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NSERVATION OF NATURAL HABITAT

검색결과 213건 처리시간 0.024초

Spatial heterogeneity in macroinvertebrate density from Lake Hövsgöl, Mongolia

  • Hayford, Barbara;Goulden, Clyde;Boldgiv, Bazartseren
    • Journal of Species Research
    • /
    • 제2권2호
    • /
    • pp.159-166
    • /
    • 2013
  • Typical of large, oligotrophic lakes, Lake H$\ddot{o}$vsg$\ddot{o}$l, Mongolia, exhibits complex morphometry which should support a spatially heterogeneous community of benthic macroinvertrates. The lake also exhibits a broad range of land uses. Based on the variation in land use and complex physical habitat of the lake (e.g. substrate variation and presence of affluent streams in bays), we asked two questions. First, does density of total benthic macroinvertebrates vary between different bays in Lake H$\ddot{o}$vsg$\ddot{o}$l? Second, does density of individual benthic taxa vary by bay? Samples collected in 1997, the last year for benthic sampling of the lake, were designed to test for variation in macroinvertebrate density between bays and can now be used to establish baseline variation in density for future studies. A total of 56 Ponar grab samples were analyzed from six bays in Lake H$\ddot{o}$vsg$\ddot{o}$l. Results of a general linear model analysis of variance showed that total density of macroinvertebrates varied only slightly between bays of the lake, but that most individual taxa showed significant variation between bays. Variation in density for most taxa was linked to substrate composition rather than other geographic or physical variables in the lake. Recent increases in grazing intensity and ecotourism along the shores should be managed to reduce the nutrient load into the lake to avoid impairment of the benthic biota of this unique, ancient ecosystem.

희귀식물 꼬리진달래의 자생지 생육환경 및 삽목, 종자번식 (Habitat Environment and Cutting, Seed Propagation of Rare Plant Rhododendron micranthum Turcz)

  • 김남영;배기화;김영설;이학봉;박완근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29권2호
    • /
    • pp.165-172
    • /
    • 2013
  • The habitats characteristics of Rhododendron micranthum Turcz. were investigated to compile basic data for conservation and restoration. Natural habitats were located at altitudes of 100-500 m with inclinations of $10-35^{\circ}$. Rhododendron micranthum population was classified into Pinus densiflora dominant population. In the study sites, soil organic matter, total nitrogen, available phosphate, exchangeable potassium, exchangeable sodium, exchangeable calcium, exchangeable magnesium, cation exchange capacity and soil pH were 4.10-8.64%, 0.18-0.46%, 8.69-26.70 $mgkg^{-1}$, 0.10-0.23 $cmol^+kg^{-1}$, 0.06-0.10 $cmol^+kg^{-1}$, 0.85-4.10 $cmol^+kg^{-1}$, 0.24-0.64 $cmol^+kg^{-1}$, 12.76-20.90 $cmol^+kg^{-1}$, 4.34-5.15. Rooting rate is too low, cutting propagation, breeding methods are not good. Also, this study was investigated seed germination of R. micranthum depends on soaking treatment. R. micranthum was soaked with tap water for four days, the average values of germination day were represented of 70%/1 week.

먹이식물·흡밀식물·식생이 나비 군집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Host plant, Nectar plant and Vegetation types on Butterfly Communities)

