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_{16}$(Palmitic acid)

검색결과 252건 처리시간 0.027초

Cellular growth and fatty acid content of Arctic chlamydomonadalean

  • Jung, Woongsic;Kim, Eun Jae;Lim, Suyoun;Sim, Hyunji;Han, Se Jong;Kim, Sanghee;Kang, Sung-Ho;Choi, Han-Gu
    • ALGAE
    • /
    • 제31권1호
    • /
    • pp.61-72
    • /
    • 2016
  • Arctic microalgae thrive and support primary production in extremely cold environment. Three Arctic green microalgal strains collected from freshwater near Dasan Station in Ny-Alesund, Svalbard, Arctic, were analyzed to evaluate the optimal growth conditions and contents of fatty acids. The optimal growth temperature for KNF0022, KNF0024, and KNF0032 was between 4 and 8℃. Among the three microalgal strains, KNF0032 showed the maximal cell number of 1.6 × 107 cells mL-1 at 4℃. The contents of fatty acids in microalgae biomass of KNF0022, KNF0024, and KNF0032 cultured for 75 days were 37.34, 73.25, and 144.35 mg g-1 dry cell weight, respectively. The common fatty acid methyl esters (FAMEs) analyzed from Arctic green microalgae consisted of palmitic acid methyl ester (C16:0), 5,8,11-heptadecatrienoic acid methyl ester (C17:3), oleic acid methyl ester (C18:1), linoleic acid methyl ester (C18:2), and α-linolenic acid methyl ester (C18:3). KNF0022 had high levels of heptadecanoic acid methyl ester (26.58%) and heptadecatrienoic acid methyl ester (22.17% of the total FAMEs). In KNF0024 and KNF0032, more than 72.09% of the total FAMEs consisted of mono- and polyunsaturated fatty acids. Oleic acid methyl ester from KNF0032 was detected at a high level of 20.13% of the FAMEs. Arctic freshwater microalgae are able to increase the levels of polyunsaturated fatty acids under a wide range of growth temperatures and can also be used to produce valuable industrial materials.

곤충병원성 선충과 공생박테리아의 지방산 함량 분석

  • 박선호;김효현;김지연
    • 한국생물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공학회 2001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910-913
    • /
    • 2001
  •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분리된 곤충병원성 선충인 Steinernema carpocapsae종과 공생박테리아인 Xenorhabdus nematophilus종의 지방산을 분석하여 비교하였다. In vitro에서 수확된 곤충병원성 선충은 탄소 18개를 함유한 지방산이 가장 많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in vivo에서 수확된 곤충병원성 선충도 탄소 18개를 함유한 지방산이 가장 많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하지만 그 다음으로 많은 지방산 성분이 in vitro에서 수확된 선충의 경우 탄소가 19개인데 비해 in vivo에서는 16개의 탄소를 가진 지방산인 것으로 나타나 차이점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공생박테리아인 경우는 탄소의 수가 16개인 지방산이 가장 많이 함유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선택적 수소첨가 면실유의 이화학적 특성변화 및 트란스산 생성 (Changes in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Trans Acid of Cottonseed Oil during Selective Hydrogenation)

  • 김현위;김종수;심중환;박성준;안태회;박기문;최춘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2권6호
    • /
    • pp.681-685
    • /
    • 1990
  • 반응온도 $210^{\circ}C$, 수소압력 $0.3\;kg/cm^2$, 니켈촉매량 0.12%, 교반속도 280 rpm의 선택적 수소첨가조건에서 반응이 진행됨에 따른 면실유의 지방산 조성, 트란스산 및 이화학적인 특성의 변화를 연구하였다. 지방산 조성에 있어서는 팔미트산(16 : 0), 스테아르산(18 : 0)같은 포화지방산은 거의 변함이 없었고, 리놀레산(18 : 2), ($50.03%{\rightarrow}9.38%$)이 올레산(18 : 1) ($20.65%{\rightarrow}60.35%$)으로 전환되었으며, 특히 리놀레산 이성체 변화에서는 ct, tc, tt형의 변화보다는 cc형의 변화가 현저하였고, 올레산 이성체 변화에서는 t형 생성량은 현저하게 증가한데 비해 c형의 변화는 거의 없었다. 반면, 수소첨가됨에 따라 녹는점 및 고체지함량은 직선적으로 증가하였고 요드값은 직선적으로 감소하였다. 이들의 결과로부터 다음과 같은 직선회귀식을 구하였다. 녹는점과 요드값 : Y=1.59-2.36X(r=0.96, p<0.05), 고체지함량($at\;20^{\circ}C$)과 녹는점 : Y=2.81+2.01X(r=0.96, p<0.05), 고체지함량($at\;20^{\circ}C$)과 요드값 : Y=9.40-5.16X(r=-0.99, p<0.01), 고체지함량($at\;20^{\circ}C$)과 18 : 1 t : Y=6.25+8.48X(r=0.97, p<0.05).

