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achexia

검색결과 63건 처리시간 0.03초

노화 관련 근감소증과 노쇠함의 원인과 예방을 위한 운동과 영양의 역할 (Causes of age-related sarcopenia and frailty: the role of exercise and nutrition for prevention)

  • 변용현;박우영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625-634
    • /
    • 2020
  • 이 연구의 목적은 노화 관련 근감소증과 노쇠함의 정의와 원인뿐만 아니라 규칙적인 운동과 올바른 영양을 통한 예방과 지연을 탐색하고자 한다. 근감소증과 쇠약함은 노화에 따른 근량과 근기능이 감소하여 쇠약함과 악액질, 골다공증, 대사적 증후군과 조기 사망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두 질환은 활성화 산소로 알려진 산화적 스트레스 양의 증가에 따른 근육 내부에서의 신경계 손상과 단백질 합성 부족, 부적절한 영양 및 신체활동의 부족 등과 관련성이 있었다. 그러한 증후군을 예방하고 개선하기 위한 올바른 영양과 신체활동(유산소운동, 저항운동 등)의 역할과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결론적으로 노화와 관련한 근감소증과 노쇠함을 예방하고 극복하기 위한 가장 유익한 방법으로서 규칙적인 운동을 포함한 양질의 단백질 공급을 제안한다.

A Case of Chaunocephalosis by Chaunocephalus ferox (Digenea: Echinostomatidae) in an Oriental White Stork, Ciconia boyciana, in Korea

  • Choe, Seongjun;Lee, Dongmin;Park, Hansol;Jeon, Hyeong-Kyu;Lee, Youngsun;Na, Ki-Jeong;Park, Shi-Ryong;Eom, Keeseon S.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54권5호
    • /
    • pp.659-665
    • /
    • 2016
  • We intended to describe a case of chaunocephalosis and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its causative agent, Chaunocephalus ferox, recovered from an oriental white stork, Ciconia boyciana, in the Republic of Korea. An oriental white stork was referred to the Wildlife Center of Chungbuk in Korea in February 2014 for severe depression with cachexia and it died the next day. At necropsy, the stomach was severely expanded and 7 thick-walled nodules were observed in the upper part of the intestine. Although the stomach was filled with full of foreign materials, the intestine was almost empty. The nodules were globular and total 9 flukes were recovered. They were $8,030-8,091{\mu}m$ in length and $3,318-3,333{\mu}m$ in maximum width. Because the flukes had bulbous forebody with short narrow subcylindrical hindbody, 27 collar spines, and vitelline follicles not reaching to the posterior end, the specimens were identified as being C. ferox. The cyst formation induced thickening of the intestinal wall with narrowing of the lumen that could have contributed to the gastric impaction to the death of the host. This is the first described case of chaunocephalosis and its causative agent C. ferox found from an oriental white stork in Korea.

The Level of Serum Cholesterol is Negatively Associated with Lean Body Mass in Korean non-Diabetic Cancer Patients

  • Han, Ji Eun;Lee, Jun Yeup;Bu, So Young
    • Clinical Nutrition Research
    • /
    • 제5권2호
    • /
    • pp.126-136
    • /
    • 2016
  • Due to poor nutrition and abnormal energy metabolism, cancer patients typically experience the loss of muscle mass. Although the diabetic conditions or dyslipidemia have been reported as a causal link of cancer but the consequence of such conditions in relation to gain or loss of skeletal muscle mass in cancer patients has not been well document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of lean body mass and systemic parameters related to lipid metabolism in non-diabetic cancer patients using data from the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2008-2011. As results the level of serum total cholesterol (total-C) was negatively associated with both total lean body mass and appendicular lean body mass in cancer patients after adjustment for sex, physical activity, energy intake and comorbidity. The associations between consumption of dietary factors (energy, carbohydrate, protein and fat) and lean body mass were disappeared after adjusting comorbidities of cancer patients. Multivariate-adjusted linear regression analysis by quartiles of serum total-C showed that higher quartile group of total-C had significantly lower percent of lean body mass than reference group in cancer patients. The data indicate that serum lipid status can be the potential estimate of loss of skeletal muscle mass in cancer patients and be referenced in nutrition care of cancer patients under the onset of cachexia or parenteral/enteral nutrition. This data need to be confirmed with large pool of subjects and should be specified by stage of cancer or the site of cancer in future studies.

