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M

검색결과 34,728건 처리시간 0.053초

Study of cracks in compressed concrete specimens with a notch and two neighboring holes

  • Vahab, Sarfarazi;Kaveh, Asgari;Shirin, Jahanmiri;Mohammad Fatehi, Marji;Alireza Mohammadi, Khachakini
    • Advances in concrete construction
    • /
    • 제14권5호
    • /
    • pp.317-330
    • /
    • 2022
  • This paper investigated computationally and experimentally the interaction here between a notch as well as a micropore under uniaxial compression. Brazilian tensile strength, uniaxial tensile strength, as well as biaxial tensile strength are used to calibrate PFC2d at first. Then, uniaxial compression test was conducted which they included internal notch and micro pore. Experimental and numerical building of 9 models including notch and micro pore were conducted. Model dimensions of models are 10 cm × 10 cm × 5 cm. Joint length was 2 cm. Joints angles were 30°, 45° and 60°. The position of micro pore for all joint angles was 2cm upper than top of the joint, 2 cm upper than middle of joint and 2 cm upper than the joint lower tip, discreetly. The numerical model's dimensions were 5.4 cm × 10.8 cm. The fractures were 2 cm in length and had angularities of 30, 45, and 60 degrees. The pore had a diameter of 1 cm and was located at the top of the notch, 2 cm above the top, 2 cm above the middle, and 2 cm above the bottom tip of the joint. The uniaxial compression strength of the model material was 10 MPa. The local damping ratio was 0.7. At 0.016 mm per second, it loaded. The results show that failure pattern affects uniaxial compressive strength whereas notch orientation and pore condition impact failure pattern. From the notch tips, a two-wing fracture spreads almost parallel to the usual load until it unites with the sample edge. Additionally, two wing fractures start at the hole. Both of these cracks join the sample edge and one of them joins the notch. The number of wing cracks increased as the joint angle rose. There aren't many AE effects in the early phases of loading, but they quickly build up until the applied stress reaches its maximum. Each stress decrease was also followed by several AE effects. By raising the joint angularities from 30° to 60°, uniaxial strength was reduced. The failure strengths in both the numerical simulation and the actual test are quite similar.

공극(기극(氣隙)) 변화에 따른 방사선촬영 선량평가 (An Assessment of the Radiation Dose from Radiography with the Change in Air Gap)

  • 안병주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0권6호
    • /
    • pp.381-385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공극 기법의 고관전압 촬영에서 격자를 사용한 것과 같은 화질을 유지하면서 선량을 줄이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실험은 초점과 수용체와의 거리 180 cm에서 공극을 10 cm, 15 cm, 20 cm, 25 cm, 30 cm으로 하였으며 각각의 공극 거리에서 관전류를 15 mAs로 고정하고 관전압은 80 KvP, 85 kVp, 90 kVp, 95 kVp, 100 kVp로 하여 촬영을 하였다. 전통적인 방법인 격자를 사용하였을 때 촬영은 초점과 수용체와의 거리 180 cm에서 15 mAs, 107 kVp로 하였다. 실험결과 격자를 사용하여 촬영하였을 때 표면선량은 0.130 R로 나타났고 공극을 20 cm로 하였을 때의 표면선량은 0.124 R로 나타났으며 두 영상 간의 PSNR은 10.65 [dB]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표면선량이 적으면서 산란선을 제거하여 격자를 사용하였을 때와 유사한 화질을 유지할 수 있는 공극의 거리는 20 cm로 나타났다. 연구의 결과는 공극을 이용한 방사선촬영에서 표면선량을 제거할 수 있는 지표로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결론적으로 표면선량이 적으면서 산란선을 제거하여 격자를 사용하였을 때와 유사한 화질을 유지할 수 있는 공극의 거리는 20 cm로 나타났다. 연구의 결과는 공극을 이용한 방사선촬영에서 표면선량을 절감할 수 있는 지표로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승마 속보 시 등자 길이에 따른 체간기울기와 양측 하지의 협응성 비교분석 : 비대칭 지수 및 전체이동지수 알고리즘 개발 (Analysis of the Coordination of the Trunk Tilting Angle and Bilateral Lower Limbs According to the Stirrups Length during Trot in Equestrian: Asymmetric Index Development of Overall Movement Index Algorithm)