  • PDF

재배방법이 다른 미나리의 성분 특성 (Chemical properties of Watercress(Oenanthe javanica D.C.) Depend upon Cultivating Methods)

  • 이홍렬;유맹자;정희종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235-242
    • /
    • 2001
  • Chemical properties of the different parts of watercress(Oenanthe javanica D.C.) grown and harvested from the culture fields under different cultivating methods were studied. In proximate analyses of watercress in parts, moisture contained more in stem than in root or in leaf, but crude protein and crude lipid contents were lower in stem than in root or in leaf. Crude ash in root contained up to about double amount in leaf or stem. Major mineral elements detected in watercress were Fe, Mg, Ca, and K, and their contents in root was higher than those in stem or leaf. Especially, Fe in root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in stem or in leaf. Total free sugar composed mainly with fructose and glucose, was the highest in watercress from Hwasoon and followed the watercress from Jeonju and Donggok in order. Free sugar content was highest in leaf and the lowest in root. Major water-soluble vitamins were vitamin C, thiamin and biotin and the content of vitamin C was higher than others. These vitamins contained more in leaf than in stem or root. Niacin contained 6.09 mg/100 g in leaf of watercress from Hwasoon, which was much higher than others, but it was not detected in stem of watercress from Jeonju. Organic acids detected were oxalic acid, citric acid and malic acid and other 12 organic acids were not detected. In fatty acid composition,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watercresses from different parts and different culture fields. Linoleic acid, linolenic acid and palmitic acid were major fatty acids contained in watercress and it took about 80% of the total content. Amino acid content in leaf was higher than that in root and in stem. Glutamic acid and proline were major amino acids in stem of watercress from Jeonju and in stem of watercresses from Hwasoon and Donggok, respectively. In leaves of all three watercresses glutamic acid content was the highest.

  • PDF

철갑상어의 영양성분 분석 및 중간수분식품 개발 (Analysis of Nutritional Components and Development of an Intermediate Moisture Food from Sturgeon)

  • 진수일;김영국;강성원;정창호;최수정;김재겸;최성길;허호진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5권5호
    • /
    • pp.719-724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양식어종으로 매우 부가가치가 높은 철갑상어의 영양성분 분석과 중간수분식품 개발을 위해 건조시 온도와 당 및 염 침지 조건에 따른 품질특성을 조사하였다. 철갑상어의 일반성분은 수분 73.2%, 단백질 19.9%, 지방 5.7%, 회분 1.1% 및 가용성 무질소물 0.1%였으며, 주요 무기성분으로는 K, P 및 Mg 으로 그 함량은 각각 317.70 mg/100 g, 259.88 mg/100 g 및 29.78 mg/100 g 순이었다. 주요 지방산으로는 oleic acid, palmitic acid 및 linoleic acid 였으며, 아미노산으로는 glutamic acid가 1,189.71 mg/100 g으로 가장 많았고, serine이 55.12 mg/100 g으로 가장 적은 함량을 보였다. 0, 0.5, 1, 2 및 3% 설탕 및 소금용액에 침지한 후 $40^{\circ}C$에서 건조한 철갑상어의 수분함량과 수분활성도를 측정한 결과 각각 $15.12{\sim}16.24%$$0.68{\sim}0.79$였다. 설탕 및 소금 첨가 농도를 달리하여 제조한 철갑상어 중간수분 식품의 관능검사를 실시한 결과 설탕과 소금의 농도를 3% 첨가한 시료에서 가장 높은 기호도를 보였다. 이와 같이 다량의 영양성분을 함유한 철갑상어를 이용하여 쥐치포, 꽁치포 및 육포와 같은 중간수분식품을 개발함으로써 연중 소비자가 쉽게 이용할 수 있는 장점을 부여하는 동시에 철갑상어를 이용한 타 가공품 개발에도 매우 큰 기여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사육밀도에 따른 토종오리 고기의 육질 특성 (Meat Quality Characteristics of Korean Native Ducks according to Stocking Density)

