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REAMS

검색결과 125건 처리시간 0.027초

프로폴리스 추출물이 함유된 립밤과 LED 기기를 적용한 입술 임상 연구 (Clinical study of lip balm containing propolis extract and lip applying LED device)

  • 문지선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2권5호
    • /
    • pp.225-236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프로폴리스 추출물이 함유된 립밤 제품과 LED 기기를 적용한 입술 임상 연구를 하여 임상정보과 양적자료로 도움이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서울·경기 소재 만 19~50세 여성을 대상으로 시험제품 선정 후 입술의 LED 기기와 립 크림의 입술 탄력, 입술 보습, 입술 각질 개선 및 12시간 입술 보습 지속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제품 사용 전, 사용 직후, 사용 6시간 후, 사용 12시간 후 사용 2주 후에 사용 시험항목을 측정 후 제품의 안전성, 유효성, 기호도 설문조사를 분석하고자 한다. 일련의 연구절차를 통하여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회 또는 2주 사용으로 입술 탄력, 입술 보습, 입술 각질 개선 및 12시간 입술 보습 지속력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 주변 어린이기호식품의 미생물학적 오염도 평가 (Microbiological Hazard Analysis in Children Snacks around Schools)

  • 나병진;최송이;김수창;이동호;서일원;하상도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82-185
    • /
    • 2011
  • 본 연구는 학교 주변에서 판매되고 있는 어린이기호식품의 정확한 실태 파악과 위해분석을 통하여 어린이 기호식품의 적절한 관리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현재 학교 주변에서 판매되고 있는 과자류, 캔디류, 초콜릿류, 빙과류, 음료류의 어린이기호식품 총 598종을 구매하여 시료로 사용하였으며, 미생물학적 위해요소(일반세균, 진균, 대장균군, 대장균, Bacillus cereus)에 대해 식품공전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과자류는 일반세균, 진균이 각각 2.69, 2.65 $log_{10}$ CFU/g 이하 수준으로 검출되었고 검출율은 각각 54.55, 62.12%이었다. 파자 1개 제품에서 Bacillus cereus가 검출되었으나(1.39 $log_{10}$ CFU/g), 법적 허용기준(3 log) 이하였다. 캔디류는 일반세균, 진균이 각각 최대 2.86, 3.36$log_{10}$ CFU/g 검출되었고 검출율은 각각 46, 8%였다. 초콜릿류는 일반세균, 진균이 각각 최대 2.52, 1.87 $log_{10}$ CFU/g 검출 되었고, 검출율은 각각 33, 22%로 나타났다. 빙과류와 음료류는 일반세균이 각각 최대 3.39, 1.35 log10CFU/mL 검출되었고, 검출율은 각각 82, 5%였으며, 빙과류 1개 제품에서 대장균군이 1.00 $log_{10}$ CFU/mL 수준으로 검출되었다. 본 연구결과, 시판되는 모든 어린이 기호식품이 미생물기준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대부분의 학교 주변 어린이기호식품 판매점이 보관 온도나 취급조건 등을 갖추지 못한 채 제품이 유통, 판매되어지기 때문에 어린이기호식품에 대한 지속적인 미생물 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Effects of Sulfobutyl Ether $\beta$-Cyclodextrin on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Dexamethasone Dipropionate