  • 김도성;조영복;정종철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1권4호
    • /
    • pp.331-342
    • /
    • 2012
  • 본 연구는 먹이식물과 흡밀식물의 수 그리고 식생이 나비의 개체수 및 다양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2008-09년까지 충북 보은군 속리산 법주사 지역을 4개 구간으로 나누어 모니터링을 실시하였으며 이를 단순회귀분석 및 다중회귀분석하였다. 그 결과 나비 개체수와 식물종수, 흡밀식물 그리고 먹이식물 수를 다중회귀분석 한 결과에서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서식지 면적이 클수록 개체수는 많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단순회귀 분석 시 나비의 종수와 다양도지수는 먹이식물 수 및 구간면적과 각각 낮은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또한 보다 다양한 식생을 보이는 구간에서 나비 종수가 증가하였다. 나비의 다양성과 개체군 보전을 위해서는 다양한 수종의 식물과 함께 나비의 먹이식물과 흡밀식물이 복합적으로 분포하고, 식생은 각각의 요소들이 서로 보완관계를 유지할 수 있도록 다른 형태로 존재하는 것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위성영상과 Maxent를 활용한 생태계교란생물 분포지역 예측 : DMZ의 단풍잎돼지풀을 대상으로 (Predicting the Potential Distributions of Invasive Species Using the Landsat Imagery and Maxent : Focused on "Ambrosia trifida L. var. trifida" in Korean Demilitarized Zone)

  • 박현철;임정철;이정환;이관규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1-12
    • /
    • 2017
  • This study has been carried out for the purpose of predicting the potential habitat sites of invasive alien plants in the DMZ and providing the basic data for decision-making in managing the future DMZ natural environment. From 2007 to 2015, this study collected the data for the advent of Ambrosia trifida var. trifida through fieldwork around the DMZ area, and simulated the potential distribution area of Ambrosia trifida var. trifida using Maxent model among the models of species distributions. As a result, it showed that the potential distribution area of the Ambrosia trifida var. trifida was concentrated in the western DMZ with relatively low altitude and scanty in the central east regions with relatively high elevation and forest cover rate. Because the invasive alien vegetation is a significant threatening factor in the agriculture and restoration of ecology and it costs a lot to restore the area already invaded by invasive alien vegetation, advance precautions are necessary to prevent biological invasions. It is expected that it is possible to predict the disturbed ecosystems through this study for the efficient land use within DMZ in the future and to apply this study in setting up the areas for the development and conservation within the DMZ.

북한 함경북도 신포 지역 포유류 및 양서파충류 조사 연구 (A Study of Mammal and Amphibians-Reptile Species Around Shin-Po Areas, Hamkyungbuk-Do, North Korea)

  • 이상돈;길준우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13-20
    • /
    • 2007
  • 북한의 함경북도 신포지구에 원자력발전소 설립에 따른 생태환경조사의 일환으로 본 조사는 2003년 2월 27-3월 4일까지 4박 5일간 수행되었다. 이 지역의 대표적인 식생은 소나무림이며 주로 15-50년생으로 나타났다. 해안가에는 곰솔이 우점하고 있으며, 주로 방풍림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었다. 이 지역의 포유류는 사업부지를 중심으로 반경 50km 내에 서식하는 포유류는 33종(5목 15과)로 나타났다. 양서파충류는 6종(2목 3과)로 나타났다. 천연기념물은 포유류 6종 및 파충류 1종으로 나타났다. 이 지역은 산림의 황폐, 밀렵 등 서식환경의 악화에도 불구하고 포유류 및 양서파충류상은 비교적 풍부한 것으로 보인다. KEDO 사업의 중단에도 불구하고 공사가 다시 시작될 수도 있는 점을 감안하면 보전대책 및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한 지역이다.

  • PDF

경주국립공원 특별보호구역의 식생 특성 분석 - 애기송이풀, 애기등, 복주머니란 개체군을 대상으로 - (Analysis on Vegetation Characteristics of Special Protected Areas in Gyeongju National Park - Focused on Pedicularis ishidoyana Koidz. & Ohwi, Millettia japonica (Siebold & Zucc.) A.Gray and Cypripedium macranthos Sw. Populations -)

