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adastral Map

검색결과 216건 처리시간 0.021초

GIS를 이용한 연속지적도 오류검증 방안 (A Study on the Error Detection of Attached Cadastral Maps using GIS)

  • 정구하;전철민;고준환;박유리
    • 한국측량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측량학회 2007년도 춘계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243-248
    • /
    • 2007
  • This study proposed a procedure to improve the error defection of attached cadastral maps using digital map data. In addition, this study also provided the direction for the accuracy improvement of attached cadastral maps by comparing analysis methods. - such as centroid, Lee Sallee shape index, and area index. The analysis is performed as follows. First, by using centroid measurement, the center point of cadastral maps and attached cadastral maps are compared. Secondly by using Lee Sallee shape measurement, the location accuracy of range area is investigated. Thirdly, by using area measurement, the range area within allowable error scope is verified. Based on analysis, the discrepancy between cadastral maps and the attacked cadastral maps are detected as follows; 98.2% from Lee Sallee shape index, 41.8% from centroid, 15.4% from area index in the whole error.

  • PDF

정사투영 영상지도에 의한 수치지형도와 지적정보의 중첩정확도 분석 (Analysis of Overlay Accuracy in Digital Topographic Map and Cadastral Information Using Ortho Image map)

  • 강준묵;최종현;강영미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57-68
    • /
    • 1999
  • 지형정보의 활용을 위한 기본도 구축은 효율적인 GIS 작업의 성공여부를 좌우할 만큼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다. 그러므로, 실용적인 기본도 제작을 위해서는 국가지리정보체계와 필지중심토지정보체계를 일원화할 수 있는 지형 및 지적정보의 연계 활용이 이루어져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1:5,000 항공사진을 이용하여 정사투영 영상지도를 제작하고 map revision을 수행하였다. 그리고 이를 이용하여 기본도를 제작하고 지형 및 지적정보의 중첩정확도를 비교 분석함으로써, 영상지도와 지적정보를 중첩한 통합 데이터베이스의 제공은 물론 정확한 토지현황 파악과 환경 및 도시계획분야에 그 활용 방안을 제시할 수 있었다.

  • PDF

Extraction of Spatial Characteristics of Cadastral Land Category from RapidEye Satellite Images

  • La, Phu Hien;Huh, Yong;Eo, Yang Dam;Lee, Soo Bong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32권6호
    • /
    • pp.581-590
    • /
    • 2014
  • With rapid land development, land category should be updated on a regular basis. However, manual field surveys have certain limitations. In this study, attempts were made to extract a feature vector considering spectral signature by parcel, PIMP (Percent Imperviousness), texture, and VIs (Vegetation Indices) based on RapidEye satellite image and cadastral map. A total of nine land categories in which feature vectors were significantly extracted from the images were selected and classified using SVM (Support Vector Machine). According to accuracy assessment, by comparing the cadastral map and classification result, the overall accuracy was 0.74. In the paddy-field category, in particular, PO acc. (producer's accuracy) and US acc. (user's accuracy) were highest at 0.85 and 0.86, respectively.

GIS를 이용한 3차원정보지적도 모형 구축에 관한 연구 (Construction of 3D Information Cadastral Map Model Using GIS)

  • 오이균;양인태;유영걸;천기선
    • 한국측량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측량학회 2004년도 춘계학술발표회논문집
    • /
    • pp.577-580
    • /
    • 2004
  • Recently, in a field of cadastre, a computerization of cadastral map is in progress with great growth of GIS field. Also, the needs for the integration of land and building information are widely increasing for integral-management and its application of various land related information. In this study, it is constructed a 3D information cadastral map model that can make the integral management of land, building, connecting land recorders, building management ledgers, building titles, building pictures, and related attribute information.

  • PDF

정사영상과 지적도 중첩에 따른 정착도 평가 (Accuracy Assessment for Reiteration of Orthophoto and cadastral map)

  • 김감래;황보상원;김경록
    • 한국측량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측량학회 2004년도 춘계학술발표회논문집
    • /
    • pp.547-551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the method that it minimizes a disagree phenomenon when we superpose the digital ortho image on the cadastral map. Through the method, we are to apply the method to app licate and vary the land-relative information maximumly by adding the merit of the digital ortho image to the cadastral map.

  • PDF

지적세부측량을 위한 위성영상의 활용 (Utilization of Satellite Image for Cadastral Surveying)

  • 이종출;차성렬;김남식;강윤성
    • 한국측량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측량학회 2004년도 추계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535-538
    • /
    • 2004
  • Recently, Ministry of Government Administration and Home Affairs and Local Governments drafted plan to digitize cadastral maps for making effective land management and development. Cadastral map have difference in comparison with actual area's boundary since they used long time and continuously. In this study, verification of accuracy has concerned in comparison with cadastral map and IKONOS satellite image which has geometrical correction.

