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_{16}$(Palmitic acid)

검색결과 250건 처리시간 0.026초

Chemical Composition of Mongolian Sea-buckthorn (Hippophae rhamnoides L.) Fruits

  • Buya, Bujinlkham;Zheng, Hu-Zhe;Chung, Shin-Kyo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제30권1호
    • /
    • pp.35-39
    • /
    • 2012
  • Sea-buckthorn fruits (Hippophae rhamnoides L.) are used in Mongolia as traditional medicine due to the health-benefits associated with its bioactive compon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emical composition of Mongolian sea-buckthorn fruits. In terms of proximate composition, crude fat content was the highest, whereas its crude ash content was the lowest. In organic acid contents, malic acid content ($6.30{\pm}0.005$ mg/g) was the highest. Free sugars were composed of sucrose, xylose, glucose and mannitol. Vitamin C and carotenoid content were 320 mg/100 g and 715.25 mg/100 g, respectively. The major fatty acids were palmitic (C16:0), palmitoleic (C16:1), caprylic (C8:0) and linoleic (C18:2) acid.

  • PDF

A Kinetic Study of Fatty Acid Composition of Embryos, Oviductal and Uterine Fluids in the Rabbit

  • Yahia Khandoker, M.A.M.;Tsujii, H.;Karasawa, D.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1권1호
    • /
    • pp.60-64
    • /
    • 1998
  • The different developmental stage embryos and oviductal and uterine fluids of rabbit were analyzed by gas chromatography. Myristic (C 14:0), palmitic (C 16:0), palmitoleic (C 16:1), stearic (C 18:0), oleic (C 18:1), linoleic (C 18:2), linolenic (C 18:3), arachidic (C 20:0), arachidonic (C 20:4), docosahexaenoic (C 22:6) and lignoceric (C 24:0) acids were the common fatty acid constituents with little exception. In most of the samples palmitic, oleic, linoleic and arachidonic acids were observed in high concentration. Moreover, linoleic, linolenic and arachidonic acids were the three poly-unsaturated fatty acids in both type sample except day-1 oviductal fluids. Similarly, in both day-1 and day-2 oviductal and uterine fluids myristic, palmitoleic, stearic, linolenic, arachidic and docosahexaenoic acids were in less composition or undetected.

계절 변화에 따른 Fucus serratus ( 갈조식물 ) 에서의 Triacylglycerol 지방산의 다양성 (Diverse Fatty Acids of Triacylglyrerols in Fucus serratus(Phaeophyta) Caused by Seasonal changes)

  • Kim, Mi-Kyung;Jean Paul Dubacq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19권1호
    • /
    • pp.21-29
    • /
    • 1996
  • Variation in triacylglycerols(TGs) and fatty acids in Fucus serratus was analyzed for a period of one year. TGs were more concentrated during the summer(2.8mg/g dw)and autumn(2.6mg/g dw) than during the spring (0,7mg/g dw)and winter (0.5mg/g dw). The dominant fatty acides in total liqid were palmitic acid ($C_{16:0}$, 24.1%), oleic acid (($C_{18:1}$, 22.4%) and arachidonic acid (($C_{20:4}$, 14.4%) but the dominant ones in TG were $C_{16:0}$(22.8%), $C_{18:1}$(36.4%) and $C_{18:2}$(linoleic acid, 16.4%). The levels of $C_16$ fatty acids were high in winter while $C_18$ in summer and autumn. The polyunsaturated fatty acids (UFAs) were more abundant in the $C_20$ series, while the UFAs of the $C_16$ were low. Especially, the amount of arachidonic acid ($C_{20:4}$, 14.4% of total fatty acids (TFA) was more abundant than that of eicosapentaenoic acid ($C_{20:5}$, 10.4% of TFA). The amount of $C_{20:4}$ and $C_{20:5}$,in TG was 9.2% and 4.8%, respectively. These UFAs in total lipid were thus higher than TG. Therefore, the synthesis of TG and fatty acid was stimulated by the alternation of emersion and submersion of thalli from sea water and eco-physiological conditions during summer: high temperature and light, and low concentration of nitrogen.

