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VID-19 vaccine

검색결과 204건 처리시간 0.023초

COVID-19 Vaccine 접종 인식이 현장실습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COVID-19 Vaccination Awareness on Clinical Practice)

  • 김은재;박부연
    • 보건의료생명과학 논문지
    • /
    • 제11권2호
    • /
    • pp.191-196
    • /
    • 2023
  • 본 연구는 COVID-19 시기에 보건계열 학생들의 임상실습 교육의 비대면 방향으로 전향하는 시기에 백신접종과 임상실습의 관련성을 살펴보고자 진행되었다. 임상실습은 보건계열 학생의 면허 필수 과목이다. 또한, 학생들이 졸업 후 임상실습의 경험이 그들의 전문직종에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연구결과 보건직에 취업하길 희망하는 학생의 대면 임상실습 정도가 희망하지 않은 학생보다 높게 나타났다(OR: 3.421, 95%CI: 1.333-8.775). 백신접종을 완료한 학생의 대면 임상실습이 높게 나타났다OR: 2.522, 95%CI: 1.017-6.254). 코로나19 상화에서 진행된 비대면 임상실습은 학생들에게 전염병의 감염우려로 전만적이 임상실습의 만족도가 낮게 나타났다. 또한, 취업 후 현장 업무에서도 불안하게 생각하였다. 이에 전염병 감염에 대한 불안을 해소할 수 있는 백신접종을 적극 지지하여 대면 임상실습을 실행하여 학생들의 전문직군의 역할을 향상 시킬 수 있을 것이다.

Antigen Delivery Systems: Past, Present, and Future

  • Hyun-Jeong Ko;Yeon-Jeong Kim
    • Biomolecules & Therapeutics
    • /
    • 제31권4호
    • /
    • pp.370-387
    • /
    • 2023
  • The COVID-19 pandemic has increased demand for safe and effective vaccines. Research to develop vaccines against diseases including Middle East respiratory syndrome, Ebolavirus, human immunodeficiency virus, and various cancers would also contribute to global well-being. For successful vaccine development, the advancement of technologies such as antigen (Ag) screening, Ag delivery systems and adjuvants, and manufacturing processes is essential. Ag delivery systems are required not only to deliver a sufficient amount of Ag for vaccination, but also to enhance immune response. In addition, Ag types and their delivery systems determine the manufacturing processes of the vaccine product. Here, we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various Ag delivery systems: plasmids, viral vectors, bacterial vectors, nanoparticles, self-assembled particles, natural and artificial cells, and extracellular vesicles. This review provides insight into the current vaccine landscape and highlights promising avenues of research for the development and improvement of Ag delivery systems.

Unexpected Aggravation of COVID-19 After Recovery in Three Adolescents With Chronic Neurologic Conditions: A Case Series

  • Dayun Kang;Seung Ha Song;Bin Ahn;Bongjin Lee;Ki Wook Yun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29권3호
    • /
    • pp.147-154
    • /
    • 2022
  • 코로나바이러스-19 (COVID-19)는 일반적으로 성인에 비해 소아에서 임상적으로 경한 양상을 보이며, 대부분의 소아에서 약 7일간의 격리가 끝나면 증상이 호전되어 특별한 이벤트 없이 퇴원하게 된다. 우리는 통상적인 임상경과와는 다르게, 격리 해제시점 또는 퇴원을 고려하고 있는 시점에 갑자기 악화된 임상증상을 보이는 3명의 청소년 환아들을 경험하였다. 세 명의 아이들은 공통적으로 신경학적 질환을 기저질환으로 가지고 있었다. Case 1은 울리히 선천성 근디스트로피로 진단받고 밤에만 이중양압기로 호흡보조를 받던 17세 남환의 경우로, 첫 COVID-19 증상 이후 9일이 지나고 증상 호전되어 퇴원을 준비하던 중 심폐정지가 발생하였다. Case 2는 뇌출혈 및 뇌경색 이후 병상에 누워 지내며 기관절개관 삽입 후 가정용 인공호흡기로 호흡보조를 받던 12세 여자 환아로, 증상이 호전되어 퇴원하였으나 첫 COVID-19 증상 이후 11일이 지난 후 심폐정지가 발생하였다. Case 3의 경우 조산아로 출생하여 뇌실출혈 및 수두증 진단받고 병상에 누워 지내나 호흡보조는 받지 않았던 12세 남자 환아로, 첫 증상 이후 호전추세였으나 10일 후 다기관 기능부전 확인되어 입원 진행하였다. 항바이러스제, 스테로이드제, 경험적 항생제가 투여되었고 중환자실 치료를 시행하였다. 세 환아들 중 2명 (case 1, 3)은 치료를 통해 호전되었으나, 1명 (case 2)는 심부전 진행하여 사망하였다. 이러한 경험에 비추어 볼 때, COVID-19 격리 기간이 끝나고 퇴원 가능한 시점이라도 갑작스러운 증상 악화를 보일 가능성이 있기에, 긴장을 놓지 않고 임상 증상의 변화를 확인하고 필요시 빠른 조치를 취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특히 신경학적 또는 호흡기적 만성 질환을 갖는 아이들에게 주의가 더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COVID-19: Improving the accuracy using data augmentation and pre-trained DCNN Models

