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annabis sativa L.

검색결과 35건 처리시간 0.036초

Monosaccharides from industrial hemp (Cannabis sativa L.) woody core pretreatment with ammonium hydroxide soaking treatment followed by enzymatic saccharification

  • Shin, Soo-Jeong;Han, Sim-Hee;Park, Jong-Moon;Cho, Nam-Seok
    • 펄프종이기술
    • /
    • 제41권5호
    • /
    • pp.15-19
    • /
    • 2009
  • Ammonia soaking treatment was introduced for hemp woody core pretreatment to increase enzymatic saccharification of polysaccharides. Portions of the xylan, cellulose, and lignin were removed by aqueous ammonia soaking, which improved the enzymatic saccharification of cellulose and xylan. Following ammonia soaking, 37% ($50^{\circ}C$-6 day treatment) to 61% ($90^{\circ}C$-16 h treatment) of the cellulose was converted to glucose and 33% ($50^{\circ}C$-6 day treatment) to 48% ($90^{\circ}C$-16 h treatment) of the xylan to xylose. Cellulose responded better to enzymatic saccharification than did xylan after the ammonia soaking treatment. Aqueous ammonia soaking pretreatment was more effective than electron beam irradiation for increasing enzymatic saccharification of xylan and cellulose in hemp woody core.

LED광원별 새싹대마(Cannabis sativa L.) 생육 및 염증세포에 대한 세포독성 확인

  • 송영재;소주련;강사행;김동구;박재영;남민우;홍창희;박정향;고세웅;김동근;김태현;명제훈;진종식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22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22-122
    • /
    • 2022
  • 현재, ‘마약류 관리에 관한 법률’에 의해 규제되고 있는 대마는 “대마초와 그 수지 및 이를 원료로 제조된 제품 일체”에 대한 판매 및 유통이 엄격히 금지되어있다. 예외로, “대마초의 종자·뿌리 및 성숙한 대마초의 줄기와 그 제품”은 규정예외 되어있지만, 이를 식품 및 화장품 등의 산업재료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대마의 새싹 및 근경부의 생산량과 안전성이 확보되어야만 한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동일 생육조건하에 LED광원에 따른 대마(Cannabis sativa L.)의 생육 및 생산량 차이를 확인하였다. 또한, LED광원 별 새싹대마의 독성을 확인하기 위해 대식세포인 RAW 264.7에 추출물을 처리하여 세포독성을 평가하였다. 실험결과, 청색광 처리 새싹대마가 생체 중 12.8 g로 가장 높았다 (적색광 10.8 g, 차광 8.8 g). 광원 별 세포독성은 모든 광원별 새싹대마 추출물에서 0.1 ~ 1 mg/ml까지 농도에서 독성이 없음을 확인하였다. 결과적으로, 빛을 처리한 조건의 새싹대마가 차광된 조건의 새싹대마보다 생산량이 증대되었으며, 광원별 새싹대마에서 세포독성이 없음을 확인하였다. 그러므로, 본 연구를 통해 대마 새싹이 식품 및 산업적 소재로서의 경쟁성과 안전성을 가지고 인체에 유익한 소재로 활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였다.

  • PDF

Effect of Timing of Ethephon Treatment on the Formation of Female Flowers and Seeds from Male Plant of Hemp (Cannabis sativa L.)

  • Moon, Youn-Ho;Lee, Yoon Jeong;Koo, Sung Cheol;Hur, Mok;Huh, Yun Chan;Chang, Jae-Ki;Park, Woo Tae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3권6호
    • /
    • pp.682-688
    • /
    • 2020
  • Hemp (Cannabis sativa L.) is a dioecious plant, although monoecious plants are bred in some cultivars for fiber or seed production. Recently, hemp has received attention for medicinal use with some cannabinoids, including cannabidiol. Self-fertilization for breeding inbred lines is difficult because of dioeciousness and anemophily in hemp.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develop a self-fertilization method by forming female flowers and seeds from male plants of dioecious hemp. To induce the formation of female flowers on male plants, 500 mg L-1 of ethephon was sprayed on plants at soon, seven and fourteen days after primordia formation. The plant ratio of female flowers formation and the number of harvested seeds were increased by ethephon treatment. Female flowers of male plants have 5 stigmas in contrast to the dual stigma of female 1plants. Male plant seeds were lighter and smaller than those from female plants. Although the germination rate was lower than that of normal seeds from female plants, the seeds from male plants germinated to grow seedlings. Thus, we suggest that hemp plants should be treated with ethephon at soon after primordia formation to induce the formation of more female flowers on the male plants.

