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adaverine

검색결과 68건 처리시간 0.032초

Polyamine 농도에 미치는 효소에 관한 연구 대두의 유묘에서 IAA가 Lysine Decarboxylase와 Diamine Oxidase의 활성과 Polyamine함량에 미치는 영향 (Studied on Enzymes Responsible for Polyamine Level Effects of IAA on the activities of lysine decarboxylase and diamine oxidase and polyamine level in seedlings of soybean)

  • 송재진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32권2호
    • /
    • pp.89-99
    • /
    • 1989
  • The effect of IAA on lysine decarboxylase(LDC)activity, diamine oxidase (DAO) activity and the polyamine level in seedlings of soybean were investigated. The seedlings of soybean were treated with IAA (10-8M, 10-6M, 10-4M) and LDC activity, DAO activity and polyamine levels of cotyledon, elongating hypocotyl, elongated hypocotyl and the root were measured after 4, 6, 8, 10 days. Increased concentration of IAA stimulated the LDC activity and increased the level of polyamine in the seedlings, which reducing the DAO activity and polyamine level was increased in the seedlings. The light also stimulated the IAA effect on polyamine level and DAO activity, and polyamine level was higher in the seedlings grown in the light than those in the dark. Cadaverine was the most abundant polyamine in the seedlings of soybean. The levels of diamines, cadaverine, putrescine were higher in the elongated hypocotyl and root than in the elongating hypocotyl, but the levels of spermidine and spermine were relatively higher in the cotyledon than in the other parts. Accumulation of diamines by high concentration of IAA is postulated to be a phenomenon of inhibition in seedlings growth.

  • PDF

고속액체크로마토그라피에 의한 프로스타글란딘류의 고감도 형광 분석법 (A Sensitive Fluorescent Detection Method for Prostaglandins by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 이용문;문동철
    • 약학회지
    • /
    • 제36권5호
    • /
    • pp.506-511
    • /
    • 1992
  • The Prostaglandins were derivatized rapidly with monodansyl cadaverine as a fluorophore in mild conditions. The carboxylic moiety of prostaglandins was activated with diethyl phosphorocyanidate and successively coupled with fluorophore in dimethylformamide at room temperature. The labeling yield was reached about 95% at 15 min using arachidic acid $(C_{20:0})$ as a test sample. This derivative showed constant fluorescent intensity at $4^{\circ}C$ for 180 days. The derivatives of prostaglandins were shown high solvent selectivity with tetrahydrofuran in reversed-phase column. therefore, these derivatives could be successfully separated on YMC pack A-212(S-5 120A C8) column in tetrahydrofuran-based eluents. The detection limits of these derivatives was ca. 500 fmol and determination limits was ca. 5 pmol as injected amount in fluorescent detection $({\lambda}ex.\;340\;nm,\;{\lambda}em.\;520\;nm)$. In this method, the ranges of recovery and coefficient of variation were $93.6{\sim}102.7%$ and $4.3{\sim}5.8%$, respectively.

  • PDF

Salmonella typhimurium cadBA 오페론의 발현에 관여하는 돌연변이체의 선별 및 그 특성 (Characterization of cadC and cadR Mutants in Mediating the Expression of the Salmonella typhimurium cadBA Operon)

  • 방성호;박용근
    • 미생물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259-264
    • /
    • 2001
  • S. typhimurium cadBA operon의 발현에는 산성 pH와 고농도의 lysine 등 적어도 두 가지의 세포외부 신호가 요구된다. pH와 lysine신호에 따른 cadBA 발현 조절 기작을 이해하기 위하여, Tn10삽입, 자발적 돌연변이, EMS돌연변이 등을 수행하여 JF2238과 cadA-lacZ의 발현특성에 차이를 보이는 돌연변이체를 선별하였다. cadBA의 양성적 조절자의 유전자인 cadC내의 돌연변이 중 cadC4 돌연변이는 pH-비의존성, lysine-의존성 발현을, cadC6 돌연변이는 pH-비의존성, lysine-비의존성 cadA-lacZ 발현을 나타내었다. 산성 pH, lysine이 없는 조건에서 cadA-lacZ 발현을 유도하는 cadR::Tn10과 cadR3 돌연변이체를 분리하여 cadR이 lysine이 없는 조건에서 cadBA 발현을 음성적으로 조절하는 음성적 조절자의 유전자임을 알 수 있었다. cadR 돌연변이체는 lysine의 독성 유사체인 thiosine에 대해 내성($Ts^{r}$)을 나타냈으며, E. coli의 lysP 클론을 갖고 있는 pLYSP에 의해 돌연변이 형질이 보상되었다. 또한 lysine decarboxylase (CadA)의 반응산물인 cadaverine은 cadC+ 균주에서 cadA-lacZ 발현에 억제효과를 나타냈으나, cadC 돌연변이에는 억제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 PDF