COVID-19: "영양 아젠다" (Nutrition agenda during the era of the COVID-19 pandemic)

  • 이명숙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54권1호
    • /
    • pp.1-9
    • /
    • 2021
  • This review describes the risk factors of the nutrition crisis in coronavirus disease 2019 (COVID-19) infections and suggests precision nutrition against long-term psychological and physiological stress. The mandatory quarantine and the social distancing are associated with an interruption of the lifestyle routine, resulting in psychological (i.e., boredom) and physiological stress. The stress with multiple causes and forms induces over-compensation of energy-dense food, such as sugary comfort food, and is defined as "food craving" because carbohydrates positively affect the psychological stability with serotonin secretion. The consumption of foods that promote an immune response against viral infections (vitamins & minerals; Cu, folate, Fe, Se, Zn, and Vit A, B6, B12, C, and D), reduce inflammatory cytokines (w-3 fatty acids, Vit D, fibers, and Mg), contain antioxidants (beta-carotene, Vit E, C, Se, and phenolics), and sleep-inducing proteins (serotonin, melatonin, and milk products) is essential. In addition, a reduced Vit D deficiency in winter due to less time spent outdoors under quarantine has been reported to be associated with viral infections. The case fatality rate of COVID-19 was significantly dependent on age, sex, race, and underlying health condition. To prevent malnutrition and cachexia in elderly people, weight loss and muscle wasting should be monitored and controlled. Inadequate protein intake, sedentary lifestyle, and inflammation are significant risk factors for sarcopenia. Moreover, relatively high intakes of fat or carbohydrate compared to low protein intake result in abdominal obesity, which is defined as "sarcopenic obesity." Keeping the food-safety guidelines of COVID-19, this study recommends the consumption of fresh and healthy foods and avoiding sugar, fat, salt, alcohol, and commercially frozen foods.

Hybrid Lymphovenous Anastomosis Surgery Guided by Intraoperative Mesenteric Intranodal Lymphangiography for Refractory Nontraumatic Chylous Ascites: A Case Report

  • Soo Jin Woo;Saebeom Hur;Hee Seung Kim;Hak Chang;Ji-Young Kim;Soo Jin Park;Ung Sik Jin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51권1호
    • /
    • pp.130-134
    • /
    • 2024
  • Refractory chylous ascites can cause significant nutritional and immunologic morbidity, but no clear treatment has been established. This article introduces a case of a 22-year-old female patient with an underlying lymphatic anomaly who presented with refractory chylous ascites after laparoscopic adnexectomy for ovarian teratoma which aggravated after thoracic duct embolization. Ascites (>3,000 mL/d) had to be drained via a percutaneous catheter to relieve abdominal distention and consequent dyspnea, leading to significant cachexia and weight loss. Two sessions of hybrid lymphovenous anastomosis (LVA) surgery with intraoperative mesenteric lymphangiography guidance were performed to decompress the lymphatics. The first LVA was done between inferior mesenteric vein and left para-aortic enlarged lymphatics in a side-to-side manner. The daily drainage of chylous ascites significantly decreased to 130 mL/day immediately following surgery but increased 6 days later. An additional LVA was performed between right ovarian vein and enlarged lymphatics in aortocaval area in side-to-side and end-to-side manner. The chylous ascites resolved subsequently without any complications, and the patient was discharged after 2 weeks. The patient regained weight without ascites recurrence after 22 months of follow-up. This case shares a successful experience of treating refractory chylous ascites with lymphatic anomaly through LVA, reversing the patient's life-threatening weight loss. LVA was applied with a multidisciplinary approach using intraoperative mesenteric lipiodol, and results showed the possibility of expanding its use to challenging problems in the intraperitoneal cavity.