국내산 대마로부터 추출한 칸나비디올 함유 크림의 역가 및 안정성 평가 (A Study on the Potency and Stability of the Cream Containing Cannabidiol Extracted Cannabis sativa L. from Korea)

  • 유성동;김혜림;성기준;전정태;송애리;강종수;박일범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8권4호
    • /
    • pp.313-319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국내산 대마로부터 추출된 순도 99% 이상 칸나비디올(cannabidiol, CBD)을 1% 함유한 크림의 안정성을 평가하였다. 12 주간 온도별 저장조건(4 ℃, 25 ℃, 37 ℃, 45 ℃)에서 2 주 간격으로 pH, 경도, 함량, 색도를 측정하였다. CBD를 1% 함유한 실험군 의 pH는 대조군보다 더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HPLC를 이용하여 온도별로 12 주 동안 실험군 내 CBD의 함량 변화를 확인한 결과, 온도에 따른 감소량의 차이를 확인하였다. 분광측색계를 이용하여 색차를 확인한 결과, 저장 기간 및 온도 증가에 따라 대조군에 비해 실험군 황색도가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pH 5 ~ 6의 실험군 제형의 온도에 따른 함량 감소 및 색상 변화를 확인하였다. CBD를 향후 의약품 및 화장품에 적용 시 온도에 따른 CBD의 역가 및 이화학적 품질변화를 고려한 연구개발이 수행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농업부산물인 산업용 대마(Cannabis sativa L.) 목부를 이용한 고밀화 펠릿 연료 (Densified Pellet Fuel Using Woody Core of Industrial Hemp (Cannabis sativa L.) as an Agricultural waste)

  • 한규성;이수민;신수정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293-298
    • /
    • 2009
  • 종자 수확 후 버려지는 산업용 대마를 이용한 목질 펠릿제조 가능성과 제조된 펠릿의 특성을 살펴보았다. 산업용 대마의 성분 분석 결과 활엽수와 비슷한 리그닌 함량과 당구성을 보였으며, 회분 분석 결과 무기물 함량이 0.5% 정도이어서 연료로 사용할 경우 재의 생산량은 크지 않을 것이다. 원소 분석 결과 대기 오염을 유발할 수 있는 질소와 황 함량을 분석한 결과, 황 성분은 전혀 포함하지 않고 있으며, 약간의 질소 성분을 포함하고 있는데 이는 현사시나무와 비슷한 수준이었다. 고위발열량 측정 결과 대마 목부는 현사시나무보다 다소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바이오매스 생산량이 큰 대마 목부를 이용하여 제조한 펠릿은 활엽수로 제조한 펠릿과 비슷한 화학적 성질과 발열 특성을 가질 것으로 기대되어 고체연료로서의 이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민속주 부재료로 이용되는 식물성 방향재료 및 약용재료중의 Asarone, Coumarin, Thujone의 분석 (Analysis of Asarone, Coumarin and Thujone in Medicinal Plants Used in Brewing a Korean Traditional Folk Wine)

  • 조정옥;김선민;김경수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2권3호
    • /
    • pp.210-217
    • /
    • 1999
  • 전통민속주 제조에 이용되는 부재료 가운데 휘발성 향기성분인 asarone, coumarin, thujone등 식품에 허용기준이 제한된 독성 관련 향기성분을 함유하고 있는 식물성 방향재료 및 약용재료를 확인, 분류하기 위하여 이들의 20% ethanol 추출액으로부터 고상추출(solid phase extraction) 방법을 이용하여 각 성분을 흡착, 용리시킨 후 GC-FID와 GC/MS로 검출, 확인하였다. 조사대상 87종의 식물성재료 중 창포(Acorus asiaticus Nakai), 석창포(Acorus gramineus Solander), 당귀(Angelica gigus Nakai), 백단향(Santalum album) 등 6종에서 asarone이 검출되었으며, coumarin은 소회향(Anethum graveolens), 회향(Foeniculum vulgare Gaertner), 자초(Lithosperum erythrorhizon Siebold et Zuccarinii) 등 22종에서 검출되었다. 한편, 우실(Achyranthes japonica Nakai), 사인(Amomum xanthiodes Wallich), 약쑥(Artemisia asiatia Nakai), 대마자(Cannabis sativa L.)씨, 골담초(Caragana sinica R.), 국화(Chrysanthem morifolium Ramat), 사삼(Codonopsis lanceolata Bentham et flooker), 회향(Foeniculum vulgare Gaertner) 등 24종에서는 thujone을 확인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