  • 유주한;권순영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45-62
    • /
    • 2020
  •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basic data for the conservation and management of natural resources of National Park by understanding the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special protected areas located in Tohamsan District, Gyeongju National Park, South Korea. The numbers of vascular plants were summarized as 106 taxa including 47 families, 79 genera, 96 species, 1 subspecies, 7 varieties and 2 forms. For status by sites, there were 59, 50 and 55 taxa in A area(Pedicularis ishidoyana), B area(Millettia japonica) and C area(Cypripedium macranthos), respectively. In the dominant species, the tree layer was Quercus serrata(A area), Platycarya strobilacea and Pinus koraiensis(B area) and Fraxinus rhynchophylla(C area), the subtree layer was Carpinus cordata and Quercus serrata(A area), Pinus koraiensis and Castanea crenata(B area) and Fraxinus rhynchophylla(C area), the 1st shrub layer was Toxicodendron trichocarpum and Rhododendron schlippenbachii(A area), Lindera erythrocarpa and Styrax japonicus(B area) and Fraxinus rhynchophylla and Lindera erythrocarpa(C area), 2nd shrub layer was Styrax obassis and Lespedeza maximowiczii(A area), Lespedeza maximowiczii and Rhododendron mucronulatum(B area) and Lindera erythrocarpa(C area), the herbaceous layer was Athyrium yokoscense, Dryopteris chinensis, Dryopteris lacera and Lindera obtusiloba(A area), Athyrium yokoscense, Millettia japonica, Carex humilis Leyss. var. nana and Carex ciliato-marginata(B area) and Hydrangea macrophylla (Thunb.) Ser. subsp. serrata, Ajuga spectabilis and Oplismenus undulatifolius(C area).

북한 함경북도 신포 지역 조류상 연구 (A study of avifauna around Shin-po areas, Hamkyungbuk-do, North Korea)

  • 이상돈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79-189
    • /
    • 2008
  • 북한의 함경북도 신포지구에 원자력발전소 설립에 따른 생태환경조사의 일환으로 조류상조사는 2003년 2월 27-3월 4일까지 4박 5일간 수행되었다. 동해안 지역의 대표적인 식생인 소나무림과 해안가의 곰솔이 우점하는 지역으로 조류상은 이 지역의 대표적인 식생은 소나무림이며 주로 15-50년생으로 나타났다. 해안가에는 곰솔이 우점하고 있으며, 주로 방풍림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었다. 신포 및 주변지역에 서식하는 조류는 사업부지를 중심으로 반경 50km 내에 서식하는 조류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총 170여종(18목 40과)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천연기념물은 황새(Cygonia boyciana)를 비롯한 모두 8종으로 나타났다. 이 지역은 산림의 황폐, 밀렵 등 서식환경의 악화에도 불구하고 조류상은 해안가, 산림, 농경지, 초지 등 다양한 서식환경이 조성된 관계로 비교적 풍부한 것으로 보인다. KEDO 사업의 중단에도 불구하고 공사가 다시 시작될 수도 있는 점을 감안하면 보전대책 및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한 지역이다.

  • PDF

2015-2019년 한국 연안습지에 서식하는 바닷새 분포 현황 (Distribution of Seabird in Coastal Wetland of Korea in 2015-2019)

  • 김용희;이용우;박치영;한승우;이시완;김영남;조수연;황인서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27권3호
    • /
    • pp.158-172
    • /
    • 2022
  • 2015~2019년에 한국의 주요 연안습지 24~34개소를 중심으로 바닷새의 분포 현황을 조사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출현한 바닷새는 총 7목 16과 111종이었고, 연간 출현종은 51~89종으로 2018년에 가장 많았다. 연간 관찰된 개체수는 92,821~265,783개체였으며, 2018년에 가장 많았다. 권역별로는 전라남부권역에서 가장 많은 종 수(55~72종)가 확인되었으며, 가장 많은 개체수(연평균 62,542개체)는 충청권역에서 관찰되었다. 조사지점별로는 2016년에 순천만 조사지점에서 68종으로 가장 많이 출현하였으며, 비인/장안 지역에서 2018년에 95,399개체로 가장 많이 관찰되었다. 서식지 이용 유형별 바닷새 조성비는 해안성조류가 평균 38%로 가장 많이 출현하였으며, 다음으로 헤엄치는 조류, 섭금류, 해양조류, 맹금류 순이었다. 법정보호종은 해양보호생물 8종, 멸종위기 야생동물 19종(I급 6종, II급 13종), 천연기념물 12종이 확인되었다. 주요 연안습지에서 바닷새는 조사시기에 따라 출현종 및 개체수의 차이를 보여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실태조사 및 서식지 특성을 고려한 보전 정책 반영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멸종위기 식물 제주고사리삼의 입지와 식생구조의 특징에 대한 연구 (Characteristics of vegetation structure and habitat of Mankyua chejuense(Ophioglssaceae), endangered plant in Korea)

