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alcitonin

검색결과 173건 처리시간 0.031초

Influence of pain-relieving therapies on inflammation and the expression of proinflammatory neuropeptides after dental bleaching treatment

  • da Silva, Livia Maria Alves Valentim;Cintra, Luciano Tavares Angelo;de Oliveira Gallinari, Marjorie;Benetti, Francine;Rahal, Vanessa;Ervolino, Edilson;de Alcantara, Sibele;Briso, Andre Luiz Fraga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45권2호
    • /
    • pp.20.1-20.14
    • /
    • 2020
  • Objectives: To minimize the tooth sensitivity caused by in-office bleaching, many dentists use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and topical desensitizing gels containing potassium nitrate and sodium fluoride.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influence of these substances on inflammation and the expression of substance P and calcitonin gene-related peptide in pulp nerve fibers. Materials and Methods: Seventy-two rats were divided into 6 groups as follows: GI, control; GII, only dental bleaching; GIII, only ibuprofen; GIV, ibuprofen administered 30 minutes before and after the bleaching treatment and every 12 hours until the analysis; GV, only topical application of a desensitizing agent; and GVI, topical application of a desensitizing agent before dental bleaching. Placebo gel was applied to the upper left jaw and the bleaching agent was applied to the upper right jaw in all groups. Subsequently, the groups were divided into 3 subgroups based on the time of analysis: 0, 24, and 48 hours after bleaching (n = 8). The rats were euthanized and the maxillae were processed and evaluated by histopathological and immunohistochemical analyses.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Kruskal-Wallis test, followed by the Dunn test (p < 0.05). Results: In the bleaching groups, the inflammatory process and expression of neuropeptides decreased over time. The animals in which a desensitizing agent was applied showed better results within 24 hours. Conclusions: The use of a desensitizing agent had positive effects on inflammation and pain-related neuropeptide expression, minimizing the painful effects of dental bleaching treatment.

CGRP, SP의 국소도포와 전기자국에 의한 고양이 치수신경활동의 변화 (CHANGES IN INTRADENTAL NERVE ACTIVITY FOLLOWING LOCAL APPLICATION OF CGRP, SP AND ELECTRICAL STIMULI IN CATS)

  • 김미자;손호현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20권2호
    • /
    • pp.527-537
    • /
    • 1995
  • The effect of calcitonin gene-related peptide (CGRP), substance P (SP) and electrical stimulation of the tooth on the intradental nerve activtiy (INA) was investigated in anesthetized cats. The INA was recorded from single pulp nerve units dissected from the inferior alveolar nerve under stereomicroscope. The INA elicited by 3 minute application of 4M NaCl in deep dentinal cavity was compared before and after stimulation at 10 minute intervals. The magnitude of INA was calculated as the total number of nerve impulses produced in given period, and the changes of INA are expressed as % of control INA.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1. 16 single pulp nerve units were classified as 14 $A{\delta}$-fibers (3.4~19.4m/sec) and 2-fibers (1.5~1.7m/sec) according to the conduction velocity. 2. 4M NaCl evoked an irregular bursts of spikes which continued until washing out. Isotonic saline did not affect INA to subsequent applications of the hypertonic NaCl solution (P>0.05). 3. Local application of CGRP ($200{\mu}g$/ml) in deep dentinal cavity reduced the INA induced by 4M NaCl in $A{\delta}$-fiber units (P<0.01) and some units of those responded to CGRP during application. 4. Local application of SP ($100{\mu}g$/ml) in deep dentinal cavity reduced the INA induced by 4M NaCl in AS-fiber units (p<0.05), but increased the INA in C-fiber unit coincided with large reduction of the INA of $A{\delta}$-fiber units. 5. Monopolar electrical stimulation applied to the crown at intensities high enough to excite C-fibers (12V, 5ms, 10Hz, 10~30min) decreased the INA in $A{\delta}$-fiber units (P<0.01) and systemic pretreatment with phenoxybenzamine (3mg/kg, i.v.) enhanced this inhibitory effect (P<0.01). On the contrary, electrical stimulation increased the INA in C-fiber unit.

