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음악 활동을 통한 청소년 마음 치유 효과

Adolescent Mind Healing Effect Through Music Activity

  • 이신영 (성결대학교 파이데이아학부)
  • 투고 : 2021.11.23
  • 심사 : 2021.12.27
  • 발행 : 2021.12.31

초록

본 연구는 서울시 소재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음악 예술교육이 코로나-19, 사회적 거리두기로 인해 발생된 우울증 및 스트레스 해소에 어느 정도 영향이 있는지를 도출하기 위하여 진행되었다. 이를 위해 서울시 교육청의 협조하에 서울시 소재 초·중·고등학교에 공문을 시행하여 약 1,745여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현황 연구를 실시하였다. 주지하다시피 코로나-19가 지속됨에 따라 특히 청소년들의 우울증과 스트레스가 점점 높아지고 있는 추세이다. 이는 무엇보다 감염의 차단을 위한 대외 활동의 제한이 큰 비중을 차지한다. 그런 이유로 청소년들의 정서의 안정과 자존감 형성을 도모하기 위해서 문화예술교육이 반드시 필요하다. 이에 있어 무엇보다 장르의 특성상 음악 예술교육은 청소년들의 우울증 및 스트레스 해소에 상당히 기여할 수 있음을 본 연구를 통해서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extent to which music and art education had an effect on relieving depression and stress caused by COVID-19 and social distancing for teenagers in Seoul. To this end, with the cooperation of the Seoul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an official document was issued to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in Seoul, and a study on the current status of about 1,745 students was conducted. Therefore, this study intends to prove through this study that music activity can significantly contribute to relieving depression and stress in adolescents on the basis that COVID-19 has a significant effect on the induction of depression and stress in adolescents. To this end, based on previous research, while examining the changes in the psychological state of Koreans due to COVID-19, we would like to analyze the depression and stress of adolescents intensively. And by experiencing music activities, it will be confirmed that depression and stress caused by COVID-19 can be relieved to a large extent through physiological and emotional changes. Furthermore, based on the survey, we intend to suggest that music activities will help adolescents to improve their emotional stability, cultural sensitivity, and self-esteem, and ultimately develop into healthy cultural people in terms of education.

키워드

참고문헌

  1. 신경민(2018). 아동.청소년 우울증의 근거기반 치료, 한국임상심리학회, 37(4): 604.
  2. 이선희(2020). 코로나-19로 달라진 일상: 요즘 청소년의 마음은 괜찮은가요?, 국민건강보험공단, 23(12): 34.
  3. 질병관리본부(2012). 2012 청소년 건강 형태 온라인조사, 질병관리본부, 5.
  4. 김용훈, 코로나-19 재난상황에서의 청소년 정신건강 증진 방안, 한국지방자치연구, 23(1): 140.
  5. 최지욱(2021). 코로나-19와 성인 및 소아청소년 정신건강, 대한신경정신의학회, 60(1): 4-5.
  6. 이만우(2021). '코로나-19 대유행'이 가져온 정신건강 위기와 대응 정책과제, 이슈와 논점, 제 1880호, 1.
  7. 이은한(2020). 코로나-19세대 정신건강은 안녕한가?, 이슈&진단, 경기연구원, 제 414호, 8.
  8. 김지혜(2021). 코로나-19와 아동.청소년의 정신건강 실태, 교육정책포럼, 통권 333, 10.
  9. 장범관(2021). 현장에서 본 코로나 블루, 예방과 대처방안, 교육정책포럼, 통권 333, 20.
  10. 김현철 외(2021). 코로나-19 확산 및 이후 사회변화에 따른 청소년정책의 대응 방안-코로나 시대의 청소년 성장지원,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5.
  11. 최창욱 외(2005). 청소년 갈등 해결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연구, 한국청소년개발원, 11.
  12. 정경은 외(2018). 청소년 문화예술교육 현황 조사 및 정책 방향 연구,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107-109.
  13. 유경숙, 김종두(2016). Orff의 Schulwerk 음악 교육에 관한 지도 방법 탐색: 평생교육기관을 중심으로,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10(1): 193.
  14. 민경훈 외(2003). 음악교육학 총론, 학지사, 52.
  15. 정현주 외(2002). 청소년 우울증 및 정서장애에 대한 음악치료의 효과성 입증 및 프로그램 개발. 보건복지부, xv.
  16. 박주만(2010). 초등 국악수업에서 전통춤을 활용한 신체표현활동의 효과, 민족음악학회, 제39호, 347.
  17. Alexander, K. L.(2000). Prosocial behavior of adolescence in work and family life : empathy and conflict resolusion strategies with parents and peers. doctoral dissertation (Ph. D). Ohio State University.
  18. 윤여원(2021). 청소년활동: 팬데믹을 뛰어 넘어라 "위기가 곧 기회다", 여성가족부, 12.
  19. 이동훈(2021). 코로나 팬데믹으로 인한 한국인의 코로나 블루 현상의 이해와 심리방역의 필요성, 교육정책포럼, 통권 333, 14.
  20. 이기언, 최성광(2016). 코로나19 상황에서 초.중.고 학생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학교생활, 가정생활, 일상적 스트레스를 중심으로,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15(3): 1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