  • Moon, Jee-Hyun;Oh, Ik-Sang;Chun, In-Koo
    • 한국응용약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응용약물학회 1997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116-116
    • /
    • 1997
  • Complex formation of practically insoluble dexamethasone dipropionate (DDP) with ${\beta}$-cyclodextrin (${\beta}$-CD), dimethyl-${\beta}$-cyclodextrin (DMCD), trimethyl-${\beta}$-cyclodextrin (TMCD), 2-hydroxypropyl-${\beta}$-cyclodextrin (HPCD) and sulfobutyl ether ${\beta}$-cyclodextrin (SBCD) in water was investigated by solubility method at various temperatures. Water solubility of DDP was found to be 1.78 $\mu\textrm{g}$/$m\ell$ at 37$^{\circ}C$. Propylene glycol (PG)-water cosolvent increased the solubility of DDP, but the solubilization was not sufficient (8.93 $\mu\textrm{g}$/$m\ell$ in 20% PG). The addition of CD markedly increased the solubility of DDP in water, and A$\sub$L/ type phase solubility diagrams were obtained with ${\beta}$-CD, TMCD, HPCD and SBCD, where the apparent stability constants of the soluble complexes at 25$^{\circ}C$ were determined to be 1388, 216, 1054, and 1992 M$\^$-1/, respectively. However, DMCD remarkably increased the solubility of DDP, and showed an A$\sub$P/ type diagram, suggesting that DMCD forms a soluble complex of high order with DDP. The stability constant for the DDP-DMCD complex at 25$^{\circ}C$ was determined to be 19132 M$\^$-1/. The thermodynamic parameters were calculated for the inclusion complex formation in aqueous solution. CD (1${\times}$10$\^$-2/M) remarkably decreased the partition coefficients of DDP between isopropyl myristate/water in the order of TMCD < ${\beta}$-CD < HPCD < SBCD < DMCD, and in squalane/water system in the order of HPCD < TMCD < ${\beta}$-CD < DMCD < DMCD $\leq$ SBCD. This finding represents that, in a o/w type cream, cyclodextrin complexation with DDP may result in high concentration of DDP in aqueous phase. The permeation of DDP through a cellophane membrane was highly suppressed by the addition of CD, and the degree of suppression was different among CDs, indicating that CD may control the skin permeation of DDP. The dissolution rates of solid dispersions with CDs were much faster than those of drugs alone and corresponding physical mixtures. All DDP-CD solid dispersions exceeded the equilibrium solubility. Consequently these results suggest that complex formation of DDP with CDs may provide useful means to markedly enhance the solubility, and CDs are useful in the semi-solid preparations such as creams and gels for topical application.

  • PDF

미취학 아동의 치아우식증과 식습관 및 간식섭취와의 관계 (A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dental caries and dietary habits and snack intake of pre-school children)

  • 강현숙;정정화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345-359
    • /
    • 2010
  •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rrelation between the index of dental caries in primary teeth and the habits of diet and snack which are expected to influence on the index.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65 parents of the children who visited a pediatric dental hospital located in Gyeong-gi do from Jun. 15th to Sep. 26th, 2009, and the self-report questionnaire survey was performed. Methods : A questionnaire used in a previous study was revised and completed for this study and it consisted of 15 items on general characteristic, nine items on dietary habit, and five items on snack intake habit.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SPSS program and findings are as follows Results : 1. The index of dental caries in primary teeth by ages was that children of four years old has 4~5 with 27.5%, children of five years old has 2~3 and 4~5 with 33.3% and children of six years old has 1 and 8~9 with 25.6%, showing a statistically significant(${\chi}^2$=37.72, p<.01). 2. The frequency of brushing teeth was found to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number of primary teeth with dental caries (${\chi}^2$=61.20, p<.001). 3. The frequency of taking snack was found to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number of primary teeth with dental caries (${\chi}^2$=51.42, p<.001). 4. The desirability of dietary habit was found to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number of primary teeth with dental caries (${\chi}^2$=36.51, p<.001). 5. The frequency of taking biscuit was found to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number of primary teeth with dental caries (${\chi}^2$=67.74, p<.001). 6. The frequency of taking bread was found to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number of primary teeth with dental caries (${\chi}^2$=29.63, p<.01). 7. The frequency of taking caramel and candy was found to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number of primary teeth with dental caries (${\chi}^2$=38.85, p<.001). 8. The frequency of taking soft drinks was found to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number of primary teeth with dental caries (${\chi}^2$=52.92, p<.001). 9. The frequency of taking ice-creams was found to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number of primary teeth with dental caries (${\chi}^2$=75.07, p<.001). Conclusions : Those findings show that the children with undesirable dietary habit and higher frequency of taking snack have higher index of dental caries in primary teeth, therefore, it is considered that the regular brushing teeth and establishment of desirable dietary habit are very important for keeping health oral cavity. It is recommended that the continuous concern and repeated learning are needed in house and group of rearing infants so that the children take foods of fruits which have function of self-purification than the food of carbohydrates which has high adhesion and level of sweetness.

