사이버 역량 제고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하지만 한국은 사이버 역량 강화의 지표를 제시할 사이버 역량 평가 방법론이 존재하지 않아 실질적인 국가 사이버 역량 수준을 판단하기가 어려운 실정이다. 본 논문은 국가 사이버 역량 강화를 위한 정책 수립에 활용하기 위하여 체계적으로 분석 접근할 수 있는 국가 사이버 역량 평가 방법론을 개발하고 주요 5개국(미국 중국 일본 러시아 한국)의 사이버 역량을 평가하였다. 평가 방법론은 공개된 자료를 기반으로 기반 역량 공격 역량 방어 역량 세 가지 분야의 평가 항목에 따라 절대 평가 또는 상대 평가를 수행하여 평가 대상국별 역량 점수를 정량화함으로서 이해가 쉽도록 하였다. 종합 결과는 미국, 중국, 한국, 러시아, 일본 순으로 평가 되었으며, 평가 결과를 분석한 결과 한국의 사이버 역량 제고를 위하여 기반 역량 분야의 예산 인력에 대한 지속적인 투자, 공격 역량 수준 제고를 위한 전략 마련 및 방어 역량 분야의 패치 보급률 및 보안 관제 수준 제고가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한국 태양에너지기업의 가치사슬별 경제적 성과 요인분석 (A Study on Economic Performance and its Determinants by Value-Chain in Korean Solar Energy Companies)

  • 김덕한;박성환;박중구
    • 에너지공학
    • /
    • 제18권3호
    • /
    • pp.175-190
    • /
    • 2009
  • 본 연구는 국내 태양에너지 기업의 가치사슬별 경제적 성과와 그 결정요인인 규모의 경제, 기술수준, 자금조달능력, 국내시장 경쟁정도 등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있다. 249개 기업에 대한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다중로짓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의 결과 기업의 경제적 성과는 자금조달능력이 높을수록, 시장경쟁이 낮을수록 높았으며, 기술수준과 규모의 경제는 유의미하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가치사슬별 분석에서 부품조달공정은 기술수준이 낮을수록, 자금조달능력이 높을수록, 제조공정은 기술수준 및 자금조달능력이 높을수록, 그리고 마케팅공정은 자금조달능력이 높을수록, 시장경쟁이 낮을수록 경제적 성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써 국내 태양에너지산업은 특유의 기술혁신체제 구축, 선진화된 금융시스템 구축, 그리고 가치사슬 공정별로 핵심능력을 가진 기업 간 네트워크를 구성하여 운영하는 프랙털 시스템을 추진해야 할 것으로 전망된다.

국내 소프트웨어의 글로벌화 수준 평가 및 분석 (Evaluation and Analysis of Software Globalization Capability in Korea)

  • 이세영
    • 중소기업융합학회논문지
    • /
    • 제1권1호
    • /
    • pp.9-17
    • /
    • 2011
  • 해외진출을 목표로 하는 7개 대규모 소프트웨어 프로젝트를 대상으로 공학역량 수준진단의 일부로써 소프트웨어 글로벌화 수준을 평가하였다. 해당 프로젝트에 참여하고 있는 총 31개 IT 기업으로부터 각각 120명, 63명을 선정하여 설문조사 및 인터뷰를 수행하고 5점 척도로 평가한 결과, 글로벌화 부분이 2.51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그 밖에 조직역량(2.88), 지원(2.96), 프로젝트관리(2.97), 인프라(3.16), 개발(3.64)의 순서로 조사되었다. 또한, 글로벌화 역량 및 적용준비도의 측면에서 본 평가 결과를 분석하고 선진사례를 바탕으로 효과적인 소프트웨어 글로벌화의 도입 및 개선 방향을 논의함으로써, 제품의 해외진출을 준비하고 있는 국내 기업이 실질적인 지침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 PDF

공정능력지수들과 6 시그마 품질수준에 대한 통계적 추론 (Statistical Inference for Process Capability Indices and 6 Sigma Qualify Levels)