  • 홍의철;강보석;강환구;전진주;김현수;손지선;김찬호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47권2호
    • /
    • pp.61-68
    • /
    • 2020
  • 본 연구는 사육밀도에 따른 토종오리고기의 육질 특성을 비교 분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사육밀도를 4, 5, 6, 7, 8 및 9수/㎡로 나누어 총 6처리구, 4반복으로 구성하였으며, 8주령 토종 실용오리(2.8±0.2 kg)의 가슴육(pH, 육색, 이화학적 성상 분석)과 다리육(지방산 함량 분석)을 이용하였다. pH는 사육밀도가 높아짐에 따라 선형 및 2차 함수 형태로 감소하였다(P<0.05). 토종오리고기의 수분, 지방, 단백질 함량은 처리구 간에 유의차가 없었다. 회분의 함량은 사육밀도가 높아짐에 따라 선형으로 감소하였다(P<0.05). 육색(CIE L*, CIE a* 및 CIE b*)과 가열감량은 사육밀도가 높아짐에 따라 선형으로 증가하였다(P<0.05). 전단력과 보수력은 처리구간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Palmitic acid(C16:0)와 stearic acid(C18:0) 함량은 사육밀도가 높아짐에 따라 2차 함수 형태로 감소하였다(P<0.05). Linoleic acid(C18:1n9)와 eicosenoic acid(C20:1n9) 함량은 사육밀도가 높아지면서 선형으로 증가하였다(P<0.05). γ-Linoleic acid(C18:3n6) 함량은 사육밀도가 높아짐에 따라 선형 및 2차 함수 형태로 증가하였으나(P<0.05), arachidonic acid(C20:4n6) 함량은 감소하였다(P<0.05). SFA와 TUFA는 처리구 사이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사육밀도가 높아짐에 따라 MUFA는 선형으로 증가하였으며(P<0.05), PUFA는 선형으로 감소하였다(P<0.05). 본 연구의 결과들은 사육밀도가 토종오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Evaluation of Fatty Acid Composition in Korean Native Chicken Breast Meat

  • Jean Pierre Munyaneza;Eunjin Cho;Minjun Kim;Aera Jang;Hyo Jun Choo;Jun Heon Lee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51권1호
    • /
    • pp.21-26
    • /
    • 2024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composition of the fatty acids in the breast meat of Red-brown Korean native chickens (KNC-R). This study used a total sample of three hundred eighty-two KNC-R (males: 190, females: 192). We used the fatty acid methyl ester (FAME) method to extract the fatty acids. A 2-way ANOVA of the R program was used to assess the effects of batch and sex on each fatty acid trait. Analysis of the fatty acid in the sampled population showed that the predominant fatty acid was oleic acid (C18:1; 28.252%) which is monounsaturated fatty acid (MUFA), followed by palmitic acid (C16:0; 20.895%), saturated fatty acid (SFA), and two omega-6 polyunsaturated fatty acid (PUFAs): linoleic (C18:2; 15.975%), and arachidonic (C20:4; 10.541%). Indices used to evaluate the nutritional quality of fat in the diet: ratio between PUFAs and SFAs (P/S), thrombogenicity index (TI), and atherogenicity index (AI) were calculated and were 0.959, 0.814, and 0.355, respectively. Currently, meat consumers need healthier fatty acids. Therefore, information on the content of fatty acid in chicken meat is very important for meat consumers in choosing the type of the meat to be consumed.

갈치육(肉)의 일광건조중(日光乾燥中) 지질(脂質)의 화학적(化學的) 변화(變化)에 관(關)한 연구(硏究) (The Changes in the Chemical Composition of Lipid in Hair-tail Muscle on Sun-Drying)

  • 남궁석;이영자;안명수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13권1호
    • /
    • pp.65-69
    • /
    • 1980
  • 갈치를 직사광선(直射光線)에 건조(乾燥)시켰을 때의 산가(酸價), 과산화물가(過酸化物價), TBA 가(價) 및 지방산조성(脂肪酸組成)의 변화(變化)를 관찰한 바 아래와 같다. 1) 신선한 갈치의 지질함량(脂質含量)은 9.91%였으며 그중 포화지방산(包和脂肪酸)이 43.3%, 불포화지방산(不包和脂肪酸)이 56.7%로 산가(酸價), 과산화가(過酸化價) 및 TBA 가(價)는 4주일째까지 완만한 증가(增加)를 보였으며 5주일째는 다소 급진(急進)하는 경향(傾向)을 나타내었다. 2) 신선(新鮮)한 갈치 육지질(肉脂質)의 지방간조성(脂肪酸組成) GLC 법(法)으로 분석(分析)한 결과 oleic acid(44.3%)가 대부분이고 palmitic acid(29.22%), palmitoleic acid(11.3%), myristic acid(6.6%), stearic acid(5.4%), $C_{17},C_{17}\;:\;1$의 순으로 되고 linoleic acid는 흔적만 나타냈다. 3) 건조기간(乾燥期間) 따른 지방산조성(脂肪酸組成)의 변화(變化)는 불포화지방산(不包和脂肪酸)은 3주째 건조까지는 감소(減少)하는 경향이고 포화지방산(包和脂肪酸)은 증가(增加)하였다.