막걸리에서 분리한 Lactobacillus plantarum의 biogenic amine 생성능 (Formation of Biogenic Amines by Lactobacillus plantarum Isolated from Makgeolli)

  • 곽희정;김재영;이현숙;김순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6권4호
    • /
    • pp.438-445
    • /
    • 2014
  • 본 연구는 시판되고 있는 막걸리의 저장 온도에 따른 BA 생성의 차이를 비교하고, 시판 막걸리의 우점종을 찾아내어, 이 균을 멸균 막걸리에 접종함으로써 BA 생성여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시판 막걸리 11종을 구입해 $4^{\circ}C$$20^{\circ}C$에서 각각 10일 동안 저장한 뒤 BA 함량을 확인한 결과, 생막걸리는 $4^{\circ}C$에 비해 $20^{\circ}C$에서 10일간 저장함에 따라 BA 양이 급격히 증가하였고, 살균막걸리는 온도에 따른 BA 변화가 없었다. 시판 막걸리에서 가장 많이 검출된 BA는 histamine과 putrescine이었다. $4^{\circ}C$에서 저장한 막걸리에 비해 $20^{\circ}C$에서 저장한 막걸리에서 미생물의 변성된 DNA band가 다양하게 나타났다. $4^{\circ}C$에서 저장한 시판 막걸리의 주된 bacteria는 Staphylococcus succinus와 Staphylococcus gallinarum, Lactobacillus (L). brevis, L. plantarum, L. fermentum였고, $20^{\circ}C$ 막걸리에서 공통적으로 증식한 균은 L. perolens, L. harbinensis, LBARR16SI L. brevis, L. plantarum, L. satsumensis이었다. 막걸리에서 분리한 18종의 colony 중 3종의 L. plantarum strains을 $4^{\circ}C$에서 3일간 보관한 신선한 막걸리를 멸균한 후 접종하고 BA 생성능을 비교한 결과, PLP나 아미노산을 첨가하지 않은 경우는 접종 후 15일까지 BA가 검출되지 않았다. 멸균막걸리에 PLP를 추가해준 경우 3종의 colony를 접종해준 모든 막걸리에서 15일까지 미량의 tyramine만 검출되었으며 PLP와 아미노산을 둘다 추가해준 경우 3종의 colony 모두 10일째와 15일째에 tyramine과 histamine이 검출되었다. $20^{\circ}C$에서 21일간 저장한 막걸리는 멸균 후 PLP만 추가해주어도 3종의 colony 모두 5일, 10일, 15일에 과량의 tyramine, histamine, putrescine, cadaverine이 검출되었다. 이런 결과로 볼 때, 막걸리를 저온 저장하지 않을 경우 막걸리 성분의 분해로 인하여 BA 양이 증가하며, 막걸리 저장 온도는 막걸리 미생물 양상에 매우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막걸리 유산균의 우점종인 L. plantarum은 막걸리에서 histamine, tyramine, putrescine과 cadaverine을 생성할 수 있음을 밝혀, 이것이 막걸리 BA 생성의 주요 원인균 중 하나임을 알 수 있었다. 이후 막걸리의 BA를 낮추기 위한 조건을 탐색하는 연구가 계속 진행될 필요가 있다.