  • 현승현;류재청
    • 한국운동역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131-140
    • /
    • 2015
  •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oordination of the trunk tilting angle and bilateral lower limbs according to the stirrups length during trot in equestrian. Methods : Participants selected as subject were consisted of adult male(n=7, mean age: $45.00{\pm}3.78yrs$, mean height: $172.50{\pm}2.44cm$, mean body mass: $76.95{\pm}4.40kg$, mean, mean leg length: $97.30{\pm}2.60cm$). They were divided into 3-types of stirrups lengths(67 cm, 72 cm, 77 cm) during trot. The variables analyzed were consisted of the trunk front-rear angle, lower limb joint(Right Left hip, knee, ankle), overall movement index(OMI) of the lower limbs(thigh, shank, foot) and asymmetry index(AI%) during trot. Results : The average angle in hip and knee joint showed more extended posture according to the increase of stirrups lengths and ankle angle showed more plantarflexion posture according to increase of stirrups length during 1 stride in trot. Also, average angle showed more extended posture in right hip and ankle joint than that of left. The angle of knee joint didn't show significant difference statistically between right and left. Also asymmetric index in average angle of hip, knee and ankle joint didn't show significant difference statistically in between lower limbs, but hip joint showed higher asymmetric index in stirrup length of 77 cm and ankle joint showed higher asymmetric index in stirrup length of 67 cm than that of the others respectively. The FR angle in trunk of horse-rider showed relative backward leaning motions at stirrup length of 67 cm and 77 cm than that of stirrup length of 72 cm during stance and swing phase. OMI in thigh, shank, and foot limbs didn't show significant difference statistically according to the stirrups length of right and left lower limbs, but left lower limbs showed higher index than that of right lower limb. Stirrup length of 72 cm in shank and foot limbs showed higher index than that of stirrup length of 67 cm and 77 cm. But stirrup length of 72 cm showed higher asymmetric index than that of stirrups length of 67 cm and 77 cm. Conclusions : When considering the above, 72 cm(ratio of lower limb 74.04%) stirrup lengths could be useful in posture correction and stabilization than 67cm(ratio of lower limb 68.69%) and 77 cm(ratio of lower limb 79.18%) stirrup lengths during trot in horse back riding.

높은이랑재배에 의한 하우스 밀감의 품질향상 (Effects of Ridge-up Bed Cultivation on the Fruit Quality of Satsuma Mandarin ('Miyagawa Wase') in a Plastic Film House)

  • 김용호;김창명;정순경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18권5호
    • /
    • pp.599-604
    • /
    • 2000
  • 이랑높이가 하우스밀감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이랑높이를 0, 20cm, 40cm, 60cm로 하여 궁천조생과 흥진조생을 공시하고, 토양수분 및 품질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하우스밀감의 고품질 생산에 필요한 토심 30cm에서의 토양수분포테셜이 -1.4Mpa이 되기까지는 평휴에서 100일 이상, 20cm에서 100일, 40cm에서 60일, 60cm에서 30일이 소요되었다. 착색도 a는 이랑높이가 높아질수록 증가되어 평휴에 비해 60cm 이랑에서 11이나 증가되어 이랑높이에 따른 착색 촉진효과가 현저하였으며, a/b도 이와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품종간에는 차이를 인정할 수 없었다. 포도당과 과당으로 조성된 환원당은 이랑이 높아질수록 증가되는 경향이 뚜렷하였고 포도당에 비해 과당 함량이 많은 편이었다. 자당은 환원당과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환원당에 비해서는 낮은 편이었으며, 품종간에는 이랑높이에 따른 차이가 없었다. 실제적으로 하우스밀감의 품질을 대표하는 당도는 평휴, 20, 40, 60cm 이랑에서 각각 11.4, 12.1, 12.5, $12.8^{\circ}Brix$로 평휴에 비해 60cm 이랑에서 $1.4^{\circ}Brix$나 증가되는 효과를 가져왔으며, 산도도 이와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 PDF

소나무잔나비버섯(Fomitopsis pinicola) 균사체 배양액을 이용한 반죽의 발효와 빵의 품질특성 (Characteristics of Dough Fermentation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Bread Using Submerged-Culture Broth of Fomitopsis pinicola Mycelium)