  • Saif Hassan;Abdul Ghafoor;Zahid Hussain Khand;Zafar Ali;Ghulam Mujtaba;Sajid Khan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
    • 제24권7호
    • /
    • pp.170-176
    • /
    • 2024
  • Since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has declared COVID-19 as pandemic, many researchers have started working on developing vaccine and developing AI systems to detect COVID-19 patient using Chest X-ray images. The purpose of this work is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pre-trained Deep convolution neural nets (DCNNs) on Chest X-ray images dataset specially COVID-19 which is developed by collecting from different sources such as GitHub, Kaggle.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Deep CNNs, data augmentation is used in this study. The COVID-19 dataset collected from GitHub was containing 257 images while the other two classes normal and pneumonia were having more than 500 images each class. There were two issues whike training DCNN model on this dataset, one is unbalanced and second is the data is very less. In order to handle these both issues, we performed data augmentation such as rotation, flipping to increase and balance the dataset. After data augmentation each class contains 510 images. Results show that augmentation on Chest X-ray images helps in improving accuracy. The accuracy before and after augmentation produced by our proposed architecture is 96.8% and 98.4% respectively.

시스템 충격과 회복을 위한 신속대응 전략: 백신 신속개발 프로그램 사례연구 (Impact on societal system and rapid response strategies for the recovery: Cases of rapid vaccine development programme)

  • 박인용;박미영
    • 시스템엔지니어링학술지
    • /
    • 제20권1호
    • /
    • pp.34-49
    • /
    • 2024
  • Since the outbreak of COVID-19, 'overcoming infectious disease' has emerged as a priority task for most policies. Each country has implemented policy programs to significantly shorten the vaccine development period with the goal of rapid vaccine development. This study judged this process to be a shock to the existing social and technological system and its recovery. Accordingly, the United States' Operation Warp Speed, CEPI's 100 days mission, and Japan's SCARDA were selected as examples of policy programs with 'rapid vaccine development' as their mission and analyzed difference from traditional vaccine development system in terms of rapid development.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accumulation of innovative resources was shared as the key to achieving the mission in the preparation stage before the outbreak of an infectious disease. However, it was also possible to discover an approach to shortening the period of each stage without fundamentally changing the vaccine development structure itself.

A Case of 1-Month Fever Caused by CMV Infection in a Patient With MIS-C Treated With IVIG, Infliximab, and High-Dose Methylprednisolone

  • Gihun Jeong;Jihye You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31권1호
    • /
    • pp.140-146
    • /
    • 2024
  • 소아 다기관 염증 증후군(multisystem inflammatory syndrome in children, MIS-C)은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코로나 19; coronavirus disease 2019, COVID-19)의 드문 합병증으로 심장, 폐, 신장, 소화관 및 신경계를 포함한 다기관 손상을 일으킨다.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MIS-C 사례가 증가함에 따라 MIS-C에 대한 적절한 치료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anakinra, infliximab, 스테로이드와 같은 면역 조절제는 MIS-C에 대한 intravenous immunoglobulin (IVIG)의 1차 치료에 대한 추가 요법으로 고려되지만 cytomegalovirus (CMV), Epstein-Barr 바이러스 및 결핵과 같은 2차 감염을 유발할 소지가 있다. 저자들 MIS-C로 IVIG, steroid 및 infliximab을 투여한 환자에서 동반된 CMV 감염으로 인하여 약 한달간 지속되는 발열이 발생한 3세 남아의 증례 1례를 처음으로 보고하였다.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의 바이러스 (SARS-CoV-2) 특징, 전파 및 임상 양상 (Epidemiology, Virology, and Clinical Features of Severe Acute Respiratory Syndrome Coronavirus 2 (SARS-CoV-2; Coronavirus Disease-19))