말기암환자의 여명 예측 요인, 혈중 렙틴 농도의 효과 (Prognostic Value of Leptin in Terminally Ill Cancer Patients)

  • 홍지현;이소진;곽상미;최윤선;이준영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15권2호
    • /
    • pp.99-107
    • /
    • 2012
  • 목적: 말기암환자의 여명 예측은 치료의 이득과 위해를 판단하는 잣대가 되고, 적절한 의료 중재 제공 및 환자의 자율성에 기초한 의사결정에 중요한 기준이 된다. 특히 많은 수의 말기암환자는 암성 식욕부진-악액질 증후군으로 사망에 이르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이를 반영할 수 있는 혈장 렙틴 농도와 생존기간과의 연관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2009년 7월부터 2010년 7월까지 13개월 동안, 만 20세 이상의 말기암환자 69명을 대상으로 혈장 렙틴 농도를 측정하고, 생존기간을 조사하였다. 나이, 성별, 원발암 부위, 암 치료 경력, 전이여부, 투약상황 및 활력증후, 백혈구 수, 혈색소, Aspartate aminotransferase (AST), Alanine aminotransferase (ALT), C-반응성 단백질, 총 빌리루빈, 총 콜레스테롤, 알부민, 렙틴 등의 혈액검사를 시행하였다. 결과: 혈장 렙틴 농도와 성별, 나이, 백혈구 수, 혈색소, AST, ALT, 총 빌리루빈, C-반응성 단백질, 통증강도 등의 상관 관계 분석 결과 렙틴과 생존기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 관계를 보였으며, 단변량 분석한 결과 혈장 렙틴 농도는 생존기간과 통계적으로 경계수준의 유의한 관계를 보였으나, 단변량 분석에서 생존 기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성별, 백혈구 수, AST, ALT, 총 빌리루빈, 알부민, C-반응성 단백질을 포함하여 시행한 다변량 분석에서 혈장 렙틴 농도는 생존기간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암성 식욕부진-악액질 증후군과 관련이 있는 혈장 렙틴 농도와 말기암환자의 생존기간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연관성을 보이지는 않았다. 그러나, 소화기계암환자에 있어서는 혈장 렙틴 농도가 생존기간 예측인자로서 쓰일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Ginsenoside Rg5 promotes muscle regeneration via p38MAPK and Akt/mTOR signaling

  • Ryuni Kim;Jee Won Kim;Hyerim Choi;Ji-Eun Oh;Tae Hyun Kim;Ga-Yeon Go;Sang-Jin Lee;Gyu-Un Bae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47권6호
    • /
    • pp.726-734
    • /
    • 2023
  • Background: Skeletal muscles play a key role in physical activity and energy metabolism. The loss of skeletal muscle mass can cause problems related to metabolism and physical activity. Studies are being conducted to prevent such diseases by increasing the mass and regeneration capacity of muscles. Ginsenoside Rg5 has been reported to exhibit a broad range of pharmacological activities. However, studies on the effects of Rg5 on muscle differentiation and growth are scarce. Method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Rg5 on myogenesis, C2C12 myoblasts were induced to differentiate with Rg5, followed by immunoblotting, immunostaining, and qRT-PCR for myogenic markers and promyogenic signaling (p38MAPK). Immunoprecipitation confirmed that Rg5 increased the interaction between MyoD and E2A via p38MAPK.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Rg5 on prevention of muscle mass loss, C2C12 myotubes were treated with dexamethasone to induce muscle atrophy. Immunoblotting, immunostaining, and qRT-PCR were performed for myogenic markers, Akt/mTOR signaling for protein synthesis, and atrophy-related genes (Atrogin-1 and MuRF1). Results: Rg5 promoted C2C12 myoblast differentiation through phosphorylation of p38MAPK and MyoD/E2A heterodimerization. Furthermore, Rg5 stimulated C2C12 myotube hypertrophy via phosphorylation of Akt/mTOR. Phosphorylation of Akt induces FoxO3a phosphorylation, which reduces the expression of Atrogin-1 and MuRF1. Conclusion: This study provides an understanding of how Rg5 promotes myogenesis and hypertrophy and prevents dexamethasone-induced muscle atrophy. The study is the first, to the best of our knowledge, to show that Rg5 promotes muscle regeneration and to suggest that Rg5 can be used for therapeutic intervention of muscle weakness and atrophy, including cancer cachexia.

