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alculated AC/A ratio

검색결과 30건 처리시간 0.026초

Gradient AC/A비와 Calculated AC/A비의 비교에 의한 근접성 폭주비(PC/A)에 관한 연구 (Study on Proximal Convergence/Accommodation(PC/A) Ratio by Comparison of Gradient AC/A Ratio and Calculated AC/A Ratio)

  • 한경애;성아영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223-231
    • /
    • 2004
  • 기존에 이루어진 대부분의 AC/A비에 관한 연구들은 주로 Gradient AC/A비를 측정함으로써 진행되어 왔다. 본 연구는 Gradient AC/A비와 Calculated AC/A비를 함께 측정해 봄으로써 Gradient AC/A비 만을 측정했을 경우에는 나타나지 않는 근접성 폭주비 (Proximal Convergence/Accommodation)에 대한 고찰을 통해서 AC/A비의 임상 활용도를 높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124명의 검사대상은 최대시력을 단안 각각 1.0이상으로 원용교정을 하였으며 동적 검영법을 실시하여 조절기능의 이상 유무를 확인한 뒤 각각 Calculated AC/A비와 Gradient AC/A비를 측정하여 PC/A비를 구하였다. 연구결과 양안시 이상 그룹별 평균 Calculated AC/A비와 평균 Gradient AC/A비의 차이는 근접성 폭주 때문임을 보여주었다. 따라서, AC/A비의 임상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PC/A비를 포함한 근접성 (proximity)이라는 시기능변수 전반에 관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조절자극 방식에 따른 원거리와 근거리 AC/A비에 관한 연구 (The Study of Distance and Near AC/A Ratio by Stimulus)

  • 조태식;김인숙;장정운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417-423
    • /
    • 2011
  • 목적: 본 연구는 근거리 경사 AC/A 비가 원거리 외사위 교정에 적용될 수 있는지를 알아 보기 위하여 원거리 및 근거리 경사 AC/A 비의 차이를 비교하고 또한 계산 AC/A 비와 경사 AC/A 비의 관계에 대하여 연구 하였다. 방법: 타각적 및 자각적 굴절검사에 의한 완전교정 후 원거리 경사 AC/A 비 검사는 -1.00 D를 가입한 후 Howell 시표(3 m용)를 사용하였으며, 근거리 경사 AC/A 비 검사는 +1.00 D, -1.00 D, +2.00 D와 -2.00 D를 각각 가입한 후 Howell-Kim(40 cm 용) 시표를 사용하여 사위검사와 계산 AC/A 비를 측정하였다. 결과: 원거리 사위는 평균 외사위 1.17${\pm}$1.17 $\Delta$, 근거리 평균 외사위 3.71${\pm}$2.80 $\Delta$으로 나타나(t-test. p < 0.001), 원근거리 사위의 상관관계(r = 0.59, p < 0.001)는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경사 AC/A 비는 측정거리와 조절자극에 따라 다양하였고(r = 0.11~0.53. p < 0.001) 측정거리가 가까울수록 조절자극이 클수록 높았다. 또한 플러스 굴절력보다 마이너스 굴절력에 의한 조절자극이 높게 나타났다(t-test. p<0.001). 또한 계산 AC/A 비가 클수록 경사 AC/A 비는 오히려 낮아지는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원거리와 근거리에서 -1.00 D 부가한 경사 AC/A 비는 원거리가 1.30 $\Delta$/D 근거리가 1.68 $\Delta$/D로 근거리 AC/A 비가 유의적인 수준에서 약간 크게 나타났다(t-test. t=1.67, p<0.001). 결론: 본 연구를 통하여 계산 AC/A 비와 경사 AC/A 비의 음의 상관관계를 알 수 있었고, 근거리 경사 AC/A 비가 원거리 경사 AC/A 비보다 작지만 유의적 수준의 차이를 보여 원거리 외사위의 교정은 원거리 경사 AC/A비를 반드시 측정할 필요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태아성장평가에서 소뇌횡직경과 복부둘레비의 유용성 (Usefulness of Cerebellar Transverse Diameter and Abdominal Circumference Ratio in Fetal Growth Evaluation)