미생물에 의한 불휘발성아민의 분해 (Microbial Degradation of Non-volatile-amine)

  • 이태식;박정흠;이명숙;허성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1-6
    • /
    • 1990
  • 수산발효식품의 제조, 숙성중에 생성되는 부패성 불휘발성아민의 효과적인 분해방법을 모색하기 위하여 정어리 젓갈에서 아민분해능이 있는 균주를 분리 동정하였고, 이 균주중 가장 아민분해능이 강한 균주를 선별하여 분해최적조건을 실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정어리젓갈에서 amine분해능이 있는 4균주를 분리하였는데 각각 Pseudomonas aeruginosa, 2종의 Pseudomonas fluorescens 그리고 Enterobacter aeruginosa로 동정되었다. 2. 위의 4균주에 의한 histamine, putrescine 그리고 cadaverine의 분해능은 어느 경우이든 Pseudomonas fluorescens가 가장 강하였고, Enterobacter aerogenes가 가장 약하였다. 3. Pseudomonas fluorescens에 의한 histamine, putrescine 그리고 cadaverine의 분해능은 약간의 차이가 있었으나 온도 $35^{\circ}C$, pH 7.5부근에서 가장 좋았고 식염농도의 증가에 따라서 감소하여 $0\~1\%$ 사이에서 가장 분해능이 좋았다.

  • PDF

A Liquid-Based Colorimetric Assay of Lysine Decarboxylase and Its Application to Enzymatic Assay

  • Kim, Yong Hyun;Sathiyanarayanan, Ganesan;Kim, Hyun Joong;Bhatia, Shashi Kant;Seo, Hyung-Min;Kim, Jung-Ho;Song, Hun-Seok;Kim, Yun-Gon;Park, Kyungmoon;Yang, Yung-Hu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5권12호
    • /
    • pp.2110-2115
    • /
    • 2015
  • A liquid-based colorimetric assay using a pH indicator was introduced for high-throughput monitoring of lysine decarboxylase activity. The assay is based on the color change of bromocresol purple, measured at 595 nm in liquid reaction mixture, due to an increase of pH by the production of cadaverine. Bromocresol purple was selected as the indicator because it has higher sensitivity than bromothymol blue and pheonol red within a broad range and shows good linearity within the applied pH. We applied this for simple determination of lysine decarboxylase reusability using 96-well plates, and optimization of conditions for enzyme overexpression with different concentrations of IPTG on lysine decarboxylase. This assay is expected to be applied for monitoring and quantifying the liquid-based enzyme reaction in biotransformation of decarboxylase in a high-throughput way.

바이오제닉아민 분해 유전자 보유 Bacillus 균주 선발 및 특성 (Selection and Characterization of Bacillus Strains Harboring the Gene for Biogenic Amine Degradation)

  • 허소정;정근철;이현동;정도원;이종훈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5권2호
    • /
    • pp.143-148
    • /
    • 2017
  • 메주와 된장에서 분리한 Bacillus 속 126균주를 대상으로 amine oxidase 활성을 나타낸 10균주를 분리하였다. 그 중, B. licheniformis 8MI05와 8MS03 균주는 동일한 염기서열을 가진 amine oxidase 유전자(yobN)를 보유하고 있었다. 공개된 B. licheniformis 유전체 정보를 대상으로 yobN 유전자의 보유를 검색한 결과, yobN 유전자 보유는 균주 특이적인 특성으로 확인되었다. 두 균주 모두 4종류 바이오제닉아민(cadaverine, histamine, putrescine, tyramine) 분해 활성을 나타냈고, yobN 유전자를 보유한 재조합균주에서도 바이오제닉아민 분해 활성이 확인되었다. Amine oxidase 유전자 보유 균주들은 14% NaCl 농도에서 생육 가능하였고, 균주 특이적인 protease 및 lipase 활성을 나타내었다.