  • 이경미;신정훈;정헌모;김해란;김정호;신동훈;유영한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35-45
    • /
    • 2012
  • 멸종위기식물이고, 한국 특산속 식물인 제주고사리삼의 생육 환경과, 식물사회학적 군락조사를 통해 그 분포 입지와 생태적 특성을 밝히고자 제주도의 조천-선흘 곶자왈 습지대에서 12개의 영구 방형구를 설치하고 분포입지, 식생 종조성, 식피율, 습지의 면적, 깊이와 경사도, 개체군 밀도를 조사하였다. 제주고사리삼 자생지의 입지환경은 물이 고였다가 마르는 독립된 소택지로 여러 가지 모양을 가지며 습지면적은 150-$400m^2$로 좁았고, 해발고도는 88-165m, 깊이는 0.4-2.0m, 경사는 3-$10^{\circ}$로 완만하였다. 토양은 수분을 항시 보유하고 있었다. 제주고사리삼은 소택지내에서 수관이 밀폐된 가장자리에 주로 군생하며, 개체수는 1-423개로 자생지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식물군락은 참느릅나무군락, 꾸지뽕나무군락, 찔레꽃군락, 소엽맥문동군락(이상 목본성), 자금우군락(초본성)의 5개로 구분되었고, 식피율은 80-100%로 매우 높았다. 이상으로 볼 때 제주고사리삼은 지속적인 수분공급과 어느 정도의 광이, 특히 낙엽수의 휴면기 때, 유입되는 환경에서만 살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식물체의 크기가 5cm 이내로 작아 낙엽의 퇴적과 같은 작은 환경변화로도 생육에 큰 지장이 있을 정도로 예민한 종이고, 장기적으로는 상록활엽수로의 천이가 진행될 경우 그 생육지는 더욱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어 이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다.

제천시 솔방죽 습지생태공원 조성 전과 후의 동물상 비교 (The Faunae before and after Creating the Solbangjuk Wetland Ecological Park Located in Jecheon-City were Compared)

  • 김도성;강종현;이세재;임학상;김나래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35-49
    • /
    • 2014
  • 본 연구는 제천시에 위치한 솔방죽 습지생태공원의 조성 전과 후의 동물상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생태공원 조성에 따른 동물상의 변화는 야생성이 강한 종들이 감소하고, 일반종의 비율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포유류, 양서 파충류와 같이 이동에 제약이 있는 종들은 생태공원 조성으로 늘어난 탐방객들에 의해서 점차 감소하고 있다. 그리고 어류는 공원 조성과정에서 저수지 물을 방류하고 작업하여 집단 폐사하는 사례가 있어 이에 대한 보완 작업이 필요하다. 곤충은 공원 조성 후에 조성된 화단의 꽃에서 꿀을 먹는 곤충과 습지 식물의 생육을 위하여 안정된 수계를 유지하고 있어, 이곳에서 서식하는 수서 곤충은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조사 결과, 주거지역과 인접한 농업용 저수지는 크기가 작은 경우가 많아 생태공원 조성시 이곳에서 생활하는 야생동물들에 대한 서식 공간 확보가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또한 야생동물 서식처를 위하여 방문객들의 탐방로와 시설물 위치를 조정하여 저수지 일부 지역이 자연 상태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고려되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