  • 양성희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5권5호
    • /
    • pp.649-656
    • /
    • 2021
  • 본 연구는 태아의 자궁 내 성장제한을 평가하는 변수로 소뇌횡직경과 복부둘레비(TCD/AC ratio)의 적절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2019년 4월부터 2021년 3월까지 부산소재 I 병원에서 정기검진으로 초음파를 실시한 784명의 임산부를 대상으로 진행하였으며 소뇌횡직경과 복부둘레 측정값을 통해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단순회귀분석에서 임신주수에 소뇌횡직경은 97.2%, 복부둘레는 97.5%의 영향력을 보였으며(p<0.001) 정상태아의 TCD/AC ratio는 임신주수에 상관없이 13.2로 결정되었다. 또한 빈도분석을 통해 임신주수 그룹별 TCD/AC ratio의 백분위수를 산출하였으며 자궁 내 성장제한 예측의 95 백분위수는 14.2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TCD/AC ratio는 태아의 정상적인 성장을 평가하고 IUGR을 예측하는 유용한 변수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Genetic parameter estimation for milk β-hydroxybutyrate and acetone in early lactation and its association with fat to protein ratio and energy balance in Korean Holstein cattle

  • Ranaraja, Umanthi;Cho, KwangHyun;Park, MiNa;Kim, SiDong;Lee, SeokHyun;Do, ChangHee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1권6호
    • /
    • pp.798-803
    • /
    • 2018
  • Objectiv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stimate the genetic parameters for milk ${\beta}$-hydroxybutyrate (BHBA), acetone (Ac), fat protein ratio (FPR), and energy balance (EB) using milk test day records and investigate the effect of early lactation FPR and EB on milk ketone body concentrations. Methods: Total 262,940 test-day records collected from Korea Animal Improvement Association during the period of 2012 to 2016 were used in this study. BHBA and Ac concentrations in milk were measured by Fourier transform infrared spectroscopy (FTIR). FPR values were obtained using test day records of fat and protein percentage. EB was calculated using previously developed equation based on parity, lactation week, and milk composition data. Genetic parameters were estimated by restricted maximum likelihood procedure based on repeatability model using Wombat program. Results: Elevated milk BHBA and Ac concentrations were observed during the early lactation under the negative energy balance. Milk FPR tends to decrease with the decreasing ketone body concentrations. Heritability estimates for milk BHBA, Ac, EB, and FPR ranged from 0.09 to 0.14, 0.23 to 0.31, 0.19 to 0.52, and 0.16 to 0.42 respectively at parity 1, 2, 3, and 4. The overall heritability for BHBA, Ac, EB and FPR were 0.29, 0.32, 0.58, and 0.38 respectively. A common pattern was observed in heritability of EB and FPR along with parities. Conclusion: FPR and EB can be suggested as potential predictors for risk of hyperketonemia. The heritability estimates of milk BHBA, Ac, EB, and FPR indicate that the selective breeding may contribute to maintaining the milk ketone bodies at optimum level during early lactation.

Detent Force Reduction of a Tubular Linear Generator Using an Axial Stepped Permanent Magnet Structure

  • Eid Ahmad M.;Lee Hyun-Woo;Nakaoka Mutsuo
    • Journal of Power Electronics
    • /
    • 제6권4호
    • /
    • pp.290-297
    • /
    • 2006
  • Various methods have been discussed to reduce detent force in a tubular permanent magnet type linear single phase AC generator. In particular, the proposed methods depend on variations of the permanent magnet construction. These methods include two approaches in the form of sloped magnets, and conical magnets in addition to the conventional method of optimizing the magnet length. The undesired detent force ripples were calculated by a two dimensional Finite Element Method (FEM). Moreover, the generated electromotive force in the stator coils was calculated for each configuration of the permanent magnet. The experimental results agreed well with those obtained from the FEM-based simulations. Sufficient reduction in the detent force was achieved over the range of 40% while the root mean square of the output voltage was maintained. It was found that sloping the permanent magnet decreased the detent force and at the same time increased the generated rms voltage of the AC generator. The performance of the designed linear AC generator was evaluated in terms of its efficiency, total weight, losses, and power to weight ratio.