아세클로페낙의 경피 제제설계 및 피부투과 특성 (Formulation and Skin Penetration Characteristics of Aceclofenac Plaster for Transdermal Delivery)

  • 정종근;이민석;박정화;이장원;김하형;최영욱;이광표
    • Journal of Pharmaceutical Investigation
    • /
    • 제29권1호
    • /
    • pp.29-36
    • /
    • 1999
  • Aceclofenac is an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 which has been used in the treatment of rheumatoidal rthritis and osteo-arthritis. In order to decrease the gastric ulcerogenic effects and contol the plasma level of aceclofenac, we have developed the transdermal delivery system of aceclofenac plaster, which were formulated employing matrix polymers of acrylates and penetration-enhancers such as $Lauroglycol^{\circledR}$, $Transcutol^{\circledR}$, oleic acid and linoleic acid. Using Franz diffusion cells mounted with a rat skin, transdermal penetration characteristics of the formulations were evaluated by the HPLC assay of aceclofenac and diclofenac, an active metabolite, in the receptor compartment of pH 7.2 phosphate buffered solution. Skin penetration was increased when the content of aceclofenac increased, showing the flux $(J,\;{\mu}g/cm^2/hr)$ of 0.37 and 2.50 for 2% and 6.75% of the content, respectively. The flux$(J,\;{\mu}g/cm^2/hr)$ from plasters made of $Durotak^{\circledR}$ 87-2074, $Durotak^{\circledR}$ 87-2510 and $Durotak^{\circledR}$ 87-2097 were 2.50, 2.77 and 4.39, respectively. $Durotak^{\circledR}$ 87-2074 showed the lowest penetration due to the carboxylic acid group in the polymer, which might form a strong hydrogen bonding with a secondary amine of aceclofenac. Although both $Durotak^{\circledR}$ 87-2510 and $Durotak^{\circledR}$ 87-2097 are amine-resistant adhesives, $Durotak^{\circledR}$ 872510 showed lower penetration than $Durotak^{\circledR}$ 87-2097 because of the hydroxyl group in $Durotak^{\circledR}$ 87-2510, which might form a weak hydrogen bonding with aceclofenac. These results reveal that the functional group in acrylic polymers would greatly affect the release of aceclofenac from the matrix, which is the rate-limiting step in the penetration of aceclofenac through rat skins. The penetration of aceclofenac from plasters using different penetration-enhancers increased in the following order: Transcutol < linoleic acid < oleic acid. And the flux from the plasters containing oleic acid as a penetrationenhancer was 2.22 times greater than that of creams, which suggest that a newly deveolped aceclofenac plaster could be used in the treatment of rheumatoidal arthritis and osteo-arthritis as an advanced transdermal delivery system.

  • PDF

황색계 천연색소 추출물이 함유된 보습크림의 피부개선 효과 (Effects of the moisturizing cream containing yellowish natural colorants on the skin improvement)

  • 서화진;김연순;박상규;박신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0권2호
    • /
    • pp.155-159
    • /
    • 2017
  • 이 연구의 목적은 5종의 식물추출물을 함유하는 보습력이 우수한 보습크림을 개발하여 피부개선 효능을 평가하는 것으로, 비단풀, 황백, 홍화, 치자, 오배자의 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보습크림과 이를 포함하지 않는 보습크림 간의 임상연구를 수행하였다. 21명의 피험자에 대해 효과분석이 이루어졌으며, 각각의 분석은 3회 반복 하여 검증하였다. 식물유래 복합추출물이 함유된 보습크림(A)과 함유되지 않은 크림(B)과의 수분함량 비교분석에서 A 크림이 B 크림에 비해 50% 이상 높은 수준의 보습력을 지니고 있으며, 피부 경피수분손실량 및 홍반반응 분석에서도 A 크림이 B 크림에 비해 유의성 있는 개선효과를 나타내었다. 결론적으로 식물복합추출물이 함유된 크림은 인체 피부자극 유도 후의 피부자극 완화 효과 평가를 통해 피부자극 완화 및 개선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고, 관련 산업분야의 다양한 응용성을 가질 것으로 판단된다.

