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MMUNITY STABILITY

검색결과 327건 처리시간 0.025초

Color stability of thermochromic pigment in maxillofacial silicone

  • Kantola, Rosita;Lassila, Lippo V.J.;Tolvanen, Mimmi;Valittu, Pekka K.
    • The Journal of Advanced Prosthodontics
    • /
    • 제5권2호
    • /
    • pp.75-83
    • /
    • 2013
  • PURPOSE. Maxillofacial silicone elastomer is usually colored intrinsically with color pigments to match skin color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olor stability of a maxillofacial silicone elastomer, colored with a thermochromic, color changing pigment. MATERIALS AND METHODS. Disc-shaped maxillofacial silicone specimens were prepared and divided into 3 groups: a conventionally colored control group, one group additionally colored with 0.2 wt% thermochromic pigment, and one group with 0.6 wt% thermochromic pigment. Half of the surface of each specimen was covered with an aluminium foil. All of the specimens were exposed to UV radiation in 6 hour cycles over 46 days. In between the UV exposures, half of the specimens were stored in darkness, at room temperature, and the other half was stored in an incubator, at a humidity of 97% and a temperature of $+37^{\circ}C$. Color measurements were made with a spectrophotometer and registered according to the CIELAB $L^*a^*b^*$ color model system. The changes in $L^*$, $a^*$ and $b^*$ values during artificial aging were statistically analyzed by using paired samples t-test and repeated measures ANOVA. P-values <.05 were considered as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The UV exposure resulted in visually noticeable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color changes in the $L^*$, $a^*$ and $b^*$ values in both of the test groups containing thermochromic pigment. Storage in the incubator lead to statistically significant color changes in the $a^*$ and $b^*$ values of the specimens containing thermochromic pigment, compared to those stored at room temperature. CONCLUSION. The specimens containing thermochromic pigment were very sensitive to UV radiation, and the thermochromic pigment is not suitable, as such, to be used in maxillofacial prostheses.

영주댐 준공 전후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의 서식기능군 및 군집안정성 분석 (Analysis of functional habitat groups and community stability of benthic macroinvertebrates before and after Yeongju Dam completion in Korea)

  • 조명호;이미진;서을원;이종은
    • 환경생물
    • /
    • 제37권4호
    • /
    • pp.664-671
    • /
    • 2019
  • 낙동강 상류의 지류이며, 국내 대표적인 모래하천으로 잘 알려진 내성천 상류에 위치한 영주댐을 기준으로 하류 지점과 상류 지점을 선정하여, 2015년과 2016년동안 담수화에 따른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의 서식유형 및 군집구조의 변화 양상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조사는 댐의 건설이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2015년, 2016년 총 4회에 걸쳐 실시하였다. 조사 결과, 댐에 의한 내성천의 담수화가 2016년 7월부터 진행됨에 따라 전체 출현 종수가 감소하였다. 특히 댐에서 가까운 상류 지점인 St.2와 St.3에서 감소 폭이 크게 나타났다. 유수성 환경과 입자가 큰 하상구조를 선호하는 E.P.T. 분류군의 종조성 비율은 감소하고, 정수역 환경을 선호하는 O.C.H. 분류군의 종조성 비율은 증가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서식기능군은 담수가 진행됨에 따라 붙는무리(CL; Clinger)의 종수 및 개체수 비율이 모든 지점에서 감소하였고, 굴파는무리(BU; Burrower), 기어오르는무리(CB; Climber), 기는무리(SP; Sprawler), 헤엄치는 무리(SW; Swimmer)의 종수 및 개체수 비율이 증가하였다. 또한 서식환경 변화에 따른 군집안 정성을 비교 결과, group I (높은 저항력, 높은 회복력)의 종분포는 크게 변화하지 않았으나 St.2와 St.3에서 group II(높은 저항력, 낮은 회복력)의 종 출현율이 현저히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댐 건설로 인해 담수가 진행됨에 따라 저서환경변화와 유속에 영향을 직접적으로 받는 저서성대형 무척추동물의 서식유형과 군집구조에 대한 시간적, 공간적 변화 양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향후 내성천 수계의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댐 건설과 이로 인한 담수의 진행 정도에 따라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군집구조 변화와 서식기능군은 물론 섭식기능군의 변화 양상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가 요구된다. 그리고 댐 조성이 하천생태계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의 분포 및 서식양태 변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추가적인 조사 및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Criteria in ′Landscape and Memory′ as Sense of Place for the Sustainable Development of Korean Mountainous Landscape