  • PDF

영유아용 조제분유의 위치별 지방산 및 Triacylglycerols의 정성 분석 (Determination of Positional Fatty Acid and Triacylglycerol Compositions of Selected Infant Formulas)

  • 손정매;이정희;홍순택;이경수;박혜경;권광일;이기택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0권9호
    • /
    • pp.1256-1264
    • /
    • 2011
  • 시중에 유통되고 있는 조제분유의 지방산 및 TAG 조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국내외 조제분유 총 11 품목을 선정하였고, Folch법을 이용하여 지방을 추출한 다음 총 지방산과 sn-2 위치의 지방산 및 silver ion HPLC를 이용한 단일불포화-포화-단일불포화 glycerol(MSM)의 조성을 분석하였다. 조제분유의 조지방의 함량은 17.21~23.51%이었고, 특히 K5의 조지방 함량이 23.51%로써 분석된 조제분유들 중에서 가장 높게 나왔으나, K1은 17.21%의 함량을 보이면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분석된 조제분유들의 주요 포화지방산은 lauric acid(C12:0), myristic acid(C14:0), palmitic acid(C16:0), stearic acid(C18:0)이었다. Lauric acid의 함량은 K5와 K6에서 19.49%와 23.34%로 분석되어 15%보다 높은 함량을 나타냈다. 한편, 분석된 조제분유의 palmitic acid의 함량은 7.59~21.65%의 범위로써 K2, K3, K6, F1에서 각각 14.64%, 8.29%, 13.47% 및 7.59%로써 낮은 함량을 나타냈다. 불포화 지방산들 중에서 단일불포화지방산(C14:1, myristoleic acid; C16:1, palmitoleic acid; C17:1, heptadecenoic acid; C18:1, oleic acid; C18:1t, elaidic acid)의 함량은 20.23~45.07%로 나타났고, 단일불포화지방산들 중에서 대부분을 구성하고 있는 지방산은 oleic acid(C18:1)이었다. 분석된 조제분유에서 oleic acid의 함량은 19.64~44.64%의 범위였고 총 다가불포화지방산은 19.08~29.67%의 범위였다. Omega-6 다가불포화지방산과 omega-3 다가불포화지방산의 주요한 지방산은 필수지방산인 linoleic acid(C18:2)와 linolenic acid(C18:3, n-3)로 분석된 조제분유의 비율은 10:1~13:1로, 조제분유의 지방산 조성에 대한 지표인 linoleic acid/linolenic acid의 비율인 5:1~15:1 범위 내였다. 분석한 조제분유들 중에서 sn-2 위치에서의 lauric acid 함량은 7.70~52.09%로 나타났고, myristic acid의 함량은 3.15~20.89%로써 분석된 조제분유들은 전반적으로 sn-2 위치에서의 lauric acid 함량이 20% 이상으로 높게 나타났다. 특히, 분석된 조제분유들의 sn-2 위치에 존재하는 palmitic acid의 함량은 1.84~38.74%의 범위로써 K8과 F3이 각각 38.55%와 38.90%의 높은 함량을 나타냈다. 따라서 대부분의 국내외 조제분유들을 구성하는 triacylglycerol(TAG)의 sn-2 위치에서의 palmitic acid 함량이 모유와 비교하였을 때 낮은 경향을 보임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조제분유보다 더 나아가 HPLC 분석을 통해서 모유의 주요 TAG 형태라고 할 수 있는 단일불포화-포화-단일불포화 glycerol(MSM)의 함량이 외국의 조제분유인 F3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조제분유에 이러한 MSM 형태의 지방 함량을 높여야하며, MSM 형태의 모유대체지 연구를 산업화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월하시 생감 및 곶감의 이화학적 성분 분석 (Physicochemical Compositions of Raw and Dried Wolha Persimmons)