폐암 환자의 안정시 에너지 소비 (Resting Energy Expenditure in Patients with Lung Cancer)

  • 이재련;김기범;이학준;정진홍;이관호;이현우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4권5호
    • /
    • pp.1019-1029
    • /
    • 1997
  • 연구배경 : 폐암 환자에서 체중감소와 영양결핍은 흔히 동반되며 체중감소가 있는 폐암 환자는 체중감소가 없는 환자보다 항암제 치료에 대한 반응이 좋지 않으며 예후도 나쁘다. 폐암환자에서의 체중감소는 안정시 에너지 소비(resting energy expenditure : REE)와 관계가 있다. 저자들은 폐암 환자에서 안정시 에너지 소비자 증가된 빈도를 알아보고 안정시 에너지 소비에 영향을 주는 인자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처음 진단된 31명의 폐암 환자를 대상을 안정시 에너지 소비를 측정하여 대조군과 비교하였다. 안정시 에너지 소비량은 ventilated hood system을 사용하여 간접 칼로리측정법(indirect calorimetry)으로 측정하였다. 안정시 에너지 소비량은 칼로리측정기로 측정한 산소 소모량과 이산화탄소 생성량을 이용하여 Weir공식으로 계산하였으며 안정시 에너지 소비량의 예측치는 Harris-Benedict공식으로 구하여 비교하였다. 결 과 : 안정시 에너지 소비량은 폐암 환자와 대조군에서 각각 $1415.5{\pm}237.0$(Kcal/day), $1253.6{\pm}174.6$(Kcal/day)로 폐암 환자에서 유의하게 더 높았으며 REE 백분율도 각각 $116.8{\pm}15.8$(%), $100.7{\pm}13.8$(%)로 폐암 환자에서 유의하게 더 높았다. REE백분율은 흡연, 주 증상의 기간, 폐기능 장애 정도, 무기폐유무, 폐암의 위치 등에 의한 차이는 없었으나 원격전이 유무에 따라서는 원격전이가 있었던 군과 없었던 군에서 각각 $127.0{\pm}17.3$(%), $113.8{\pm}11.6$(%)로 원격전이가 있었던 군에서 유의하게 더 높았다. 폐암 환자중에서 과대사 상태와 정상대사 상태사이에 흡연, 주 증상의 기간, 원발암의 용적, 원발암의 기관지 내시경상의 위치, 무기폐나 기관폐색의 유무, 폐암의 병기, 원격적인 유무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결 론 : 폐암 환자에서 안정시 에너지 소비가 비교적 높은 빈도로 증가되어 있었으며 증가된 안정시 에너지 소비는 폐암의 원격천이 유무와 관계가 있었다.

  • PDF

자궁 경부암 처지 (Analysis of Radiotherapy Associated Factors in Stage IIb Carcinoma of Uterine Cervix)