  • PDF

우슬과 인삼 열수추출 혼합물의 파골세포와 조골세포 분화 효과 (Effects of the Hot Water Extract Mixtures from Achyranthes bidentata Blume and Panax ginseng on Osteoclast and Osteoblast Differentiation)

  • 김진성;이상원;김영옥;방만석;오충훈;김철태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17-124
    • /
    • 2015
  • Osteoporosis induces a bone mineral density loss due to imbalance of bone homeostasis that is achieved by osteoclasts (which are involved in bone resorption) and osteoblasts (which are involved in bone formation). Thu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hot water extract of the Achyranthes bidentata Blume (ABB) and Panax ginseng (Gin) on osteoclast and osteoblast differentiation. In this study, there was no cytotoxicity by ABB, 50 and $100{\mu}g/ml$ of Gin significantly decreased cell viability of RANKL-induced osteoclast in RAW264.7 cell (p < 0.01). But, it was $50{\mu}g/ml$ of ABB and Gin mixtures increased due to protective action of ABB. Furthermore, Gin contained groups (Gin, ABB and Gin mixtures) were inhibitory effects on osteoclast differentiation and bone resorption, and increased in osteoblast differentiation activity. Gin clearly inhibited RANKL-induced osteoclast differentiation by decreased calcitonin and TRAP (p < 0.01). Also, these extracts significantly increased calcium accumulation formation of osteoblastic differentiation reagents-induced osteoblast in MC3T3-E1 cell (p < 0.05). These results suggest that ABB and Gin mixtures may be a potential as drug for the treatment of osteoporosis.

Neurochemical Characterization of the TRPV1-Positive Nociceptive Primary Afferents Innervating Skeletal Muscles in the Rats

  • Shin, Dong-Su;Kim, Eun-Hyun;Song, Kwan-Young;Hong, Hyun-Jong;Kong, Min-Ho;Hwang, Se-Jin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43권2호
    • /
    • pp.97-104
    • /
    • 2008
  • Objective: Transient receptor potential vanilloid subfamily type 1 (TRPV1), a most specific marker of the nociceptive primary afferent, is expressed in peptidergic and non-peptidergic primary afferents innervating skin and viscera. However, its expression in sensory fibers to skeletal muscle is not well known. In this study, we studied the neurochemical characteristics of TRPV1-positive primary afferents to skeletal muscles. Methods: Sprague-Dawley rats were injected with total $20{\mu}l$ of 1% fast blue (FB) into the gastrocnemius and erector spinae muscle and animals were perfused 4 days after injection. FB-positive cells were traced in the L4-L5 (for gastrocnemius muscle) and L2-L4 (for erector spinae muscle) dorsal root ganglia. The neurochemical characteristics of the muscle afferents were studied with multiple immunofluorescence with TRPV1, calcitonin gene-related peptide (CGRP) and $P2X_3$. To identify spinal neurons responding to noxious stimulus to the skeletal muscle, 10% acetic acids were injected into the gastrocnemius and erector spinae muscles and expression of phospho extracellular signal-regulated kinase (pERK) in spinal cords were identified with immunohistochemical method. Results: TRPVl was expressed in about 49% of muscle afferents traced from gastrocnemius and 40% of erector spinae. Sixty-five to 60% of TRPV1-positive muscles afferents also expressed CGRP. In contrast, expression of $P2X_3$ immnoreaction in TRPV1-positive muscle afferents were about 20%. TRPV1-positive primary afferents were contacted with spinal neurons expressing pERK after injection of acetic acid into the muscles. Conclusion: It is consequently suggested that nociception from skeletal muscles are mediated by TRPV1-positive primary afferents and majority of them are also peptidergic.