Hydroxyapatite의 파우더 표면 복합화를 통한 형태 및 기계적 성질에 관한 연구 (Morphology and Mechanical Properties through Hydroxyapatite Powder Surface Composite)

  • 계성봉;박수남
    • 공업화학
    • /
    • 제27권3호
    • /
    • pp.299-306
    • /
    • 2016
  • 본 연구는 광노화의 원인으로 알려진 자외선을 차단하는 새로운 복합 분체에 관한 것이다. Hydroxyapatite (HAp)는 자체 생체 친화적이고, 피부에 도포 시 백탁 현상 없이 자외선을 차단하는 효과가 우수하다. 그러나 HAp 구조가 단단한 육방정계이어서 피부 도포 시 피부손상과 분체의 재응집 현상이 발생되어 화장 후 뭉치는 현상, 자체 사용감이 매끄럽지 못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HAp의 표면 개질을 통한 자외선 차단 증진 및 사용감을 개선한 새로운 복합 분체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HAp의 표면 개질을 위해 코팅제로 dimethicone, lauroyl lysine, triethoxycaprylylsilane 및 silica를 사용하였다. Dimethicone, lauroyl lysine 및 triethoxycaprylylsilane은 건식 방법으로 각각 표면 복합화 처리하였고, silica는 수열 합성법으로 표면 처리하여 표면 복합체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HAp 복합체의 자외선 차단 효과를 측정하여 실리카가 코팅된 HAp-silica를 최적의 HAp 복합체로 선정하였다. SEM, 입자크기와 분포, 표면 측정, EDS 분석을 통해 HAp-silica의 표면 복합 분체 특성을 조사하였다. 또한 제형 내에서 안정성, BB cream에서 자외선 차단 효과 측정 및 안전성 시험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HAp 분체의 표면 개질을 통해 제조한 HAp-silica는 사용감이 우수하였고, 백탁 현상을 개선함으로써 자외선 차단 효과를 증진시키는 복합 분체로서 자외선 차단 화장품의 새로운 기능성 소재로서 응용 가능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금불초 꽃 추출물 함유 크림의 안정성 평가 및 인체 시험 (A Study on the Stability and Clinical Trial for the Cream Containing Inula britannica Flower Extract)

  • 김정은;김아름;박수남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129-136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금불초 꽃의 50 % 에탄올 추출물로부터 얻은 ethyl acetate 분획을 0.25 % 함유한 제품의 안정성 및 피부 보습효과를 평가하였다. 추출물을 함유한 크림을 제조하여 12주 동안 태양광선에서의 노출과 다양한 온도(4, 20, 37 및 $45^{\circ}C$) 하에서 8주 동안은 2주 간격으로, 8주에서 12주까지는 4주 간격으로 pH, 흡광도 및 점도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금불초 꽃 추출물 함유크림(시험 제형)과 함유하지 않은 크림(비교 제형)의 pH 측정 결과 $4, 25^{\circ}C$ 하에서는 pH의 변화가 거의 없었지만, $37, 45^{\circ}C$, 태양광선 하에서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점도 측정 결과는 시험 제형과 비교 제형의 값이 전체적으로 감소하였지만, 두 제형의 변화 양상이 같은 것으로 보아 금불초 꽃 추출물은 크림의 점도 감소에 영향을 주지 않고, 크림 제조 시 크림에 함유되어 있는 성분들의 조성 및 성분들 간의 물리 화학적 반응으로 인하여 점도 변화가 있는 것으로 생각되어진다. 흡광도 측정에서는 2주 후 전체적으로 감소가 있었으나, 4주 후 측정 시에는 2주 후의 측정치와 거의 동일한 값을 나타내어 금불초 꽃 추출물이 안정화된 것으로 보인다. 또한, 추출물 함유크림과 대조군 크림은 12주 동안 동일한 실험 조건에서, 변취나 변색이 나타나지 않았고, 크리밍이나 응집과 같은 현상 역시 관찰되지 않았다. 금불초 꽃의 ethyl acetate 분획을 함유한 크림을 피부에 도포한 후 피부 수분 함량 및 경표피 수분 손실량의 변화를 측정한 결과 금불초 꽃 추출물을 함유한 크림이 피부에 우수한 보습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들로부터, 금불초 꽃 추출물을 함유한 크림은 비교적 안정함을 확인하였으며, 향후 제품에 응용 시 사전 연구에서 나타난 항산화 및 항균, 미백에 대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도록 보완 연구가 이루어진다면 화장품의 제품화가 가능할 것이라고 사료된다.