전차선 전류 분류비를 이용한 교류전기철도 고장점 표정기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Fault Location Estimation Technique Using the distribution Ratio of Catenary Current in AC Feeding System)

  • 정호성;박영;김형철;민명환;신명철
    • 한국철도학회논문집
    • /
    • 제14권5호
    • /
    • pp.404-410
    • /
    • 2011
  • AT 방식의 교류 급전시스템에서는 고장점 표정하기 위해 리액턴스 방식과 AT흡상전류비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하지만 이 방식들은 여러 이유로 인해 표정 오차가 발생할 수 있다. 기존 방식의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전차선 전류 분류비를 이용하여 고장점을 표정하는 새로운 기법을 제안한다. 전차선 전류 분류비 방식은 기존에 전차선에 연결되어 있는 보호계전기를 사용하여 각 전차선의 전류를 측정하고 취합하여, 그 비(ratio)를 이용하여 고장지점을 표정한다. 이 방식은 기존의 기법보다 더 정확한 고장점을 표정할 수 있으며, 기존의 설치되어있는 계전기를 사용함으로써 추가 설비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Tubular Permanent Magnet Linear Synchronous Generator Design For Linear Engine Applications

  • Eid, Ahmad M.;Kim, Sung-Jun;Lee, Hyun-Woo;Nakaoka, Mutsuo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5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전기기기 및 에너지변환시스템부문
    • /
    • pp.17-19
    • /
    • 2005
  • Variety of methods were discussed to reduce the cogging force in tubular permanent magnet type linear single phase AC generator. In paticular, the proposed methods depend on the variations of the permanent magnet construction. These methods Include two approaches in the form of sloped magnets, and conical magnets in addition to the conventional method of varying the magnet length. The undesired cogging force ripples were calculated by a two dimensional Finite Element Method(FEM). Moreover, the generated electromotive force in the stator coils was calculated fur each configuration of the permanent magnet. The experimental results agreed well with those obtained from the FEM-based simulations. Sufficient reduction in the cogging force was achieved over the range of 40% while the root mean square of the output voltage was maintained. It was found that the sloping the permanent magnet decreased the cogging force and at the same time increased the generated rms voltage of the AC generator. The performance of the designed linear AC generator was evaluated in terms of its efficiency, total weight, losses, and power to weight ratio.

  • PDF

침전극 곡률반경에 따른 LLDPE/EVA의 교류트리 특성 (A Study on the AC Treeing Characteristics with Tip Radius of Needle Electrode in LLDPE/EVA)

  • 이재필;이충호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2003년도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Vol.4 No.1
    • /
    • pp.476-480
    • /
    • 2003
  • Polyethylene used as insulating material of power cable is nonpolar and low dielectric loss polymer. But it has defects of tree generation and accumulation of space charge by an applied voltage resulting in the decreased life and performance. To solve these problems, mixed films with LLDPE and EVA that is similar to LLDPE at physical properties in case of low VA contents were made and tested due to the blend ratios of 80:20, 70:30, 60:40 and 50:50[wt%] respectively. We investigated AC electrical treeing characteristics to acquire the best mixture ratio and effect of the tip radius of needle electrode to develop excellent treeproof materials. The degree of crystallity calculated with XRD pattern is higher for pure LLDPE, 50:50 and 70:30. For DSC analysis, it is confirmed that the melting points of mixed specimens are lower than that of pure LLDPE and higher than pure EVA's. The shape of tree propagation showed that pure EVA was electrical tree shape of the branch type, pure LLDPE and blended specimens was able to confirm tree shape of the bush type. As the tip radius go up in the blend ratio 70:30 specimen, the tree inception voltage rise. Probably the reason is the relaxation of electric field in the specimen with bigger tip ratio. As the 6 specimens were applied AC 5[KV],7.5[KV],10[KV] respectively, tree growth length is far shorter in the specimen with blend ratio 70:30, 50:50 than in pure EVA and pure LLDPE specimen. Conclusively, it is confirmed that specimens of which blend ratio are 70:30 and 50:50 are good in electrical tree retardant characteristics, especially, 70:30 has lower dielectric loss than 50:50 and its mixture ratio is the best.