  • PDF

지적전문가 지식 기반의 반자동 방식에 의한 지적불부합지 정리 방법 개발 (Semi Automatic Adjustment Method Development of Cadastral Non-coincidence based on knowledge of an expert on Cadastral)

  • 홍성언;김현석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14권3호
    • /
    • pp.271-284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지적도 전산파일과 현황을 참조할 수 있는 공간 데이터를 이용하여 지적불부합지를 정리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방법론을 설계함에 있어 지적불부합지 정리의 정확성과 안정성 확보를 위해 지적전문가 지식을 기반으로 하는 반자동 방식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불부합지 유형 중에서 회전형, 편위형, 회전/편위형을 주 대상으로 하였다. 지적불부합지를 반자동으로 정리할 수 있는 프로토타입 시스템을 설계 구현하여 사례지역에 대해 매칭 기준점을 선정하고, 최적의 매칭 회전량(-0.4%)을 분석하여 불부합지를 보정하였다. 그러나 본 연구의 방법으로는 면적 증감형 및 불규칙유형의 불부합지를 정리하기에 한계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 이러한 유형에 대해서는 실측을 동반하여 정리하는 것이 효율적일 것으로 판단된다.

  • PDF

필지 객체의 형상 정합을 이용한 건물 설계도면의 좌표 등록 (Map registration of building construction plan drawing with shape matching of cadastral parcel polygon)

  • 허용;유기윤;양성철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193-198
    • /
    • 2013
  • 본 연구는 객체 정합 기법을 적용하여 건물 인허가 과정에서 제출되는 설계도면에 실세계의 좌표를 등록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일반적으로 설계도면에는 건물과 함께 건물이 위치할 필지 경계선이 포함되어 있다. 필지 경계선으로부터 얻어지는 폴리곤과 KLIS 연속지적도 상의 필지 폴리곤은 동일한 형상을 가지므로, 형상 정합 기법을 적용하여 좌표 등록에 필요한 변환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본 연구는 설계도면에 존재하는 선형들의 기하학적 왜곡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사 변환을 적용하였다. 이 변환에 필요한 평행 이동량, 축적 변화량 그리고 회전 변화량은 각각 건설도면과 연속지적도의 대응 폴리곤의 무게중심 차이, 면적비, 그리고 선회 함수를 이용한 형상 정합 과정에서 얻어지는 최적 회전 변화량으로 결정하였다. 제안된 방법을 경기도 수원시를 대상으로 세움터에 제출된 건설도면에 적용하였으며, 좌표 등록의 위치정확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좌표 등록된 설계도면의 건물 객체와 항공사진을 중첩하여 건물 모서리의 좌표를 비교하였다. 평가 결과 좌표 등록에 참조한 연속지적도와 항공사진의 위치 오차의 크기에 따라 구도심지역에서는 RMSE 기준 2.37m의 정확도를, 신도심지역에서는 0.95m의 위치 정확도를 얻을 수 있었다.

연속지적도 품질개선에 따른 용도지역지구도의 전환사례 분석 및 제도적 개선방안 (Case Analysis and Systematic Improvement Method of the Land Use Zoning Map Conversion according to the Quality Upgrade of Continuous Cadastral Map)

  • 정동훈;윤정환;임대석;양철수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18권1호
    • /
    • pp.27-37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국가공간정보통합체계 구축 시범사업의 일환으로 추진된 "연속지적도 품질개선 및 용도지역지구도 전환"의 성과를 분석하고 추진상의 문제점을 도출하여 본사업을 원활히 추진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시범대상지역 중 안성시를 대상으로 전환 전후의 면적변화를 비교하고 연속지적도와의 상관성을 분석하였으며, 사업 수행과정에서 나타난 문제점을 토대로 제도적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Developing application system of forest information using digital photogrammetry and GIS

  • Jo, Myung-Hee;Heo, Young-Jin;Kim, Joon-Bum;Kim, In-Ho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3년도 Proceedings of ACRS 2003 ISRS
    • /
    • pp.911-913
    • /
    • 2003
  • Recently in order to process forest official task more effectively and scientifically the previous of that which is focused on document and inventory, should be applied with the spatial information technology. Especially, the forest information remote sensing system has to be developed using digital photogrammetry and GIS. In this study the forest information remote sensing system is implemented to manage forest resource and forest official effectively especially by constructing database of forest environment information and cadastral information, overlaying various thematic maps, and performing spatial analysis using GIS and aerial photograph. For this, the attribute data and spatial data of aerial photograph, digital topography map, forest cadastral map, forest type map, forest use map should be reprocessed and stored in Oracle. Also, the user interface is developed by using Visual Basic 6.0 and MapObjects 2.1 of ESRI based on CBD(Component Based Development).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