  • 문창우;정태식;염하영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8권2호
    • /
    • pp.241-253
    • /
    • 1990
  • 1980.6.부터 1985.12.까지 고신의료원 치료방사선과에서 방사선 단독 치료한 병기 IIb 자궁경부암 환자 331명에 대하여 후향적으로 생존율 치료 실패 및 합병증 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방사선 치료요소들을 분석조사 하였다. 5년 생존율과 무병생존율은 각각 $82.8{\%}$$82.4{\%}$였다. 방사선 치료 6주 경과에 분석한 골반내 관해율은 전골반 외부 조사후 강내조사한 예에서는 $98.6{\%}$였고 축소조사한 추가 치료한 예에서는 $71.6{\%}$였다. 전골반 방사선 조사후 완전관해를 보였던 예에서의 5년 생존율은 $98.9{\%}$였지만 국소치료실패 및 원격전이한 예에서는 $12.9{\%}$였다. Point A에 $7500{\~}8500$ cGy를 조사한 예에서는 $88.5{\%}$의 5년 생존율을 보였고 합병증은 $4.9{\%}$였지만 그 이상의 조사량에서는 생존율은 증가한지 않았고 합병증만 증가하였다. $18.7{\%}$(62예)에서 치료실패를 보였는데, 이중국소치료실패가 $72.6{\%}$(45예), 국소 및 골반임파 치료실패가 $3.2{\%}$(2예)였으며 원격전이 실패는 $24{\%}$(15)였다. 합병증은 $15.1{\%}$(50예)였는데 이중 $42{\%}$가 직장 출혈 및 협착이였다. Point A의 조사량은 8500 cGy가 합병증 유발의한계 조사량 이였으며 합병증의 $70{\%}$가 그 이상의 조사양에서 발생하였다. 직장 합병증은 6500 cGy이상에서 발생하였고 방광합병증은 7500 cGy이상에서 발생하였다. 사망의 원인으로는 국소치료실패로 인한 전신쇠약이 대다수였으며 전체 사망원인으로는 국소치료 실패로 인한 전신쇠약이 대다수였으며 전체 사망원인의 $73.7{\%}$였고 그외 폐, 간, 뼈 전이순이였으며 방사선합병증으로 인한 사망은 3예에 지나지 않았다. 상기와 같은 결과에 대한 결론으로 크기가 아주 큰 종양이나 Barrel형태의 종양의 방사선 치료에는 지금 많이 사용되고 있는 4000 cGy이상의 외부 조사량이 강내조사전에 골반관해를 성취하기 위해 필요한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만성 폐쇄성 폐질환에서 급성 호흡부전 발생시 Simplifed Acute Physiology Score에 따른 단기예후의 평가 (Determination of Short Term Prognosis Among Chronic Obstructive Lung Disease with Acute Respiratory Failure According to Simplified Acute Physiology Score)

  • 이상표;성윤업;김상훈;김봉식;김영훈;박인원;최병휘;허성호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0권5호
    • /
    • pp.532-539
    • /
    • 1993
  • 임상에서 환자의 생존율을 평가하는 것은 순간순간 당면하는 치료를 결정함에 있어 중요하다. 특히 만성 폐쇄성 폐질환에서 급성 호흡부전증은 대부분의 환자들이 궁극적으로 겪게 되는 질병의 경과로 여겨지고 있고 이들을 치료하는 과정에서 질병 자체의 비가역적인 특성과 기계호흡 자체의 부작용으로 인하여 중환자실에서 인공호흡기의 부착여부에 대한 논란이 계속되고 있으나, 아직 이에 대한 뚜렷한 기준이 없는 상태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입원 첫 24시간이내에 측정가능한 14개의 임상지표를 이용하여(Simplified Acute Physiology Score, 이하 SAPS) 환자의 중증도와 사망률을 예측해 보는 것이었다. 대상환자는 1980년부터 1992년까지 중앙대학 부속병원에서 입원치료를 받은 74명의 만성 폐쇄성 폐질환에 동반된 급성 호흡부전증 환자들에 대한 후향성 연구로 시행하였고,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사망율은 34%(25/74), 생존율은 66%(49/74)였으며, 나이가 많을수록 유의하게 사망율이 높았다. 2) 기저 폐기능 검사치에 따른 사망율의 차이는 없었다. 3) SAPS는사망군에서 10.8, 생존군에서 6.5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SAPS와 사망율 사이에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4) SAPS에 포함되는 14개의 임상지표 이외에 입원당시 악액질, 뇌병증, 혈중 Phosphate와 Creatinine 농도에 따라 유의한 사망율의 차이가 있었다. 결론적으로, SAPS는 만성 폐쇄성 폐질환에 동반된 급성 호흡부전증 환자의 예후와 중증도 평가에 유용하며, 이러한 환자군에서 SAPS에 포함되는 14개의 임상지표 이외에도 혈중 Creatinine 농도, 혈중 Phosphate 농도, 입원 당시 악액질유무, 뇌병변에 의한 신경학적 증상의 유무가 예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고 사료되며, 적극적인 치료와 인공호흡기 치료의 결정에서 SAPS의 사용이 타당하리라 여겨지나, 향후 대단위 전향적 연구가 필요하리라 여겨진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