Vav1 inhibits RANKL-induced osteoclast differentiation and bone resorption

  • Jang, Jin Sun;Kang, In Soon;Cha, Young-Nam;Lee, Zang Hee;Dinauer, Mary C;Kim, Young-June;Kim, Chaekyun
    • BMB Reports
    • /
    • 제52권11호
    • /
    • pp.659-664
    • /
    • 2019
  • Vav1 is a Rho/Rac guanine nucleotide exchange factor primarily expressed in hematopoietic cell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potential role of Vav1 in osteoclast (OC) differentiation by comparing the ability of bone marrow mononuclear cells (BMMCs) obtained from Vav1-deficient ($Vav1^{-/-}$) and wild-type (WT) mice to differentiate into mature OCs upon stimulation with macrophage colony stimulating factor and receptor activator of nuclear kappa B ligand in vitro. Our results suggested that Vav1 deficiency promoted the differentiation of BMMCs into OCs, as indicated by the increased expression of tartrate-resistant acid phosphatase, cathepsin K, and calcitonin receptor. Therefore, Vav1 may play a negative role in OC differentiation. This hypothesis was supported by the observation of more OCs in the femurs of $Vav1^{-/-}$ mice than in WT mice. Furthermore, the bone status of $Vav1^{-/-}$ mice was analyzed in situ and the femurs of $Vav1^{-/-}$ mice appeared abnormal, with poor bone density and fewer number of trabeculae. In addition, Vav1-deficient OCs showed stronger adhesion to vitronectin, an ${\alpha}_v{\beta}_3$ integrin ligand important in bone resorption. Thus, Vav1 may inhibit OC differentiation and protect against bone resorption.

Analgesic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of galangin: a potential pathway to inhibit transient receptor potential vanilloid 1 receptor activation

  • Kaiwen Lin;Datian Fu;Zhongtao Wang;Xueer Zhang;Canyang Zhu
    • The Korean Journal of Pain
    • /
    • 제37권2호
    • /
    • pp.151-163
    • /
    • 2024
  • Background: Galangin, commonly employed in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for its diverse medicinal properties, exhibits potential in treating inflammatory pain. Nevertheless, its mechanism of action remains unclear. Methods: Mice were randomly divided into 4 groups for 7 days: a normal control group, a galangin-treated (25 and 50 mg/kg), and a positive control celecoxib (20 mg/kg). Analgesic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were evaluated using a hot plate test, acetic acid-induced writhing test, acetic acid-induced vascular permeability test, formalin-induced paw licking test, and carrageenan-induced paw swelling test. The interplay between galangin, transient receptor potential vanilloid 1 (TRPV1), NF-κB, COX-2, and TNF-α proteins was evaluated via molecular docking. COX-2, PGE2, IL-1β, IL-6, and TNF-α levels in serum were measured using ELISA after capsaicin administration (200 nmol/L). TRPV1 expression in the dorsal root ganglion was analyzed by Western blot. The quantities of substance P (SP) and calcitonin gene-related peptide (CGRP) were assessed using qPCR. Results: Galangin reduced hot plate-induced licking latency, acetic acid-induced contortions, carrageenan-triggered foot inflammation, and capillary permeability in mice. It exhibited favorable affinity towards TRPV1, NF-κB, COX-2, and TNF-α, resulting in decreased levels of COX-2, PGE2, IL-1β, IL-6, and TNF-α in serum following capsaicin stimulation. Galangin effectively suppressed the upregulation of TRPV1 protein and associated receptor neuropeptides CGRP and SP mRNA, while concurrently inhibiting the expression of NF-κB, TNF-α, COX-2, and PGE2 mRNA. Conclusions: Galangin exerts its anti-inflammatory pain effects by inhibiting TRPV1 activation and regulating COX-2, NF-κB/TNF-α expression, providing evidence for the use of galangin in the management of inflammatory pain.

백서태자두개관에서 분리한 세포의 약리학적 및 생화학적 특성에 관한연구 (Pharmacological and Biochemical Characterization of Cells Isolated from Fetal Rat Calvaria)