  • 박수은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27권1호
    • /
    • pp.1-10
    • /
    • 2020
  • 2019년 12월에 중국 후베이성 우한시에서 원인 미상 폐렴이 무리 지어 발생하기 시작하였다. 환자의 하기도에서 이전에 알려지지 않은 새로운 코로나바이러스가 분리되었으며 severe acute respiratory syndrome coronavirus-2 (SARS-CoV-2)로 명명되었다. 세계보건기구는 SARS-CoV-2에 의한 질병을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coronavirus disease 2019, COVID-19)로 명명하였다. 2020년 3월 11일에 COVID-19는 전세계 최소 114국으로 퍼졌으며 약 4,000명이 사망하여 세계보건기구는 COVID-19가 세계적 대유행임을 선언하였다. 지난 20년 동안 새로운 코로나바이러스에 의한 두 번의 유행이 있었다. 2002-2003년 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severe acute respiratory syndrome, SARS) 유행 시에는 8,098명의 확진 환자와 774명의 사망자가 발생하였으며, 2012년에 사우디 아라비아에서 시작되어 현재까지 주로 아라비아 반도에서 발생하고 있는 중동호흡기증후군(Middle East respiratory syndrome, MERS)는 2019년까지 총 2,499명의 환자와 858명의 사망자를 발생시켰다. 본 종설의 목적은 2020년 3월 12일까지 알려진 SARS-CoV-2의 특징과 전파 양상 및 COVID-19의 임상 증상을 알아보고 SARS와 MERS와의 유사점 및 차이점에 대하여 간략하게 소개하는 것이다.

Comparison of the Clinical and Laboratory Features of COVID-19 in Children During All Waves of the Epidemic: A Single Center Retrospective Study

  • Sunbok Suh;Hyungsu Kim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31권1호
    • /
    • pp.83-93
    • /
    • 2024
  • 목적: 코로나19 판데믹이 시작된 이후, 다양한 주요 변이 바이러스가 출현했다. 코로나 19 판데믹 기간 동안 대표적인 주요 변이 바이러스 유행 시기를 네 가지로 나누고, 네 가지의 주요 변이 바이러스 시기로부터 임상적 그리고 혈액학적 검사의 특징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방법: 코로나19 확진으로 입원한 19세 이하 환자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변이전시기(2020년 2월 1일-2020년 9월 30일), 알파와 베타 변이 시기(2020년 10월 1일-2021년 5월 31일), 델타 변이 시기(2021년 6월 1일-2021년 10월 31일), 오미크론 변이 시기(2021년 11월 1일-2022년 5월 31일)를 비교하였다. 결과:대상환자 827명중에서 163명(19.7%)가무증상이었고, 발열과기침의빈도는각각 320명(38.7%), 399명(48.2%)이었다. 38.5℃ 이상의 발열이 있었던 경우는 12세 미만인 경우에 오미크론 변이 시기에 높게 관찰되었다. 혈액학적 검사에서 백혈구 감소증, 임파구 감소증 그리고 호중구 감소증은 각각 33%, 30.2%, 24.9%로 관찰되었다. 결론: 코로나 19의 주요 변이 바이러스 우세 시기에 다른 특징들이 있었다. 델타 변이 시기에 4일 이상의 발열이 지속되는 경우가 더 많았고, 오미크론 변이 시기에는 38.5℃ 이상의 발열을 가지는 경우가 많았다.

코로나19 감염 산모에서 출생한 신생아 관리 지침 (Guideline for the Management of Neonates Born to Mothers With COVID-19)

  • 최재홍;최수한;김도현;최용성;윤기욱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29권3호
    • /
    • pp.125-130
    • /
    • 2022
  • 장기화된 코로나19의 유행으로 많은 임산부들이 분만에 임박하여 감염되는 사례들이 많아진 반면, 이런 상황에서 출생하는 신생아들을 처치 및 검사에 대한 국내 권고 사항은 코로나19 유행 초기에 만들어져 진료 현장에서 어려움이 많았다. 다행히 최근에 축적된 자료와 외국의 최신 지침을 반영한 국내 권고 사항이 개정 발표되어 이를 소개하게 되었다. 대표적인 변화로는 코로나19 확진 산모에게 출생한 신생아의 처치 및 검사가 반드시 음압 격리 시설 내에서 이루어질 필요 없이 적절한 보호장구를 착용한 상태에서 신생아실에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코로나19 검사도 생후 48-72시간에 1회 시행할 것을 권고하였으며, 모자 동실을 할 경우에는 증상 없는 건강한 신생아라면 검사 없이 경과 관찰할 수 있도록 하였다. 입원이 필요한 경우에는 기존 권고 사항과 같이 생후 24시간, 48시간 째에 각각 두 번 검사를 시행하도록 하였다. 개정된 권고 사항이 코로나19 확진 산모와 신생아의 진료에 유연성을 주면서 감염의 확산을 최소화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Updates on the coronavirus disease 2019 vaccine and consideration in children

  • Kang, Hyun Mi;Choi, Eun Hwa;Kim, Yae-Jean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64권7호
    • /
    • pp.328-338
    • /
    • 2021
  • Humanity has been suffering from the global severe acute respiratory syndrome coronavirus 2 pandemic that began late in 2019. In 2020, for the first time in history, new vaccine platforms-including mRNA vaccines and viral vector-based DNA vaccines-have been given emergency use authorization, leading to mass vaccinations.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review the currently most widely used coronavirus disease 2019 vaccines, investigate their immunogenicity and efficacy data, and analyze the vaccine safety profiles that have been published, to da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