  • PDF

사위별 가입렌즈에 따른 자극 AC/A비와 반응 AC/A비의 비교 (Comparison between Stimulus and Response AC/A Ratios for Each Phoria with Additional Spherical Power)

  • 이세희;유동식;손정식;곽호원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345-351
    • /
    • 2014
  • 목적: 각 사위 그룹에서 가입렌즈에 따른 조절반응량과 근거리 수평사위도의 변화를 측정하여 자극 AC/A비와 반응 AC/A비를 조사하였다. 이에 자극 AC/A비와 반응 AC/A비를 비교 분석하여 임상에서의 양안시 검사 및 처방시에 유용한 자료로 제시하고자 한다. 방법: 평균 만 $20.89{\pm}1.92$세, 81명을 대상으로 주시거리 40 cm에서 개방형 자동굴절계(Nvision-K 5001, Shin nippon)와 수정된 토링톤 시표(MIM card; Muscle Imbalance Measure card, Bernell)를 이용하여 양안시 상태에서 조절반응량과 근거리 수평사위도를 측정하였다. 그리고 측정된 값을 토대로 자극 AC/A비와 반응 AC/A비를 경사 AC/A법으로 계산하였다. 결과: 주시거리 40 cm에서 조절반응량은 외사위 그룹이 $1.92{\pm}0.26$ D로 가장 크고, 정위 그룹 $1.72{\pm}0.26$ D, 내사위 그룹 $1.62{\pm}0.42$ D 순으로 작아졌고, 근거리 수평사위도의 변화폭은 내사위 그룹이 $23.24{\Delta}$로 가장 크고, 정위 그룹 $19.76{\Delta}$, 외사위 그룹 $15.14{\Delta}$ 순으로 작게 나타났다. 가입렌즈에 따른 자극 AC/A비와 반응 AC/A비의 차이는 외사위 그룹에서는 -2.00 D 렌즈를 가입하였을 때, $1.72{\Delta}/D$로 가장 컸고 내사위 그룹에서는 +1.00 D 렌즈를 가입하였을 때 $3.43{\Delta}/D$로 가장 크게 나타났다. 외사위 그룹에서 -2.00 D, -1.00 D 렌즈를 가입하였을 때, 내사위 그룹에서는 +3.00 D, +2.00 D, +1.00 D, -1.00 D 렌즈를 가입하였을 때 각각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결론: 자극 AC/A비와 반응 AC/A비를 비교하였을 때, 외사위 그룹에서는 (-) 렌즈를 가입하였을 때의 차이가 더 크고, 내사위 그룹에서는 (+) 렌즈를 가입하였을 때의 차이가 더 크게 나타났다. 또한 내사위 그룹의 자극 AC/A비와 반응 AC/A비의 차이가 외사위 그룹의 차이보다 더 크게 나타났다.

전압변성기용 부담특성 정밀분석용 자동평가시스템의 개발 (Development of an Automatic Evaluation System for the Precision Analysis of Potential Transformer Burden Characteristics)

  • 권성원;김문석;정재갑;이성하;김명수
    • 대한전기학회논문지:전기물성ㆍ응용부문C
    • /
    • 제54권10호
    • /
    • pp.457-464
    • /
    • 2005
  • Both ratio error and phase angle error in potential transformer(PT) are critically affected by used burden, connected in parallel to the secondary terminal of the PT. Thus precise measurement of burden value is very important for the evaluation of PT An automatic measurement system has been developed for the measurement of burden value and power factor of a burden. The ac voltage, current and power of the burden are measured precisely, and the burden value and power factor were calculated from these measured values. The resistance and inductance values of the tested burden are also calculated. The overall measurement uncertainties are calculated and reported with the burden value and power factor. The best measurement uncertainty for the burden measurement with the developed automatic measurement system was estimated to be 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