  • Jino Kwon;Shin, Joon-Hwan;Park, Myoung-Sub
    • 한국제4기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85-99
    • /
    • 2003
  • Since the experience of major landscape change during last half of the century due to war and rapid urbanization, the traditional character has been weakened, and it is necessary for a reconsideration to improve the landscape for the future. To review these relationships, the importance of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nature has been suggested. Therefore identification of a new concept based on the 'socio-cultural influence of landscape' and 'sense of place' which are related to peoples' previous experience, is required. Furthermore more practical definitions and criteria to reveal the relationship are necessary. Among the terms suggested to describe sense of place such as 'home', 'place identity', 'place-based meaning' and 'settlement identity' etc., the 'home' is selected to represent our surrounding landscape. For more practical classification of home landscape, additional terms are suggested and defined based on both the relationships between human beings and nature, and between memory derived from previous experience and shared values with in the community. The additional terms which are the most important in the role of landscape character related to humans' are; ⅰ) Personal Landscape: Landscape of an individual human, which derives from previous personal experience; involves distinguishable character for a given person, and it is emotional and flexible depending on circumstances. ⅱ) Ordinary Landscape: Landscape of the 'common interest' between members of a community, which is acceptable as a surrounding for everyday daily life, it produces the richness and variety of landscape. ⅲ) Kernel Landscape: Landscape of the 'common ground' which is acceptable to the majority members of the community, and it provides variety and stability for periods of time, and it could strongly represent community attitudes toward nature. ⅳ) Prototype Landscape: Landscape as the 'common denominator' of overall community from past to present and towards the future, which encompasses all the kernel landscape throughout history. It provides a sense of place, balances the homogeneity of character throughout overall communities. Some part of this can be shared throughout history to shape an overall sense of place. It can also represent short terms fashions. For a prototype landscape to reveal sense of place, there are a couple of points which we should underline the commencing point. Firstly, understan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s and nature should be based on a given character of surroundings. Secondly, reoccurring landscape elements which have sustained in history can lead to sense of place, and should be reviewed the influences between nature and humans.

  • PDF

스마트시티 거버넌스의 조직체계와 역할 (The Organizational Structure and Role of Smart City Governance)

  • 남광우;박정우;박준호;지상태
    • 지역연구
    • /
    • 제33권1호
    • /
    • pp.69-85
    • /
    • 2017
  • 스마트시티가 제공하는 도시서비스에 의해 발생하는 도시공간과 도시활동의 긍정적 변화는 단순히 정보통신기술로 인한 물리적 환경의 조성 때문에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시민들과 민간영역의 협력과 참여체계가 핵심사항이라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공공분야와 민간분야의 수평적 협력체계인 스마트 거버넌스의 구조와 역할에 대한 사례분석 및 문헌연구를 통해 스마트시티가 지향하는 '보다 스마트한 도시'로의 발전을 위한 거버넌스 역할에 대한 평가요인을 도출하고 요인별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우리나라 국토교통부에 등록된 11개 분야 228개 스마트서비스를 대상으로 공간위계별 스마트서비스의 공간적 서비스분포와 서비스의 내용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더불어 미국 미네소타주 두 도시인 Minneapolis-St. Paul권의 광역권에 형성된 공간정보협력체 형식의 거버넌스인 MetroGIS에 대한 사례분석을 통해 거버넌스의 생성과정과 조직구조, 하위 조직의 역할과 상호관계 등을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스마트 커뮤니티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공공분야의 지원 체계 구축이 요구되며 커뮤니티 내부 및 외부와의 소통체계나 협력체계의 고도화, 그리고 커뮤니티가 거버넌스 형태로 진화하기 위한 재정적 안정성 확보를 통해 지속가능한 모델을 정립하는 것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구지역 노상식물군락의 분류와 분포 특성 (Classification and Characteristics of the Roadbed Plant Communities in Daegu, Korea)

