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VID-19 stress

검색결과 230건 처리시간 0.024초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 범유행시 임산부의 스트레스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A Phenomenological Study on the Stress experiences of Pregnant Women During the Coronavirus Disease (COVID-19) Pandemic)

  • 양영미;조미옥
    • 산업융합연구
    • /
    • 제21권3호
    • /
    • pp.117-127
    • /
    • 2023
  • 본 연구는 코로나-19 범유행시 임산부의 생생한 경험을 현상학적 접근을 통해 탐구함으로 임산부의 스트레스 경험을 이해하기 위한 질적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COVID-19 범유행 기간 동안 임신한 임산부 12명을 대상자로 선정하여 심층면담하였다. 참여자의 인터뷰는 2022년 6월부터 10월까지 진행하였으며, Colaizzi (1978) 분석 방법을 사용하여 Taguette 프로그램을 통해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분석된 결과로는 경험의 범주가 4개의 주제와 12개의 하위 주제로 도출되었다. 주요 주제는 부정확한 정보로 인한 혼란, 무너진 산전관리, 통제된 삶으로 인한 스트레스, 적응해가는 몸과 마음으로 나타났다. 임산부의 건강을 위한 사회적 지원과 안정적인 의료시스템 구축이 전반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필요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이를 뒷받침하기 위해서는 후속 연구들이 더 필요하다.

COVID-19 거점 전담병원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와 간호업무환경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Job Stress and Nursing Work Environment of Nurses in COVID-19 Dedicated Hospital on Turnover Intention)

  • 조진영;김주연
    • 실천공학교육논문지
    • /
    • 제16권2호
    • /
    • pp.241-249
    • /
    • 2024
  • 본 연구는 COVID-19 거점 전담병원의 간호사를 대상으로 직무스트레스와 간호업무환경, 이직의도를 파악하고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확인하고자 수행되었다. 2022년 9월 1일부터 9월 27일까지 I지역의 일 개 COVID-19 거점 전담병원 간호사 144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Statistics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이직 의도는 근무경력(F=11.20, p<.001)과 직급(F=4.09, p=.009)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이직의도는 직무스트레스(r=.561, p<.001), 간호업무환경(r=-.382, p<.001)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이직의도의 영향요인은 직무스트레스(β=.46, p<.001), 11년 이상의 근무경력(β=.34, p<.001), 3~10년의 근무경력(β=.20, p=.022), 간호업무환경(β=-.22, p=.001)이며 43.9%의 설명력을 보였다. 이에 COVID 19 거점 전담병원 간호사의 이직의도를 감소시키기 위해 감염병 상황에서는 경력별 업무 특성을 고려한 직무 스트레스 감소 방안과 효율적인 간호업무환경을 조성해야 하겠다.

COVID-19시대 대학생들의 스트레스 대처방법과 여가제약협상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coping methods and leisure constraint negotiations among college students in COVID-19 Pandemic)

  • 임진선;최아론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587-594
    • /
    • 2021
  • 이 연구의 목적은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있는 대학생들의 스트레스 대처방법이 여가제약협상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는 것이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2021년 1월 25일부터 2월 19일까지 전북, 전남, 부산에 소재한 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총 247명의 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1.0과 AMOS18.0 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확인적 요인분석, ANOVA와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COVID-19 이전과 이후의 여가유형에 변화에 따라 여가제약협상에 차이가 나타났다. 대학생들의 스트레스 대처방법에 따라 여가제약협상에 대한 부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대처방안에 대한 세부적 접근에 대해 고민해야 할 것이다. 특히 스트레스 대처방법 중 적극적인 스트레스 대처방법(문제중심 대처, 사회적지지추구)이 여가제약협상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따라서 COVID-19와 연계하여 스트레스 대처와 연계한 여가제약이나 여가만족 등 다각도의 접근이 필요 할 것으로 판단된다.