  • 이승배;오승희;이예경;김순동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2권6호
    • /
    • pp.583-590
    • /
    • 2005
  • 소나무 잔나비버섯 균사체 배양액(CM)을 이용한 빵 제조를 위하여 첨가량($30\~50\%$)에 따른 반죽의 발효 및 빵의 품질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CM의 첨가량과 반죽의 품질지표(pH, 산도, 반죽부피, 되기, 강도 및 점도) 상호간의 상관분석을 행한 결과 CM은 반죽의 pH를 높임으로서 반죽의 되기 및 강도를 높이는 반면 점도를 감소시켰다. 첨가에 따라 굽기 손실률은 첨가에 따라 감소하였으나, loaf volume index는 첨가량에 따른 대조구와의 유의성은 없었다. 빵 껍질의 L*값은 $30\~40\%$에서는 대조구와 유의차가 없었다. CM을 $30\~40\%$ 첨가한 빵은 대조구보다 낮은 경도(hardness)를 보였다. 그러나 $50\%$ 첨가구에서는 탄력성(springiness), 씹힘성(chewiness) 및 깨짐성(brittleness)이 대조구보다 낮았다. 빵의 외관, 색상 및 조직감은 $30\~40\%$ 범위까지 첨가한 경우는 대조구와 대등한 값을 보였으나 $50\%$ 첨가구에서는 낮은 기호도를 나타내었다. CM을 첨가한 빵은 첨가농도에 비례하여 낮은 노화도를 나타내었으며, 곰팡이 발생도가 낮았다. 이상에서와 전보의 결과를 종합할 때 CM을 $40\%$수준으로 첨가할 경우 빵의 전반적인 품질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항당뇨 기능성의 빵 제조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어업용 수중 기포막에 관한 연구 1. 기포막에 의한 어군의 차단 및 구집 실험 (A STUDY ON THE AIR SCREEN IN WATER 1. Experiments on the Air Screen Effects for Driving and Intercepting Fish School)

  • 박중희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50-56
    • /
    • 1972
  • 기포막을 이용한 어구 어법을 고안할 목적으로 각종 기포막으로 해산어의 반응을 관찰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기포막으로 어군의 진로 차단 및 구집이 가능했다. 2. 송기 압력 $0.160kg/cm^2$일 때, 기포 발생용 파이프 내압이 $0.087kg/cm^2$ 이상일 때는 기포막이 순조롭게 형성되었고, 송기 압력 $0.087kg/cm^2$일 때, 그 내압이 $0.018kg/cm^2$ 이하이면 침수되었다. 3. 효율적인 기포막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수심 80cm, 송기 압력 $0.160kg/cm^2$에서는 구멍 크기 $\phi$ 0.3mm 간격 30cm가 가장 효과적이었다(Table 2).

  • PDF

추잠기의 중간벌채정도와 수량과의 관계 (Relation Between the Yield and the Cutting Length of Mulberry Branch in Autumn)

  • 김문협;임수호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1-4
    • /
    • 1977
  • 추잠기에 있어서의 중간베기 정도와 수량과의 관계를 조사한 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공시한 뽕나무의 발육상태는 거의 같은 정도이었으며 그 평균조장은 171cm~177cm의 범위안에 있었다. (2) 추잠기의 수량은 각구간에 거의 차가 없다. 다만 잔조의 길이가 짧아질수록 잔조에서의 재발아비율이 커진다. (3) 춘잠기의 수량은 100cm 또는 120cm 잔조구는 대조구와 큰 차가 없지만 80cm 이하의 잔조구는 상당히 떨어진다. 100cm 이상 잔조구의 수량이 떨어지지 않는 이유는 중간베기를 하면 잔조에서 불발아비율이 줄어들고 신아의 발육이 촉진되어 단위조장당 신초엽량이 증가하기 대문이다. 다만 중간베기를 하면 신초엽량중의 정엽량비율이 적어진다. (4) 춘추합계 수량에 있어서도 100cm 또는 120cm잔조구는 대조구와 같은 정도이지만 100cm 잔조구가 추잠기에 있어서 잔조에서의 적엽노력이 약간 적게 들어 유리하다. 따라서 추잠기에 있어서의 중간베기의 정도는 종래의 기준인 조장의 l/3 또는 1/2 중간베기의 중간에 위치하는 100cm 잔조를 기준으로 하는것이 타당할 것 같다.