한국 노인의 치아건강도와 선호식품과의 관련성 (Correlation of Korean Elderly Dental Health Capacity and Preferred Foods)

  • 주온주;김인자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5권6호
    • /
    • pp.712-720
    • /
    • 2015
  • 본 연구는 65세 이상 노인들의 치아건강도와 선호식품과의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국가통계자료인 2010년과 2011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원시자료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채소류, 과일류, 기타식품의 선호도가 높은 사람은 T-health 지수와 FS-T 지수가 높았고, ST와 PT도 많은 반면, 채소류, 과일류, 기타식품의 선호도가 낮은 사람은 MT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T-health 지수는 곡류, 과일류, 기타식품, 65~69세, 70~74세, 소득분위 중하위권과 하위권에서 유의하였고, ST는 곡류, 기타식품, 65~69세, 70~74세, 소득분위 중하위권에서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p<0.05). FS-T 지수는 과일류, 유지 및 당류, 기타식품, 65~69세, 70~74세, 소득분위 중하위권과 하위권에서 유의하였으며, PT 및 MT는 곡류, 과일류, 65~69세, 70~74세, 소득분위 중하위권과 하위권에서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p<0.05).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65세 이상 노인들의 치아건강도와 식품의 선호도는 밀접한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특히, 노인들의 치아건강도에 따라 선호식품에 차이가 있으며, 노인들의 치아건강상태가 영양불균형을 초래하는 위험요인으로 작용될 수 있다는 것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노인들을 비롯한 모든 연령층에서 치아건강을 유지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며, 생애에 걸쳐 구강건강관리 를 할 수 있는 프로그램 마련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산국 에센셜오일을 함유한 화장품의 주름개선 임상효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nti-wrinkle Properties of Cosmetics Containing Essential Oil from Chrysanthemum boreale MAKINO)

  • 최인호;황대일;김도윤;김하빈;이환명
    • 생명과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442-446
    • /
    • 2019
  • 산국 에센셜오일의 채취시기별 특성과 in vitro 항산화, 미백, 피부재생 및 주름개선 활성이 본 연구진에 의해 최근 보고되었다. 본 연구는 산국 에센셜오일(0.1%, v/v)이 함유된 크림제형의 화장품에 대해 주름개선 효능 및 안전성을 확인하였다. 피시험자는 자연주름이 형성되어 있는 42세에서 60세까지의 22명의 여성을 대상으로 8주 동안 산국 에센셜오일 함유 화장품을 눈가주변에 도포하였다. 인체 피부 안전성은 피부과 전문의의 육안관찰 소견을 확보하고, 피부 주름개선 효능은 visiometer를 이용하여 roughness를 측정 하였다. 산국 에센셜오일 함유 화장품 및 대조시료는 시험기간 동안 인체에 홍반, 알러지 등의 이상반응을 유발하지 않았으며, 시험부위(test)는 대조부위(placebo)에 비해 roughness 지수 감소의 폭이 더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R1, R2, R3 지수는 크림 사용 2주 후부터 시험부위가 대조부위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p<0.05)한 감소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산국에센셜오일 함유 화장품"은 인체 안전성이 확보되었으며, 피부주름 개선 활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어 향후 비고시 주름개선 기능성화장품으로 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