코로나19 팬데믹과 조종사 정신건강 관리 (COVID-19 Pandemic and Pilot Mental Health Care)

  • 권영환
    • 항공우주의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64-67
    • /
    • 2021
  • When the COVID-19 crisis hit air transport, the whole aviation industry was affected. The change in the behavior of passengers following the COVID-19 crisis, travel restrictions and the ensuing economic crisis have resulted in a dramatic drop in demand for airline services. The COVID-19 pandemic, with all its associated consequences, has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 mental health and well-being of pilots, which could impact operational safety. As the number of international flights has decreased, pilots are exposed to high levels of psychological stress such as job instability, reduced income and increased risk of infection during flight work. Psychological stress lowers work performance and threatens aviation safety. The pilot needs mental health management during the COVID-19 pandemic, but psychological support is weak. For pilot mental health management, it is important to raise awareness about mental health and to continuously respond. To this end, it is necessary to foster a safe and trustworthy culture in which mental health issues are discussed freely and solved together without hiding them. They should also support the establishment of a peer support program that is easily accessible and that allows pilots to discuss their issues with confidence.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사태에 따른 전공의 및 수련의의 스트레스 인지도가 불안 및 우울에 미치는 영향과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 (The Effect of Stress on Anxiety and Depressed Mood and the Mediating Effect of Resilience in Medical Residents and Interns During Coronavirus Disease-19 Event)

  • 조호영;김승준;김지웅;오홍석;임우영;이나현
    • 정신신체의학
    • /
    • 제30권1호
    • /
    • pp.22-29
    • /
    • 2022
  • 연구목적 본 연구는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대유행 중 전공의 및 수련의의 스트레스와 불안 및 우울 간 상관관계를 파악하고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평가하고자 한다. 방 법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대유행 기간 중 일개 대학병원에서 근무한 전공의 및 수련의를 대상으로 자가보고식 설문 조사를 통해 스트레스 인지도, 불안 및 우울, 회복탄력성 정도를 평가하였다. 이후 각 변인 간 상관관계를 평가하고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 검증절차를 시행하였다. 결 과 총 74명의 참여자에게서 스트레스 평균 18.79점, 불안 총점 평균 6.24점, 우울 총점 평균 7.81점으로 나타났고, 불안과 우울의 고위험군은 각각 28명(37.8%), 41명(55.4%)로 나타났다. 스트레스 총점이 높을수록 불안과 우울의 총점이 높게 나타났으며, 회복탄력성 총점이 높을수록 스트레스 총점, 불안 및 우울 총점 모두 낮게 나타났다.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는 스트레스와 우울 총점 간 상관관계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했다. 결 론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19 유행 기간 중 전공의 및 수련의에게서 높은 수준의 스트레스를 보였고, 이들 중 상당수가 불안 및 우울장애의 고위험군으로 확인되었다. 스트레스는 우울 및 불안을 증가시키며 이중 우울은 회복탄력성에 의해 완화될 수 있음을 보였다.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 전담병원 중환자실 간호사의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영향 요인 (Factors Influencing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in Intensive Care Unit Nurses in Dedicated Hospitals for Coronavirus 19)

  • 정현옥;박혜자
    • 동서간호학연구지
    • /
    • 제28권2호
    • /
    • pp.170-178
    • /
    • 2022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factors influencing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in intensive care unit nurses in dedicated hospitals for coronavirus disease of 2019 (COVID-19) during the peak of the outbreak. Methods: This study used a cross-sectional correlational design. A total of 100 participants completed questionnaires comprising the Impact of Event Scale-Revised (IES-R), coping strategy indicator, social support, and post-traumatic growth.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was classified as normal, mild risk, and high risk. Data were analyzed using 𝛘2 test, Fisher's exact test, Kruskal-Wallis test with multiple comparison analysis,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nomin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Results: Fifty seven nurses (57.0%) had a high risk of post-traumatic stress. Higher levels of post traumatic stress were associated with higher levels of social support seeking, and higher levels of avoidance, and lower levels of social support from supervisors. Higher post traumatic growth was correlated with higher social support for seeking coping, and problem solving coping strategies, and social support from supervisors and colleagues. Post-traumatic stress risk was associated with social support seeking and supervisors' social support. In addition, a higher risk of post-traumatic stress was related to COVID-19 work duration and supervisors' social support. Conclusion: Supportive programs, including increasing social support and building coping skills, may be suggested to safeguard the mental health of critical care nurses during the pandemic.