  • PDF

태양열 소독에 의한 오이덩굴쪼김병 방제 -병원균 생장억제 및 오이생육촉진에 미치는 비닐 피복효과- (Effects of Soil Solarization for Control of Cucumber Wilt -Suppression of Fusarium oxysporum f. sp. cucumerium and Promotin of Cucumber Growth-)

  • 박창석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22-27
    • /
    • 1984
  • 오이를 재배했던 비닐하우스 토양에 병원균을 전면 접종하고 1983년 7월 25일부터 8월 25일까지 포리에칠렌 필림을 멀칭하여 태양열소독 효과를 실험하였다. 멀칭처리 기간중 토양의 일중 최고온도는 깊이 5cm에서 $58^{\circ}C$, 15cm는 $45^{\circ}C$, 25cm는 $42^{\circ}C$에 달했다. 태양열처리 한지 32일 경과후 지표로부터 5cm이내의 토양에 있던 병균은 완전히 사멸되었으며 15cm 까지는 $98\%$ 이상 소멸되었으나 25cm 토양은 무처리와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태양열처리한 토양에서 분리한 균주는 무처리 토양의 균주보다 소형포자 생산량이 현저하게 감소되었다. 멀칭처리에 재배한 오이는 생육이 월등히 좋았는데 특히 5cm 이내의 토양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났으며 노지재배의 경우도 생장과 수량이 무처리에 비하여 현저히 좋았다. 병원균 F. oxysporum f. sp. cucumerinum은 오이 유균에 외관상 나타나는 병징 이외에도 전염원의 농도가 증가됨에 따라 오이 생육이 비례하여 억제됨을 나타내었다.

  • PDF

시공책임형 CM 발주방식 공공부문 시범사업 사례를 통한 리스크 도출 (Major Risk Factors to Implement CM at Risk Pilot Project on the Public Sector)

  • 한종훈;김경태;안용한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9권3호
    • /
    • pp.61-69
    • /
    • 2018
  • 현재 국내에서는 지속적으로 제기되어 오던 건설 산업의 문제를 해결하고 건설산업의 선진화 및 발주방식의 다양화를 위하여 시공책임형 CM 발주방식을 도입하였다. 그러나 시공책임형 CM 규정이 신설된지 6년이 지났음에도 불구하고 용역형 CM에 비해 계약금액 실적이 현저히 떨어지고 있으며 공공부문 시공책임형 CM 프로젝트는 전무한 실정이다. 이에 따라 공공부문 시공책임형 CM 발주방식 정착을 위해 현재 한국토지주택공사 발주로 세 개의 시범사업이 진행되고 있으나 아직 시공책임형 CM에 관련한 세부법령이 미비하여 특례를 바탕으로 시행되고 있는 중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현재 진행되고 있는 세 개의 시범사업에 참여중인 실무자를 대상으로, 이후 공공부문에서 시공책임형 CM 방식이 정상도입되어 본격적으로 활용될 경우 발생 가능한 리스크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이후 제도 개선 및 법령 제정에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단호박 입체재배시 재식거리가 품질 및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lanting Distance on Quality and Productivity in Staking Cultivation of Squash(Cucurbita maxima) under Rain-shielding Condition)

  • 성기철;이재욱;권혁모;문두영;김천환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39-43
    • /
    • 2004
  • 수출용 단호박의 품질 및 생산성 향상을 위한 비가림 입체재배에서의 적정 재식거리를 구명코자 수행하였다. 재식거리는 120 cm 이랑에 2조식으로 주간거리 30 cm, 40 cm, 50 cm로 하여 하였다. 주지 적심전 생육은 주간거리가 좁았던 처리에서 만장과 생체중, 엽면적이 감소되었다. 수확시의 생육에서는 처리간 생체중의 경우 주간거리 50 cm로 넓었던 처리에서 증가하였다. 암꽃 개화일과, 암꽃 착생마디에서도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과일 특성에서는 1번과의 과경과 2번과의 과중이 주간거리 50 cm에서 커지는 경향이었다. 평균 과중도 주간거리 30 cm의 1,184 g에 비하여 50 cm에서 1,386g으로 가장 무거웠다. 수확시의 당도에서는 주간 거리간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총 수량이 경우 재식주수가 많았던 30 cm 처리구에서 6,510 kg/10a로 가장 많았으나, 과중 130 kg 이상의 상품과의 비율은 40cm 와 50cm에서 98% 이상으로 비슷하였으나, 주간거리가 좁았던 40cm에서 5,012 kg/10a로 가장 많았다.