  • 안경환;김종원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8권1호
    • /
    • pp.31-36
    • /
    • 2005
  • 본 연구는 대구광역시 권역 내의 노상식생에 대하여 군락분류를 수행하고, 분류된 식생 유형에 대한 생태적 분포 특성을 규명하였다. 총 50 개의 식물사회학적 식생자료를 이용하여 Z.-M. 학파의 군락분류법이 수행되었으며, 주좌표분석법(PCoA)에 의하여 식물군락의 분포 특성을 분석하였다. 대구지역의 노상식생은 5 개의 식물군락(그령군락, 질경이군락, 왕바랭이군락, 강아지풀군락, 바랭이군락)으로 구분되었으며, 광엽형 노상식생은 질경이군락뿐으로 화본형 노상식생형이 우세한 것으로 밝혀졌다. 노상식생의 서식처는 토양환경조건의 안정성과 수분조건에 의하여 안정-적습, 불안정-적습, 안정-건조, 불안정-건조의 네 가지 분할로부터 각 식생유형과 대응되었다. 노상식생에서 가장 높은 상대기여도를 나타내는 출현종은 바랭이, 왕바랭이, 그령, 질경이, 돌피, 토끼풀, 마디풀, 강아지풀, 금강아지풀, 쑥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몬순 이후에 화기(花期)를 가지는 바랭이, 왕바랭이, 그령 등이 상대기여도 50% 이상의 수준을 보이는 사실이 특기되었다. 대구 노상식생의 특성은 대구생물기후구와 한반도의 $C_4$식물계절(후몬순계절), 그리고 일본 및 동아시아의 노상식생 최상급단위로 제창된 질경이군목과의 식생학적 차별성 등으로 정의되었다.

보령댐 도수가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군집구조 변화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Water Conveyance of Boryeong Dam on Structural Changes of Benthic Macroinvertebrates Community)

  • 안채희;한중수;최준길;이황구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381-391
    • /
    • 2018
  • 본 연구는 충청남도 보령시에 위치한 보령댐의 도수 전과 후의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상을 비교 분석하여 인위적 교란에 대한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조사시기는 2016년 4월부터 2017년 9월까지 총 8회에 걸쳐 조사하였으며, 조사지점은 방류되는 지점부터 총 4개의 지점을 선정하였다.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은 총 4문 7강 19목 70과 125종 13,447개체가 출현하였다. 군집분석 결과 우점도 0.55(${\pm}0.07$)에서 0.47(${\pm}0.08$), 다양도 2.06(${\pm}0.26$)에서 2.23(${\pm}0.28$), 균등도 0.69(${\pm}0.05$)에서 0.70(${\pm}0.04$), 풍부도 3.43(${\pm}0.72$)에서 4.03(${\pm}0.91$)으로 나타났다. 도수 이후 우점도는 감소하고 다양도, 균등도, 풍부도는 증가하는 안정적인 군집구조로 나타났다. 기능군 분석 결과 도수 이후 섭식기능군은 긁어먹는 무리, 걸러먹는무리의 비율은 증가하고 썰어먹는무리, 주워먹는무리의 비율은 감소하였으며, 서식기능군은 기어오르는 무리와 붙는무리의 비율은 증가하고 굴파는무리와 기는무리의 비율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군집안정성 분석결과 도수 이후 St. 1과 St. 2는 저항력과 회복력이 감소하여 III 특성군에 새로운 종이 출현하였으며, St. 3과 St. 4는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다차원척도법 분석 결과 도수 이후 St. 1에서 유사도의 변화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St. 4에서 유사도의 변화가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낙동강 보 구간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생물다양성 변화와 군집 특성 (Biodiversity Changes and Community Characteristics of Benthic Macroinvertebrates in Weir Section of the Nakdong River, South Korea)

  • 정상우;김윤호;이재하;김동건;김민경;김현맥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150-164
    • /
    • 2022
  • 본 연구는 2020년 5월부터 10월까지 4대강 사업의 하나로 준공된 8개의 낙동강 보 구간에 서식하는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생물다양성 변화와 군집분석을 수행하였으며, 2010년부터 2020년까지 약 10년간의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주요 분류군에 대한 변화상을 분석하였다. 조사결과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은 총 3문 5강 18목 52과 83속 97종 128.1개체/m2가 출현하였으며, 오염지표생물인 깔따구류(Chironomidae sp.)와 실지렁이류(Tubificidae spp.)가 전체적으로 우점하였다. 군집분석결과 우점도지수는 평균 0.62±0.20이고 다양도지수는 1.87±0.63로 낙동강 보 상류에서 가장 안정적으로 분석되었다. 낙동강 보 중앙부에서는 실지렁이가 우점하였으며, 칠곡보와 강정고령보에서 가장 불안한 군집구조가 나타났다. 군집안정성 분석결과 상대적 회복력과 저항력이 높은 특성군I이 높게 나타났으며, 저항력과 회복력이 낮은 특성군III이 소수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나 현재 낙동강 보 구간의 군집은 매우 불안한 상태로 분석되었다. 섭식기능군에서는 잡아먹는무리가 비교적 높게 출현하였고, 썰어먹는무리, 모아먹는무리, 걸러먹는무리는 낮게 나타났다. 서식기능군에서는 굴파는무리와 기어오르는무리가 우세하게 출현하여 대부분 용존산소가 낮은 정수생태계에서 출현하는 기능군들이 많이 분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 법적보호종으로는 상주보와 낙단보에서 멸종위기야생생물 II급인 노란잔산잠자리(Macromia daimoji)가 분포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과거부터 10년간의 분석결과 종수와 개체수는 댐 공사 직후에는 증가하였지만, 2016년 이후부터 급감하면서 다시 안정화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점종으로는 깔따구류가 모든 지점에서 우점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현재 약 50% 수준의 비율로 유지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EPT 그룹은 2011년을 기점으로 대폭 감소하였으며, 이중 강도래목과 날도래목은 회복하지 못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오염지표생물인 실지렁이류는 2012년 공사 완료 후 증가 추세를 보였으며, 2015년과 2020년에 개체수가 폭발적으로 증가하였다. 멸종위기야생생물 I급으로 지정된 귀이빨대칭이(Cristaria plicata)는 2011년 합천창녕보에서 출현 후 관찰되지 않았으며, 멸종위기야생생물 II급인 노란잔산잠자리는 2015년까지 7개의 구간에서 드물게 확인되었으나 현재 분포 서식처가 급격히 줄어든 것으로 확인되었다.