전통장류에서 Biogenic Amines 분해 능력을 가지는 Bacillus subtilis 및 Bacillus amyloliquefaciens 균주의 분리 (Isolation of Biogenic Amines-Degrading Strains of Bacillus subtilis and Bacillus amyloliquefaciens from Traditionally Fermented Soybean Products)

  • 김용상;조성호;정도연;엄태붕
    • 미생물학회지
    • /
    • 제48권3호
    • /
    • pp.220-224
    • /
    • 2012
  • 전통 장류 제품 내 유해한 biogenic amines 양을 감소하기 위해, 83종의 전통 장류에서 biogenic amines을 분해할 수 있는 5종의 균주들을 분리하였다. 이들 균주들을 histamine, tyramine, putrescine, cadaverine이 각각 5.3% 함유된 삶은 콩에 접종하여 10일 간 발효시킨 결과 biogenic amines 함량을 27-92% 수준으로 감소시켰다. 선발한 균주들의 형태 및 생화학적 특성, 16S rRNA 유전자 서열 해독 결과 5종의 균주들은 Bacillus subtilis 또는 B. amyloliquefaciens에 속했다. 이 선발 균주들을 사용함으로서 biogenic amines 수준을 제어하기 힘든 전통 장류의 제조에 이 선발 균주들의 사용은 이들 함량을 줄일 수 있는 효과적 방안이 될 수 있다.

시판 간장 중의 biogenic amine의 함량 조사 (Survey of Biogenic Amine Contents in Commercial Soy Sauce)

  • 김재현;박현진;김미정;안현주;변명우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325-328
    • /
    • 2003
  • 국내에서 시판 유통되고 있는 9개$(A{\sim}I)$의 간장제품 중의 biogenic amine(BA) 함량을 조사하였다. 시판 간장에서 검출된 biogenic amine은 putrescine, cadaverine, tryptamine, ${\beta}-phenylethylamine$, spermine, histamine 및 tyramine으로 총 7종류가 검출되었으며, 각 제품에 따라 그 종류 및 함량 차이를 나타내었다. PUT은 6 제품에서 가장 높은 수준으로 검출되었으며, 가장 높은 제품과 낮은 제품에서의 함량차이가 약 16 mg/kg이상으로 나타났다. 6개의 제품에서 7종류의 BA이 모두 검출 된데 반해 한 제품(I)에서 5종류의 BA만이 검출되었다. I 제품은 putrescine을 제외한 모든 BA에서 유의적으로 가장 낮은 함량 수준을 보였으며, B 제품의 경우 7종류의 BA이 모두 검출되었고 함량도 유의적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간장의 화학적 유해요소에 대한 안전성 확보를 위해 지속적인 함량조사를 포함한 다양한 저감화 연구 등이 필요하다.

원료에 따른 젓갈류의 이화학적 성분 및 Biogenic Amine류의 함량 비교 (Comparison of the Physiochemical Compositions and Biogenic Amine Contents of Salt-fermented Fishery Products fromy Different Raw Materials)

  • 심길보;한형구;안병규;이우진;인정진;송호수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4권6호
    • /
    • pp.835-840
    • /
    • 2021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understand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89 types of commercial salt-fermented fishery products by measuring their physiochemical compositions and biogenic amine contents. All samples had the following measurements; 41.59-89.20 g/100 g of moisture, 1.71-25.70 g/100 g of salinity, 3.21-7.05 of pH, 0.80-2.93 g/100 g of total nitrogen, 87.02-1,296.78 mg/100 g of amino nitrogen, and 7.30-926.34 mg/100 g of volatile basic nitrogen. The physicochemical components differed extensively between samples from different raw materials, including, fish, shellfish, and others. Histamine (0 to 1,072.2 mg/kg), putrescine (0 to 2,536.4 mg/kg), cadaverine (0 to 545.2 mg/kg of cadaverine), tryptamine (0 to 1,287.9 mg/kg), and tyramine (11.3 to 563.3 mg/kg) were the major biogenic amines detected in the sample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salt-fermented fishery products meet the domestic criteria but have different ingredient compositions and most had high biogenic amine contents. The results suggest that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criteria for evaluating the quality characteristics using the ingredient composition and biogenic amine contents of commercial salt-fermented fishery produc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