코로나19 대유행 시 지역사회 요양병원 종사자의 근무경험: 혼합연구방법 (Working Experience of the Community-based Long-term Care Hospital Worker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Mixed Methods Research)

  • 장현정;박정언
    • 한국농촌간호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27-39
    • /
    • 2023
  • Purpose: This study is a mixed methods research that was conducted to verify factors affecting the working experience of community-based long-term care hospital worker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Methods: The study was carried out from July 19 to November 3, 2021 for 340 nurses who worked at 10 long-term care hospitals located in G city. Results: As the study results, factors that affected job stress of the workers working at community-based long-term care hospitals included job satisfaction (β=-.27, p<.001), work demand (β=-.25, p<.001), fatigue (β=.19, p=.001), and cooperation and leadership (β=-.12, p=.049). It was found that the participants were struggling with physical and mental stress caused by the increased workload due to the preventative measures taken to stop the infection and spread of COVID-19. Despite this, they accepted their situation as necessary to overcome the pandemic and shared the quarantine guidelines of the government and community health centers while actively responding to prevent the spread of COVID-19 under the leadership of their supervisors. However, they were experiencing psychological and emotional burnout in the prolonged pandemic situation. Conclusion: It is considered necessary to help relieve their stress and provide psychological and mental support by adopting a policy to develop and apply comprehensive programs.

The Effect of Non-face-to-Face Class due to COVID-19 on Academic Stress and Back Pain in University StudentsThe Effect of Non-face-to-Face Class due to COVID-19 on Academic Stress and Back Pain in University Students

  • Kim, Yoo Rim;Kim, Dong Hoon
    • Physical Therapy Rehabilitation Science
    • /
    • 제11권1호
    • /
    • pp.43-48
    • /
    • 2022
  • Objective: In the present study, to determine the extent of academic stress and pain from sitting for a long time, we will use a questionnaire to examine the effects of non-face-to-face stress and back pain on college students who have conducted non-face-to-face lectures. Design: Survey research Methods: A questionnaire was conducted using Naver foam to identify academic stress, attitude and time to listen to lectures, and the extent of back pain for college students who are experiencing non-face-to-face lectures. Outcome measures include the scale of academic stress (SAS), the Numeric rating scale (NRS), the Oswestry Disability Index (ODI Korea version) was implemented. The difference in academic stress was analyzed by t-test and one-way ANOVA, and the correlation between academic stress and back pain was analyzed using the Spearman correlation coefficient. In order to examine the academic stress, consistency, and stability, the reliability of the academic stress items was measured by examining the reliability with the Cron-Bach alpha coefficient. Allstatistical significance levels were α=0.05. Results: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compared to gender (P<0.05), but the higher the grade, the higher the stress index, the higher the level of pain. Conclusions: This study confirmed that non-face-to-face lectures caused by COVID-19 have increased academic stress and the resulting increase in back pain in college students.

음악 활동을 통한 청소년 마음 치유 효과 (Adolescent Mind Healing Effect Through Music Activity)

  • 이신영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5권8호
    • /
    • pp.443-456
    • /
    • 2021
  • 본 연구는 서울시 소재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음악 예술교육이 코로나-19, 사회적 거리두기로 인해 발생된 우울증 및 스트레스 해소에 어느 정도 영향이 있는지를 도출하기 위하여 진행되었다. 이를 위해 서울시 교육청의 협조하에 서울시 소재 초·중·고등학교에 공문을 시행하여 약 1,745여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현황 연구를 실시하였다. 주지하다시피 코로나-19가 지속됨에 따라 특히 청소년들의 우울증과 스트레스가 점점 높아지고 있는 추세이다. 이는 무엇보다 감염의 차단을 위한 대외 활동의 제한이 큰 비중을 차지한다. 그런 이유로 청소년들의 정서의 안정과 자존감 형성을 도모하기 위해서 문화예술교육이 반드시 필요하다. 이에 있어 무엇보다 장르의 특성상 음악 예술교육은 청소년들의 우울증 및 스트레스 해소에 상당히 기여할 수 있음을 본 연구를 통해서 확인할 수 있었다.

코로나19 시기 장애자녀 돌봄스트레스와 양육효능감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in caring stress and parenting efficacy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during the COVID-19 period)

  • 서보석;최종순;김현화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1호
    • /
    • pp.175-181
    • /
    • 2023
  • 본 연구는 코로나19 시기 장애아동을 양육하는 부모가 느끼는 돌봄 스트레스와 양육효능감 간의 상관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조사연구는 전라남도 Y에 소재한 장애아동 부모 14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자료를 이용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코로나19 시기에 장애아동 부모의 돌봄 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자존감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장애아동 부모의 양육효능감에 대한 양육스트레스의 영향에서 자아존중감은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장애아동 부모의 돌봄 스트레스를 감소 및 개선하고 임신, 출산, 육아에 있어 차별 없이 새로운 가족으로 포용할 수 있는 부모효능감의 융합실천전략을 제안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