  • 조중재;심규영;박병선
    • Communications for Statistical Applications and Methods
    • /
    • 제15권3호
    • /
    • pp.451-464
    • /
    • 2008
  • 6 시그마는 백만 기회당 3.4개의 결점만을 갖는 최고의 품질수준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높은 시그마 품질수준은 고객들에게 높은 만족도를 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공정능력지수들과 시그마 품질수준 $Z_{st}$는 6시그마 산업에서 공정능력을 평가하기 위하여 널리 이용되고 있다 공정능력지수에 관한 대부분의 평가들은 공정능력분석에 대해 경우에 따라 믿기 어려운 상황을 초래할 수도 있는 점 추정에 초점을 두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현장 실무자들이 공정능력 여부를 결정하기 위하여 사용하고 있는 6시그마 품질수준 $Z_{st}$와 공정능력지수들 $C_p$, $C_{pk}$$C_{pm}$에 대하여 몇 가지 통계적 추정문제를 기초로 보다 효율적인 검정 방법에 대하여 제안, 연구하였다. 제안된 붓스트랩 검정 방법에 근거한 모의실험 결과는 공정분포의 정규성 여부에 관계없이 그리고 복잡한 계산 과정 없이 보다 효율적으로 적용될 수 있음을 입증하고 있다.

국내 대형건설회사의 책임형 건설사업관리 역량분석 (An Analysis of Capability of CM at Risk in Major Construction Company)

  • 유승규;최석인;손창백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0권5호
    • /
    • pp.85-94
    • /
    • 2009
  • 최근 국내의 건설회사는 건설경기 침체와 국제금융시장의 연이은 악재로 인해 많은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어, 보다 더 세계화되고 국제 경쟁력을 갖춘 건설생산체계를 요구하고 있는 실정이다. 과거 우리나라 건설산업의 선진화 도구로 건설사업관리(CM) 제도가 도입되었다. 하지만, 전 방위적인 노력에도 불구하고 용역형 건설사업관리(CM for Fee)에 국한된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이에 따라 발주방식의 다양성이 요구되고 책임형 건설사업관리(CM at Risk) 발주방식의 도입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책임형 건설사업관리 발주방식의 수행 가능성이 높은 대형건설회사를 대상으로 경험과 지식수준, 건설사업관리 세부업무의 중요도 및 현재 역량과 미래 요구 역량수준을 각각 건축분야와 토목분야로 나누어 분석하였고, 이에 따른 역량 강화를 위한 항목을 도출하였다.

경제적인 품질보증수준확보를 위한 공정능력지수의 최적화에 관한 연구 (Optimization of Process Capability Index for Economic Coalify Assurance Level)

  • 송서일
    • 산업경영시스템학회지
    • /
    • 제11권18호
    • /
    • pp.71-80
    • /
    • 1988
  • Process capability implies the qualitative capability of a process, and it is necessary to specify the process capability by quantification and to evaluate the level with the specified standardizaion. But the process capability index is currently used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quality control activity. without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process structure or the economy of management. Here the researcher would like to redefine process capability and emphasize its index may be used as the measure of managerial assessment and the objective of process quality control in full consideration of the economic aspects of process characteristics. Too little or too much process capability causes a loss of or excess. The proper economic level of process capability varies to each process. The procedure of taking the optimum process capability index is derived from the expected profit function, whereas each method is studied in cases of normal process with one-sided specification and two-sided specification. In addition, the process capability index is presented as a method of quality assurance. And an example is exhibited on wrapping process of 'A' compan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t follows. First, though the norminalization of the process capability index is possible by the existing methods, the optimum process capability index can vary to the situation of each process. So, the optimum process capability index which is suggested in this dissertation should be used as the standard to assess process capability. Second, the process capability index can take its effect not just in indicating quality control or managerial records but also in the management of high qualify assurance.

  • PDF

R&D 분야의 목표 시그마 수준 설정과 설계 공차의 강건 한계 결정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arget Sigma Level at R&D stage and robust limits for design margins)

  • 고승곤
    • 응용통계연구
    • /
    • 제29권2호
    • /
    • pp.369-379
    • /
    • 2016
  • 시그마 수준(sigma level)이란 미국 모토롤라사에 의해 소개된 프로세스 능력 지수로서 1970년대 이후 널리 활용되고 있는 다양한 지수들 중의 하나이다. 이는 다른 지수들과 비교할 때 모 프로세스의 확률 분포에 기초한다는 장점을 갖지만 양산 단계를 가정한 것으로 R&D 분야의 시제품 그리고/또는 초도 양산품 단계에 직접 적용하는 것은 적절하지 못할 수 있다. 이에 본 논문은 시그마 수준을 계산할 때 가정하는 치우침에 대한 통계적 고찰을 통하여 양산단계에서 6 시그마 품질 수준을 달성하기 위한 개발 단계의 시제품 그리고/또는 초도 양산품의 목표 시그마 수준 설정 방법을 소개한다. 그리고 이를 기초로 개발과 양산 단계에서 경제성을 달성할 수 있는 설계 공차의 강건 한계 도출 방법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