  • PDF

토종닭과 육계로 만든 춘천닭갈비의 품질비교 (Quality Comparison of Chuncheon Dakgalbi Made from Korean Native Chickens and Broilers)

  • 이성기;최원희;무흘리신;강선문;김천제;안병기;강창원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731-740
    • /
    • 2011
  • 토종닭과 육계를 원료육으로 제조한 춘천닭갈비의 품질을 비교하고, 토종닭을 기존 육계의 대체육으로 사용 가능한지를 구명하기 위해 본 실험을 실시하였다. 토종닭은 국립축산과학원이 복원한 엘림농장의 110일령의 우리맛닭 및 (주)하림에서 사육한 70일령의 한협 3호를 이용하였고, 육계는 38일령의 대형 육계(18호) 및 31일령의 소형 육계(16호)를 사용하였다. 품종별 발골한 정육 조각에 닭갈비 양념을 3:1로 혼합하여 함기포장 및 가스조절포장(30% $CO_2$/70% $N_2$-MAP)을 실시하여 $5^{\circ}C$에서 10일간 저장하면서 상호 품질을 비교하였다. 토종닭군은 육계군에 비해 pH는 낮고 가열감량은 높았다(p<0.05). 전단력은 우리맛닭, 한협 3호순으로 토종닭군이 육계군보다 높았다(p<0.05). 다리육의 지방산 분포를 보면, 우리맛닭이 다른 품종에 비해 myristic acid(C14:0), palmitic acid(C16:0), stearic acid (C18:0) 및 포화지방산(SFA)이 높았던 반면, linoleic acid (C18:2n6), linolenic acid(C18:3n3), 불포화지방산(UFA)이 낮았다(p<0.05). n6/n3 지방산 비율은 우리맛닭의 19.24와 한협 3호의 16.77로 육계의 14.02와 14.77보다 높았다(p<0.05). 닭갈비의 관능검사에서 맛과 향은 차이가 없었으나, 조직감과 종합기호도에서 토종닭군이 육계군보다 낮았다. 닭갈비를 가스조절포장으로 저장했을 때 원료육에 따른 품질 차이가 없었지만, 함기포장에 비해 pH가 높고 지방산화(TBARS) 및 휘발성 염기태 질소(VBN)가 낮았기 때문에 저장성이 증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토종 닭으로 제조한 춘천닭갈비가 품질과 건강적인 측면에서 기존의 육계보다 상대적으로 불리하다고 판단된다.

Effect of Protective Compounds on the Survival, Electrolyte Leakage, and Lipid Degradation of Freeze-Dried Weissella paramesenteroides LC11 During Storage

  • Yao, Amenan A.;Wathelet, Bernard;Thonart, Philippe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9권8호
    • /
    • pp.810-817
    • /
    • 2009
  • The effect of cryoprotectants (maltodextrin+glycerol) and cryoprotectants+antioxidant [ascorbic acid and/or butylated hydroxytoluene (BHT)] mixtures on the survival, electrolyte leakage, and lipid degradation of freeze-dried Weissella paramesenteroides LC11 during storage was investigated and compared with that of the control (cells without additives) over a 90-day storage period at 4 or $20^{\circ}C$ in glass tubes with water activity ($a_w$) of 0.23. The survival, electrolyte leakage, and lipid degradation were evaluated through colony counts, electrical conductivity, and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s (TBARS) content, respectively. The fatty acids composition was determined by gas chromatography, in both the total lipid extract and the polar lipid fraction, and compared with that of the control after the 90-day storage period. As the storage proceeded, increases in leakage value and TBARS content, as well as a decrease in viability, were observed. After 90 days of storage, the major fatty acids found in both the total lipid extract and the polar lipid fraction were palmitic (16:0), palmitoleic (16:1), stearic (18:0), oleic (18:1), linoleic (18:2), and linolenic (18:3) acids. The survival, leakage value, TBARS content and 18:2/16:0 or 18:3/16:0 ratio were the greatest for the protected strain held at $4^{\circ}C$. Cells with the cryoprotectants+BHT mixture showed the highest percentage of survival and 18:2/16:0 or 18:3/16:0 ratio in both lipid extracts, as well as the lowest leakage value and TBARS content after the 90-day storage period. Drying cells with the cryoprotectants+BHT mixture considerably slowed down polar lipid degradation and loss of membrane integrity, resulting in improved viability during stor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