  • 한남수;정동균;모리 마사카주
    • 대한약리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93-207
    • /
    • 1990
  • Transforming growth factor ${\beta}(TGF-{\beta})$는 많은 세포의 증식, 분화 및 여러가지 세포기능에 대해 다양한 조절기능을 갖고 있는 multifunctional polypeptide로 알려져 있다. $TGF-{\beta}$는 골기질에 상당량 존재하며 골조직 대사에 대해 광범위한 영향을 나타낸다. 여러가지 연구결과에 의해 기질과 연관된 $TGF-{\beta}$는 골세포 자체의 산물로 여겨지고 있으나 골조직세포군중 어느종류의 세포가 $TGF-{\beta}$를 형성하는지에 대해서는 논란이 되고 있다. 본 연구는 $TGF-{\beta}$를 형성하는 골조직세포를 규명하고 $TGF-{\beta}$가 서로 다른 세포들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고자 하였다. 본 실험에 필요한 특정골조직세포군을 얻기 위하여 백서태자두개관을 연속효소처리하여 수집한 골조직세포군의 생화학적 특성규명을 시행하였다. 효소 처리후 초기에 유리되는 세포는 섬유아세포의 특성을 보이며 후기에 유리되는 세포는 acid 및 alkaline phosphatase 활성과 부갑상선호르몬, calcitonin, prostaglandin $E_{2}$에 대한 c-AMP의 반응 및 교원 단백질합성등을 통해 볼때 조골세포유사세포로 보여진다. 골조직과 두개관세포 추출물의 Polyacrylamlde gel과 immunoblot analysis에 의해 골조직내에 $TGF-{\beta}$의 존재와 골세포에 의한 $TGF-{\beta}$의 생성을 확인하였다. 두개관 세포 추출물의 분석에서 모든 세포군에서 $TGF-{\beta}$가 합성되는 것을 관찰하였다. 외부에서 $TGF-{\beta}$를 가한 경우 무혈청 배지에서 골조직 증식에 대해 두가지 양상의 반응을 보였다. 조골세포 유사세포에서는 촉진하는 반응을 보였으나 섬유아세포군에서는 억제반응을 나타냈다. 반면에 교원 및 비교원 단백질 합성에 있어서는 모든 두개관세포군이 촉진반응을 보였다. 단백질 합성증가는 교원단백에 특이성이라기 보다는 일반적인 증가로 보여진다. 또한 단백질합성증가에 대한 $TGF-{\beta}$의 영향은 세포증식과의 관련성이 없는 것으로 사료된다. 결국 골세포에 의한 $TGF-{\beta}$의 생성과 여러 세포군에 대한 서로 다른 작용으로 보아 $TGF-{\beta}$는 autocrine과 paracrine 양상으로 세포기능을 조절함으로써 골조직 대사를 조절하는 중요한 기능을 발휘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수막 자극 증상으로 내원한 환자에서 두통과 관련된 신경 펩타이드에 대한 연구 (A study of neuropeptides related to headaches in children with meningeal irritation signs)