  • 임지순;이명희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4권6호
    • /
    • pp.611-616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양촌 월하시 생감 및 곶감의 유용성분 및 이화학적 특성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월하시 생감과 곶감의 수분함량은 85.52, 47.36%, 조지방은 0.1, 0.13%, 조단백질은 0.30, 1.89%, 조섬유는 0.56, 2.0%를 각각 나타내었고, 수분활성도는 0.994, 0.838, pH는 5.68, 5.73, 당도는 12.6, $56.4^{\circ}Brix$를 각각 나타냈다. 색차계를 이용하여 측정한 생감과 곶감의 명도 L값은 외부가 47.58, 37.80, 내부는 66.55, 24.96을 각각 나타내었고, 황색도 b값은 외부가 73.40, 20.17, 내부는 26.55, 29.66을 각각 나타냈다. 유리당 함량을 HPLC로 측정한 결과 glucose와 fructose 만이 확인 되었다. 곶감에서 함유량이 월등히 높아 glucose는 생감보다 3.24배, fructose는 3.67배로 확인되었다. 아미노산을 분석한 결과 곶감에서 모두 17종이 확인되었다. 구성아미노산 중 전반적으로 glutamic acid, aspartic acid, histidine, arginine의 함량이 높게 나타났으며 valine, threonine, leucine, lysine, phenylalanine 등의 필수아미노산들이 골고루 검출되었다. 생감과 곶감의 총아미노산 함량은 각각 3,130.76 ppm과 12,849.33 ppm으로 곶감이 생감보다 4.1배나 높았다. 지방산 조성을 분석한 결과 myristic acid(C14:0), palmitic acid(C16:0), palmitoleic acid(C16:1), stearic acid(C18:0), oleic acid(C18:1), linolenic acid(C18:3) 등 14-15종이 확인되었으며, 이중 linolenic acid(C18:3)가 생감에 32.70%로, palmitic acid(C16:0)가 곶감에는 48.62%로 각각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었다. 무기성분을 AAS로 분석한 결과는 생감과 곶감의 나트륨은 0.60, 2.77 mg, 칼륨 190.49, 859.63 mg, 칼슘 11.73, 16.20 mg, 철 1.17, 3.17 mg, 그리고 인이 52.52, 84.90 mg/100 g 각각 검출되었다. 특히 무기물 중 칼륨과 인이 상당히 높은 함량 검출되었으며 곶감에서 그 함유량이 월등히 높아 칼륨은 생감보다 4.5배, 인은 1.6배로 확인되었다.

전자선 조사한 아몬드(Prunus amygosalus L.)와 땅콩(Arachis hypogaea)에서 유래한 지방분해산물 분석 (Detection of Hydrocarbons Induced by Electron Beam Irradiation of Almond (Prunus amygosalus L.) and Peanut (Arachis hypogaea))

  • 정인선;김재성;황인민;최성화;최지연;노은영;나임 칸;김병숙;김경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5권1호
    • /
    • pp.20-24
    • /
    • 2013
  • 아몬드와 땅콩의 비조사 시료와 1, 3, 5, 10 kGy로 전자선을 조사한 시료에서 유도된 hydrocarbon류의 생성량을 분석하기 위하여 지방을 n-hexane으로 추출하여 florisil column으로 분리 및 GC/MS로 분석하였다. 전자선 조사된 아몬드와 땅콩에서 유래한 hydrocarbon류는 oleic acid에서 1,7-hexadecadiene($C_{16:2}$)과 8-heptadecene($C_{17:1}$), linoleic acid에서 1,7,10-hexadecatriene($C_{16:3}$)과 6,9-heptadecadiene($C_{17:2}$), 그리고 palmitic acid에서 1-tetradecene($C_{14:1}$) 및 pentadecane($C_{15:0}$) 생성되었고, oleic acid와 palmitic acid에서는 $C_{n-2}$, linoleic acid에서는 $C_{n-1}$ 화합물이 보다 더 높게 생성되었다. 전자선을 1, 3, 5, 10 kGy의 선량별로 조사한 시료에서 생성된 hydrocarbon류의 함량은 조사선량에 따라 증가하였고 비조사 시료에서는 확인되지 않았다. 특히, oleic acid와 linoleic acid에서 유래한 1,7-hexadecadiene($C_{16:2}$), 8-heptadecene($C_{17:1}$)과 1,7,10-hexadecatriene($C_{16:3}$) 및 6,9-heptadecadiene($C_{17:2}$)의 경우 아몬드와 땅콩 모두에서 다른 hydrocarbon류에 비해 전자선 조사에 의한 생성량이 높게 나타난바 전자선 조사유무 판별 marker로 사용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Characterization of Fatty Acids Extracted from Brachionus rotundiformis Using Lipase-catalyzed Hydrolysis

