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amera

검색결과 10,551건 처리시간 0.048초

카메라 영상을 이용한 진동 변위 측정 시 카메라 흔들림 보정 방법 (Correction of Error due to Camera Shaking when Vibration Measurement by Using Camera Image)

  • 전형섭;손기성;한순우;박종원
    • 한국소음진동공학회논문집
    • /
    • 제24권10호
    • /
    • pp.817-824
    • /
    • 2014
  • Accelerometer and laser vibrometers are widely used to measure vibration of structures like a building or piping. Recently, the research measuring vibration by using camera image is introduced. However, this method has a disadvantage. If camera moves by the vibration cannot measure the vibration displacement of structure. We proposed the enhanced technique for measuring vibration using camera. This paper took the experiment for correction of error due to camera shaking. We verified through an experiment. And the accuracy of the method measuring the vibration displacement by using the camera images was analyzed.

몰드성형 광학렌즈를 이용한 의료기기용 열화상카메라 체열진단의 적용도 평가 (Evaluation of Thermography Camera Using Molded Optical Lens for Medical Applications)

  • 유성미;김혜정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논문지
    • /
    • 제26권8호
    • /
    • pp.624-628
    • /
    • 2013
  • With the recent development of less-costly uncooled detector technology, expensive optics are among the remaining significant cost drivers in the thermography camera. As a potential solution to this problem, the fabrication of IR lenses using chalcogenide glass has been studied in recent years. We report on the molding and evaluation of a ultra-precision chalcogenide-glass lens for the thermography camera for body-temperature monitoring. In addition, we fabricated prototype thermography camera using the chalcogenide-glass lens and obtained the thermal image from the camera. In this work, it was found out that thermography camera discerned body-temperature between 20 and $50^{\circ}C$ through the analysis of thermal image. It is confirmed that thermography camera using the chalcogenide-glass lens is applicable to the body-temperature monitoring system.

Monochrome-Camera와 Color-Filter를 이용한 Color Image획득과 색상보정 (Get Color Image That Using Monochrome CCD Camera and Color Filter, and Color Revision)

  • 권오석;박윤창
    • 한국공작기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공작기계학회 2005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329-334
    • /
    • 2005
  • Most people are using a Color-CCD-Camera in other to acquire a color image. But we are getting a color image with the Monochrome-CCD-Camera equipped for Rotation-Color-Filter in front of the camera lens. The Monochrome CCD Camera has some advantages such as the low price. In addition Rotation-Color-Filter's design is very simple. So we can make this structure easily and economically. In this paper, we described how to make a color image from Monocrome-Camera and correcting color well.

  • PDF

네트워크 카메라 기반 인스턴트 메신저의 개발에 대한 연구 (Development of Network Camera-based Instant Messenger)

  • 이강석;염창선
    • 산업경영시스템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133-139
    • /
    • 2010
  • PC camera-based instant messenger have problems of video image break/delay and noise. The reason is caused by a composed problem that PC Camera is belong to the connected PC and operating in the PC. This research suggests an instant messenger that uses network camera connected to LAN instead of PC camera. Therefore, the instant messenger has a component that the camera is separated from PC. This research designs sequence diagram, video calls flow chart, and graphic user interface of the instant messenger. The instant messenger based on network camera provides high quality video calls service and makes it possible to call from a special remote site with real-time video image.

Multi-Camera를 이용한 인터넷 기반의 지능적 감시 시스템 (Intelligent Surveillance System with Multi-Camera on the Internet)

  • 정도준;이창우;김항준
    • 융합신호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신호처리시스템학회 2003년도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50-53
    • /
    • 2003
  • 본 논문에서는 multi-camera를 이용한 인터넷 기반의 지능적 감시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된 시스템은 두 종류의 카메라, static camera와 pan-tilt camera, 를 이용하여 출입구를 감시하고, 비인가자를 추적한다. static camera는 출·입을 검출하고 출입자를 인가자와 비인가자로 분류하는데 이용되고, pan-tilt camera는 비인가자로 분류된 출입자를 추적하는데 이용된다. 제안된 시스템은 세 가지 단계: 출입구 감시, 출입자 검출 및 분류(인가자/비인가자), 비인가자 추적으로 구성된다 출입구 감시는 출입문의 밝기값 변화를 이용한다 출입자 검출 및 분류는 skin color 모델과 얼굴 크기, 위치와 관련된 휴리스틱을 이용하여 얼굴을 검출하고, PCA(Principal Component Analysis)를 이용한 eigenspace상에서의 유클리디언 디스턴스로 템플릿 얼굴과 입력 얼굴의 유사도를 계산하여 인가자인지 비인가자인지 분류한다. 비인가자 추적은 pan-tilt 카메라를 이용하여, static camera에서 분류된, 비인가자의 움직임을 검출하고 카메라를 제어함으로써 추적한다 제안된 시스템은 무인 감시 상황에서 비인가자의 출입시 감시자에게 경고 신호를 제공하고, 감시지역에서 사건 발생시, 사건의 개요를 파악하는 중요한 정보를 빠른 시간에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 PDF

다중 카메라 시스템을 위한 전방위 Visual-LiDAR SLAM (Omni-directional Visual-LiDAR SLAM for Multi-Camera System)

  • 지샨 자비드;김곤우
    • 로봇학회논문지
    • /
    • 제17권3호
    • /
    • pp.353-358
    • /
    • 2022
  • Due to the limited field of view of the pinhole camera, there is a lack of stability and accuracy in camera pose estimation applications such as visual SLAM. Nowadays, multiple-camera setups and large field of cameras are used to solve such issues. However, a multiple-camera system increases the computation complexity of the algorithm. Therefore, in multiple camera-assisted visual simultaneous localization and mapping (vSLAM) the multi-view tracking algorithm is proposed that can be used to balance the budget of the features in tracking and local mapping. The proposed algorithm is based on PanoSLAM architecture with a panoramic camera model. To avoid the scale issue 3D LiDAR is fused with omnidirectional camera setup. The depth is directly estimated from 3D LiDAR and the remaining features are triangulated from pose information. To validate the method, we collected a dataset from the outdoor environment and performed extensive experiments. The accuracy was measured by the absolute trajectory error which shows comparable robustness in various environments.