  • 서보길;유명환;심재원;심정연;정혜림;박문수;김덕수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9권5호
    • /
    • pp.533-538
    • /
    • 2006
  • 목 적 : 무균성 수막염은 구토, 발열, 두통 등의 증상을 일으키며, 이때 발생하는 두통은 급격한 뇌압 상승이나 두개강 내 통증 연관 조직에 의한다고 한다. 하지만, 뇌압상승이 현저하지 않거나, 뇌척수액 소견이 정상인데도 두통을 호소하는 경우가 있어 수막염에서의 두통이 다른 경로를 통하여서도 발생하리라 생각된다. 이에 저자들은 두통 유발과 관련이 있는 SP와 CGRP의 뇌척수액 농도를 측정하여 무균성 수막염 및 수막자극증상에서의 역할 여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2005년 6월부터 7월까지 수막자극증상이 있어 방문한 환자 75명을 대상으로 척수 천자를 시행하여 뇌압을 측정하고 얻은 뇌척수액 중 일부는 백혈구 수와 단백 및 당의 농도를 측정하고, 일부는 $-20^{\circ}C$로 보관하였다가 SP 면역분석 키트(R&D Systems, Inc., USA)와 CGRP 효소 면역분석 키트(Phoenix Pharmaceuticals, Inc., USA)를 이용하여 뇌척수액 농도를 측정하였다. 전체 환자를 뇌척수액의 백혈구 증가가 있었던 경우는 수막염 환자군으로, 정상 소견이었던 경우는 수막자극증상 환자군으로 구분하였고, 수막염 환자군에서 뇌압이 $18cmH_2O$ 이하인 경우는 정상 압력군으로, 초과인 경우는 압력 상승군으로 분류하였다. 통계 분석은 각 군에서의 비교를 위해서 Student's t-test, Pearson 상관분석법을 이용하였고 P값이 0.05 미만인 경우를 통계적 유의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였다. 결 과 : 수막염 환자군의 연령은 평균 7.5세였고, 척수천자시 압력은 $14.8{\pm}4.5cmH_2O$, 뇌척수액 백혈구 수는 $106.2{\pm}199.5/mm^3$, 단백농도는 $38.9{\pm}21.4mg/dL$, 혈액 백혈구 수는 $9,888.2{\pm}4,221.6/mm^3$이었다. 반면, 수막자극증상 환자군의 연령은 평균 6.9세였고, 척수천자시 압력은 $12.0{\pm}5.1cmH_2O$, 뇌척수액 백혈구 수는 $1.1{\pm}1.1/mm^3$, 단백농도는 $22.3{\pm}7.4mg/dL$, 혈액 백혈구 수는 $11,929.0{\pm}4,892.8/mm^3$이었다. 두 군에서의 SP와 CGRP의 농도는 수막염군에서 각각 $54.5{\pm}44.2pg/mL$, $18.8{\pm}10.5ng/mL$이었고, 수막자극증상군에서는 $47.1{\pm}38.2pg/mL$, $14.1{\pm}7.4ng/mL$이었다. 수막염과 수막자극증상 환자군에서의 SP 농도는 통계적으로 차이는 없었으나 CGRP 농도는 통계적으로 수막염군에서 높았다(P<0.05). 또한, 수막염 환자군에서 뇌압에 따라 비교했을 때 SP와 CGRP 농도가 정상 압력군에서 유의하게 높았다(P<0.05). 결 론 : 무균성 수막염이나 수막자극증에서 발생한 두통은 바이러스 감염으로 인한 SP와 CGRP의 활성화와 관련이 있으리라 판단된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정상 대조군 및 두통의 정도나 기간, 증상 회복 후 수치변화에 대한 자료가 포함되어 있지 않았고, 두통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다른 케모카인이나 사이토카인이 고려되지 않았다. 따라서 향후에는 이런 제한점을 해결하고, 뇌내 혈관의 투과성과 관련이 있는 여러 물질에 대해서도 함께 연구가 수행되면 좋을 것으로 생각된다.

참다랑어 골분이 흰쥐의 칼슘대사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Bluefin Tuna Bone on Calcium Metabolism of the Rat)