일본의 FTA정책과 경제적 효과 (Japan's FTA Policy and Economic Effect of FTA)

  • 김정욱
    • 통상정보연구
    • /
    • 제8권2호
    • /
    • pp.249-274
    • /
    • 2006
  • This study extensively investigated Japan's FTA strategy and plan of FTA policy and analyzed the economic effect caused by it. In the analysis of economic effect using world economical model shows not only positive economic effect in home country but also to the foreign country. Recently, Japan's bilateral relation with Korea and China is getting worse, not in a friendly way. Consequently Japan's future FTA negotiation will be expected to be focused on the East-Asia region. In other words, Japan expressed assistance for the purpose of communication, stability and prosperity in the East-Asia and will seek individual economic cooperation with each East-Asia country trying to reinforce the stand of Japan. This means that Japan is trying to improve the relation with Korea and China in the other way because it cannot change the relation with Korea and China on its own. That is to say, It can be interpreted as Japan is trying to reinforce the economic cooperation with other East-Asia countries for the realization of East Asia community rather than directly negotiating with Korea or China.

  • PDF

임플란트의 즉시 기능에 관한 최신 지견 (Immediate Loading of Implants ; Recent Review)

  • 김윤상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21권2호
    • /
    • pp.191-204
    • /
    • 2005
  • Traditionally, the implant treatment require load-free healing period of at least 3 months in the mandible and 6 months in the maxilla. But this long healing period provides patients with the discomfort and economical trouble. Many experiments has been attempted for the outcome of such disadvantage, so recently the immediate loaded implant is getting popularity. Several literature has been published for clinical success of immediate loaded implant. The studies for the success rate of immediate loaded implant in multi-way has been reporting, nevertheless, we don't have yet a probable success. Various studies have been practiced that th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associated with immediate loaded implant, and factors that may influence the success of immediate implant, including patient selection, type of bone quality, required implant length, structure of the implant, surgical skill, need for achieving primary stability, control of occlusal force, peri-implant bone activity.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literature related to immediate loading of implants and to discuss factors that may influence this treatment modality, based on scientific evidence.

Highly Efficient, Flexible Thin Film Nanogenerator

  • 이건재
    • 한국재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재료학회 2011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10.1-10.1
    • /
    • 2011
  • Energy harvesting technologies converting external sources (such as thermal energy, vibration and mechanical energy from the nature sources of wind, waves or animal movements) into electrical energy is recently a highly demanding issue in the materials science community for making sustainable green environments. In particular, fabrication of usable nanogenerator attract the attention of many researchers because it can scavenge even the biomechanical energy inside the human body (such as heart beat, blood flow, muscle stretching, or eye blinking) by converging harvesting technology with implantable bio-devices. Herein, we describe procedure suitable for generating and printing a lead-free microstructured $BaTiO_3$ thin film nanogenerator on plastic substrates to overcome limitations appeared in conventional flexible ferroelectric devices. Flexible $BaTiO_3$ thin film nanogenerator was fabricated and the piezoelectric properties and mechanically stability of ferroelectric devices were characterized. From the results, we demonstrate the highly efficient and stable performance of $BaTiO_3$ thin film nanogenerator and the integration of bio-eco-compatible ferroelectric materials may enable innovative opportunities for artificial skin and energy harvesting system.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