Design of Real-Time Video Play System Using Web Camera

  • Seung Ju Jang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smart convergence
    • /
    • 제12권3호
    • /
    • pp.25-31
    • /
    • 2023
  • This paper designs a real-time video playback system using a web camera in the RTSP server. It designs a function to play the video data of the web camera in the client in real time using the web camera in the server and using the RTSP protocol. It consists of a server module function that produces real-time video information using a web camera and a client module function that plays video received from the server in real time.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by establishing an environment for designing a real-time video playback system using a web camera. As a result of the experiment, it was confirmed that real-time video playback from the server's web camera worked well.

카메라 모델의 추정과 검증을 통한 광각 카메라 영상의 왜곡 보정 방법 (A Distortion Correction Method of Wide-Angle Camera Images through the Estimation and Validation of a Camera Model)

  • 김경임;한순희;박정선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8권12호
    • /
    • pp.1923-1932
    • /
    • 2013
  • 본 논문에서는 광각 카메라로 촬영한 영상에서 생기는 영상의 왜곡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카메라 모델의 추정과 검증을 통하여 광각 카메라 영상에서의 방사형 왜곡을 보정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먼저, 교정 패턴으로부터 렌즈의 초점 거리와 주점의 위치 등으로 구성된 내부 파라미터와 회전과 위치 정보로 구성된 외부 파라미터를 찾음으로써 카메라의 왜곡 모델을 추정한다. 다음으로, 추정된 카메라 모델로부터 역으로 코너점을 다시 추출하여 검증하고, 마지막으로, 검증된 카메라 모델을 이용하여 영상의 왜곡을 보정한다. 일반 웹 카메라와 광각 카메라로부터 격자 모양의 교정 패턴을 촬영한 영상을 이용하여 방사형 왜곡을 보정하는 실험을 수행한 결과, 제안된 방법이 80% 이상의 개선 성능을 보임을 확인하였다.

모션 면적을 이용한 버추얼 카메라의 자동 제어 기법 (Automatic Virtual Camera Control Using Motion Area)

  • 권지용;이인권
    • 한국컴퓨터그래픽스학회논문지
    • /
    • 제14권2호
    • /
    • pp.9-17
    • /
    • 2008
  • 본 논문에서는 캐릭터의 의견을 고려한 카메라의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기본적인 아이디어는 캐릭터의 각각의 링크가 화면상의 평면에 투영되었을 때의 움직임을 면적으로 계산하여 이를 활용하는 것이다. 우리는 이러한 면적을 '모션 면적'이라고 정의하였다. 모션 면적을 이용하면 실시간 혹은 오프라인 상에서 캐릭터의 모션에 대한 적절한 카메라 경로 혹은 고정된 카메라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우리는 실험을 통해서 제안하는 방법으로 만들어진 카메라 경로가 부드럽게 움직임과 동시에 캐릭터의 모션을 보다 역동적으로 보이게끔 한다는 사실을 관측하였다. 또한 제안하는 방법은 카메라의 시선이 장애물과 충돌하지 않도록 하는 제어 기법과 쉽게 합쳐져서 사용될 수 있다. 우리는 또한 제안하는 방법이 역동적으로 움직이는 캐릭터를 포함하는 장면에서의 시각적 품질을 측정하늘 도구로써 다른 일반적인 카메라 제어 기법과 함께 쓰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PDF

비유클리드공간 정보를 사용하는 증강현실 (Augmented Reality Using Projective Information)

  • 서용덕;홍기상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4권2호
    • /
    • pp.87-102
    • /
    • 1999
  • 가상의 삼 차원 컴퓨터 그래픽 영상을 실제 비디오 영상과 합성하는 증강현실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카메라의 초점거리 같은 내부변수와 카메라가 어떻게 움직였는지를 나타내는 회전 및 직선 운동에 대한 이동정보가 반드시 필요하다. 따라서, 기존의 방법들은 미리 카메라의 내부변수를 계산해 둔 다음, 실제 영상에서 얻어지는 정보를 이용하여 카메라의 이동정보를 계산하거나, 실제 영상에 카메라 보정을 위한 삼 차원 보정 패턴이 보이도록 한다음 영상에서 그 패턴의 형태를 분석하여 카메라의 내부변수와 운동정보를 동시에 계산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이 논문에서는 실제 영상에서 얻어지는 정합점들로부터 카메라 조정없이 구할 수 있는 투영기하공간 카메라 이동정보를 이용하여 증강현실을 구현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실제 카메라의 내부변수와 유클리드공간 이동정보를 대신하기 위하여 가상카메라를 정의하며, 가상카메라는 실제공간과 가상 그래픽 공간의 연결을 위하여 두 장의 영상에 사용자가 삽입하는 가상공간 좌표계의 기준점들의 영상좌표로부터 구해진다. 제안하는 방법은 카메라의 내부변수에 대한 정보를 따로 구할 필요가 없으며 컴퓨터 그래픽이 지원하는 모든 기능을 비유클리드공간의 정보로도 구현이 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