  • 김영만;윤군애;황혜진;지규용;손병일;배서영;김인령;정자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101-106
    • /
    • 2004
  • 우골대체 Ca공급원으로서 참다랑어 골분과 이의 가공처리된 형태에 따른 Ca이용성을 흰쥐의 골격대사에 근거하여 비교하였다. 실험군은 \circled1 정상칼슘(0.5%)을 급여한 CC(CaCO$_3$; 대조군) \circled2 TB(bluefin tuna bone powder) \circled3 CT(citrated bluefin tuna bone powder) \circled4 BB(bovine bone powder) \circled5 CL(calcium lactate, 유산칼슘) \circled5 저칼슘을 급여한 LC(0.15% CaCO$_3$, 탄산칼슘)으로 구별하였다. 우골분을 섭취한 BB군의 체중 증가가 유의하게 높았으며, 구연산 처리된 참다랑어 골분(CT) 및 칼슘부족 식이를 급여한 LC군에서 체중증가가 낮았다. 식이 섭취량도 우골분(BB)군에서 가장 높았으며, 구연산처리된 참다랑어 골분(CT)군과 유산칼슘(CL)군에서 유의하게 낮은 섭취량을 보였다. 저칼슘식이인 LC군은 변으로 배설되는 양이 다른 정상식이군에 비해 최소화되어 흡수율이 최고치를 나타냈으나 칼슘 보유량은 가장 낮았다. 뇨 칼슘배설량은 정상칼슘군 중 참다랑어 골분(TB)군에서 유의하게 낮았고 유산칼슘(CL)군에서 높은 값을 보였지만 체내 칼슘보유량은 칼슘급원에 따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칼슘급원에 따른 변 칼슘 배설량과 칼슘흡수량은 차이가 없었다. 혈중의 calcitonin농도는 저칼슘군(LC)을 비롯한 탄산칼슘(CC)군과 유산칼슘(CL)군에서 유의하게 낮았으며, 참다랑어골분(TB)군, 구연산처리된 참다랑어골분(CT)군, 우골분(BB)군에서는 높은 수치를 보였고, PTH와 osteocalcin 농도는 실험군 간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뇨의 DPD 수치는 LC군(저칼슘식이군)에서 유의하게 높았고, 정상수준의 칼슘을 섭취한 각 군에서는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대퇴골의 습윤무게는 참다랑어골분(TB)군과 구연산처리 된 참다랑어 골분(CT)군에서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고, 건조후의 무게는 저칼슘군(LC)을 제외한 정상수준의 칼슘 투여군 간에 차이가 없었다. 대퇴골의 회분 함량은 정상수준의 칼슘식이군들에 비해 저칼슘식이인 LC군에서 유의하게 낮았다. 체중 100g 당의 대퇴골의 칼슘함량은 저칼슘식이(LC)군에서 유의적으로 낮았고 칼슘급원에 따라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대퇴골의 골밀도 측정 결과 저칼슘식이인 LC군은 정상식이군에 비해 골밀도가 유의하게 낮았으며, 동일한 정상수준의 칼슘이 공급된 실험군 사이에서는 참다랑어골분(TB)군의 골밀도가 가장 높은 수치를 보였다. 본 연구결과 여러 가지 칼슘급원에 따른 흰쥐의 골격대사는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저칼슘군과의 차이가 두드러져 양적인 면에서의 칼슘공급의 중요성을 지적할 수 있겠다. 대퇴골의 중량이나 회분, 칼슘 및 대퇴골의 골밀도 결과로 보아 참다랑어 골분은 탄산칼슘군이나, 기존에 칼슘 급원으로 사용해 오던 우골분수준으로 뼈의 건강유지 면에서 긍정적인 가치를 부여할 수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홍화씨 분말 및 키토산의 사료 내 첨가가 종란 생산성 및 후기 난각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tary Safflower Seed Powder and Chitosan on Hatching Egg Production and Eggshell Quality in Aged Egg-type Breeder Hens)

  • 김은집;신승철;유선종;안병기;강창원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15-24
    • /
    • 2006
  • 본 연구는 종계사료 내 홍화씨 및 키토산의 첨가 급여가 산란종계에서 종란 생산성 및 후기 난각질 강화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54주령 Hy-Line Brown 산란종계 암탉 400수와 수탉 40수를 공시하여 Ca을 3.5%로 수준으로 함유한 실험사료(대조구)에 홍화씨 분말을 0.25% 및 0.50% 수준으로 첨가하거나 키토산을 0.10% 및 0.20% 수준으로 첨가한 총 5개의 실험사료(4반복)를 6주간 급여하였다. 사료섭취량 및 난생산성에서는 처리간에 차이가 없었으나, 종란율은 대조구에 비해 홍화씨 분말 및 키토산을 첨가한 모든 실험구에서 첨가 수준과 관계없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5). 평균 난각 강도는 홍화씨 분말 및 키토산 첨가에 의해 유의하게 개선되었으며(P<0.01), 난각 두께는 키토산 첨가구가 대조구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01). 수정율 및 입란대 부화율은 대조구에 비해 키토산 첨가구에서 유의하게 개선되는 결과가 관찰되었다. (P<0.01). 경골 파쇄강도는 처리간에 큰 차이가 없었으나, 경골 내 Ca 및 P 함량은 대조구에 비해 홍화씨 분말 0.5% 첨가구와 키토산 첨가구(T3 및 T4)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P<0.01). 혈중 estrogen, calcitonin 및 PTH 등 호르몬 농도에서는 큰 변화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기의 결과로부터 산란종계의 후기 난각질 및 생산성의 개선을 위해서는 사료 내 홍화씨 및 키토산과 같은 Ca의 이용성에 영향을 미치는 성분을 적절히 활용함으로써 후기 난각질과 부화율의 개선을 통해 종란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