  • Lee, Jung-Kwon;Kim, Se-Kwon;Byun, Hee-Guk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12권1호
    • /
    • pp.16-23
    • /
    • 2009
  • Lipids were extracted from marine rotifer, Brachionus rotundiformis in order to examine the functionality of lipid enzymatic modification. The fatty acids, palmitic, linoleic, oleic and stearic acids were the dominant forms accounting for approximately 35.8%, 21.5%, 15.9% and 7.7% of the total lipid content, respectively. Lipid fractions were categorized as neutral lipids (38.5%), glycolipids (45.9%) and phospholipids (17.6%), and after extraction from the rotifer were isolated by thin-layer chromatography (TLC) as free fatty acids (FFA), monoacylglycerol (MAG), diacylglycerol (DAG) and triacylglycerol (TAG). The production of polyunsaturated fatty acid (PUFA) concentrate from rotifer lipids was studied using lipase-catalyzed hydrolysis. In addition, rotifer lipids were modified by hydrolysis using lipases such as porcine pancreas, Candida rugosa and Rhizomucor miehei. The lipase from Rhizomucor miehei was effective in extracting linoleic acid (C 18:2), while the lipase from Candida rugosa was effective in palmitic acid (C16:0) extraction.

채유방법(採油方法)이 참기름의 분획별지질(分劃別脂質) 및 지방산(脂肪酸) 조성(組成)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 of Oil Extraction Methods on Fractionation Pattern and Fatty Acid Composition of the Each Fraction of Sesame Oil)

  • 최상도;양민석;조무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259-262
    • /
    • 1984
  • 1) 분획별(分劃別) 지질중(脂質中) triglyceride가 $73.4{\sim}77.2%$로 가장 높았고 채유방법별(採油方法別)로는 RWE의 triglyceride가 RTP와 RTE보다 높았다. 2) glycolipid(GL)의 oleic acid와 linoleic acid, tryglyceride(TG)의 linoleic acid, free fatty acid(FFA)의 oleic acid와 linoleic acid, phospholipid(PL)의 palmitic acid와 stearic acid는 RTP와 RTE가 RWE보다 높았으나 TG의 oleic acid, FFA의 palmitic acid와 stearic acid, PL의 oleic acid와 linoleic acid는 그 반대(反對)로 RTP와 RTE가 RWE보다 낮았다. 3) glycolipid 및 phospholipid의 $C_{18}/C_{16}$ 지방산비(脂肪酸比)와 불포화도비(不飽和度比)는 RTP와 RTE가 RWE보다 높았으나 triglyceride 및 free fatty acid의 그것은 반대(反對)로 RTP와 RTE가 RWE보다 낮다.

  • PDF

백복령(白茯笭), White Poria cocos, 중(中)의 지방산(脂肪酸) 성분(成分)에 관한 연구(硏究) (Studies on the Fatty acids in the White Poria cocos)

  • 문순구;박상신;민태진
    • 한국균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9-13
    • /
    • 1987
  • 한국산 백복령을 chloroform-methanol(2 : 1, v/v) 혼합용매로 추출한 다음, 비누화 및 메델에스테르화 한 후 gas chromatography에 의하여 얻은 총24개의 Peak 중, caprylic acid($C_{8:0}$), undecanoic acld($C_{11:0}$) lauric acid($C_{12:0}$) , dodecenoic acid($C_{12:1}$) 및 Palmitic acid($C_{16:0}$)의 5 개 성분을 확인하였으며, 그중 주성분인 $C_{8:0}$$C_{12:1}$은, 시료 g당 $6.657{\mu}g$$10.176{\mu}g$ 이었다.

  • PDF

Lipase 효소촉매에 의한 대두유의 가수분해 (The Hydrolysis of Soybean Oil by Lipase Enzyme Catalyst)

  • 이정태;김의용
    • KSBB Journal
    • /
    • 제23권6호
    • /
    • pp.509-512
    • /
    • 2008
  • 원료물질인 대두유를 산가수분해하여 지방산의 함량을 분석한 결과 linoleic acid, oleic acid, palmitic acid, stearic acid의 함량순으로 분석되었다. 동일한 조건하에 대두유의 가수분해반응 전화율을 조사한 결과 Candida rugosa와 Candida cylindracea 에서 유래된 효소인 CR-E와 CC-E가 Lipase 16, Novozyme 871과 Lipolase-100 L보다 2배이상 높았다. 따라서 CR-E와 CC-E를 선정하여 반응조건에 대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CR-E와 CC-E의 경우 비슷한 결과를 보여, pH $3{\sim}6$, $35-45^{\circ}C$, 물과 대두유의 중량비가 3.3 이상이었을 때가 최적인 반응조건이었으며 95% 이상의 높은 전화율을 나타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